최태원 sk대표이사
"일본과 손잡고 '경제 블록' 만들자" 제안
서일범 기자입력 2023. 7. 14. 11:50수정 2023. 7. 14. 14:57
타임톡 33요약보기음성으로 듣기번역 설정글씨크기 조절하기
대한상의 제주포럼서 밝혀
"미중갈등서 불리한 경쟁 강요 받아"
"저출산 등 문제 경제블록으로 해결 가능"
최태원(왼쪽 세번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4일 제주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열린 제주포럼 경영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이미지 크게 보기
최태원(왼쪽 세번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4일 제주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열린 제주포럼 경영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서울경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미중갈등과 같은 지정학적 위기가 상시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우리나라도 이웃 일본과 손잡고 미국, 중국, 유럽연합(EU)에 이은
제4의 ‘경제블록’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지금과 같은 단일국가 소규모 개방경제로는 국가 간 경제전쟁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는게 그의 판단이다.
AD
착한이사
광고 전국 용달이사 최저가 착한이사
거품없는 이사비용! 착한이사
문의하기
최태원 회장은 14일 제주 해비치호텔 앤(&) 리조트에서 열린 ‘경영인 콘서트’에 참석해 “국가라는 단일 개념에서 벗어나 생존전략을 다시 짜야한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이날 행사에는 송재용 서울대학교 교수와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 김영훈 대학내일 대표 등이 참석해 기업 경영전략과 최고경영자(CEO) 리더십 등에 대해 토론했다.
최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냉전 이후 30여년 동안 이어진 전세계 단일 시장이 또 다시 쪼개질 위기에 처해 대한민국이 생존을 강요받고
있다”면서 기존과 다른 생존 해법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큰 변화 없이 중국을 업고 이익을 얻던 시절이 끝나고 있다”며 “중국이 경쟁자가 돼 우리가 하던 것을 뺏어가는 시대가 왔기 때문에 이제는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했다.
최 회장은 이어 “국가라는 개념에 묶여 있으면 우리나라는 가장 불리한 곳에 경쟁할 수밖에 없다”며 “이웃나라 일본과 우선 파트너가 되면 전체 7조 달러 시장이 새로 만들어지고
이후 다른 아시아 시장과 또 협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존 미국, 중국, EU와 대항할 수 있는 ‘메가블록’을 우리가 주도적으로 만들어야 현재 한국이 처한 여러가지 문제들을 풀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EU의 사례를 언급하면서 “EU가 20여년이 되면서 상당히 많은 시너지가 나는데 우리도 그 형태로 가야 한다”고 전했다.
AD
착한이사
광고 전국 용달이사 최저가 착한이사
거품없는 이사비용! 착한이사
문의하기
그는 “저출산, 저성장과 같은 우리나라가 처한 문제들도 시각을 다르게 보면 전혀 다른 해법이
있다”며 “제4의 경제블록 속에서는 저성장 같은 고질적 문제들이 한꺼번에 풀릴 수 있고 미국과 중국의 정치 경제적 강요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핵 문제도 기존과 다른 틀에서 해법을 마련해 보자는 게 최 회장의 제언이다. 그는 “북한과 완전한 통합은 경제적 부담을 키울 수도 있고 많은 사람들이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면서 “우선 북한을 통과(트랜스포트)할 수 있는 방법만 마련해도 획기적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섬나라인 한국이 유럽과 연결되면 그 자체가 성장동력이 될 뿐더
러 북한에도 돈이 흘러 들어가는 스필오버 효과가 일어나 북한이 무력 투쟁을 포기할 유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게 최태원 식 북핵 해법인 셈이다.
그는 “일본과 한국 유럽이 하나로 이어진다면 그 자체가 하나의 경제적 블록이 되고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중심에 우리나라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라며 “이게 우리 경제의 솔루션이자 국가전략이 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국가 전략과 별도로 기업들도 지정학적 변동에 따른 새로운 생존전략을 짜야 할 때라고 최 회장은 지적했다.
최 회장은 “이제 시장이라는 개념은 사라지고 고객과 기업이 일대일 관계를 맺는 게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과거에는 내 친구가 몇십만
명이 된다는 것을 상상도 할 수 없었지만 SNS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한 일인 것처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이 과정에
서 AI 같은 신기술을 도구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전략을 만드는 게 CEO의 역할이자 숙제”라고 말했다.
또 “왜 CEO는 한명이냐. 멀티가 차라리 낫다”며 “내
가 잘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멀티 CEO’ 도입을 패러다임 전환 시대에서 또 하나의 해법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