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파랑길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을 잇는
코리아 둘레길의 남해안 구간으로
부산 오륙도에서 시작해
해남의 땅끝마을까지 연결된
총 90개 구간의 1,463km의
걷기 여행길이다
‘남쪽의 쪽빛 바다와 함께 걷는 길’이란 뜻으로
2016년에 개통한 해파랑길에 이어
두 번째로 2020년 10월 31일 개통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17년 노선 조사를 시작으로
2018년 노선안 확정
남파랑길 명칭과 상징물 확정
2019년 안내체계 정비
2020년 최종 점검을 거쳐
남파랑길을 개통했다
광역 지방자치단체 3곳과
기초 지방자치단체 23곳에 걸쳐 있다
구간별 특성을 담아
남도문화길과 남도낭만길등
5가지 주제의 길로 구성돼 있다
남도문화길은
장흥에서 강진, 완도, 해남으로 이어진 구간으로
남도 유배문화와 다양한 순례 자원을 체험할 수 있다
남도낭만길은
여수에서 순천, 보성, 고흥으로 이어진 길로
지역의 독특한 생태환경과 다도해의 낭만을 체험할 수 있다
한편 한국관광공사가 운영하는 걷기 여행안내
두루누비 누리집(www.durunubi.kr)과
두루누비 응용프로그램에서 남파랑길 전체 90개 구간에 대한
상세 내용과 위치정보시스템(GPS) 기반 노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주요 관광안내소에는 걷기 여행자들의 편의성과
지역 관광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역의 맛집과 카페 정보 등을 포함해
제작한 지도 홍보물이 비치되어 있다
남파랑길은 구간별 특징을 고려한 5가지 주제로
부산·경남·전남 지역 90개 코스, 1,463km 거리를 걷는 길이다
* 한류길(부산∼경남.창원) : 영화와 한류의 도시, 대도시와 자연의 반전 매력을 보유한 길
* 한려길(고성,통영,거제,사천,남해) :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해안 경관이 아름다운 길
* 섬진강 꽃길(하동∼광양) : 섬진강과 꽃 경관이 아름다운 길
* 남도 낭만길(전남.여수,순천,보성,고흥) : 독특한 생태환경과 다도해를 따라 낭만을 체험할 수 있는 길
* 남도 순례길(장흥,강진,완도,해남) : 남도 유배문화와 다양한 순례 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길
가을인듯
겨울인듯
감을 잡지 못하는 어중간한 계절~
따뜻하게 준비를 하고
부산구간을 끝낸 창원구간 시작점인
지난번 뒤풀이했던 송정공원앞에서 하차하여
한동한 못했던 스트레칭을 하고 시작한다
14일만에 다시 만난....
단풍색이 더 화려하고 이쁘게 물들어 있다
6코스 시작점
부산시 강서구와
창원시 진해구 용원과 경계지역에 있는
부산시 강서구 송정공원에서
진행방향에서 직진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면
창원시 진해구에 들어서게 된다
몇개의 횡단보도를 건너서 용원어시장을 통과한다
잘 말린 생선이 맛나게 보이고
용원교를 건너간다
산책길 따라서~~~
제대로 물든 단풍이 눈을 즐겁게 해 주고
백로가 물위 서 있어서
좀더 가까이에서 얼릉 찍으려니 날아간다
어디로,,,,??
조금날다가 바로 옆에~~~
산행수준의 도로를 따라 올라오니
안내도가 있다
남파랑길 코스에서 살짝 비껴가는곳에 있는....
그냥 갈 수 없기에 올라 가 본다
오르면서 뒤돌아 보고
본성으로~~
웅천 안골 왜성(熊川安骨倭城)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에 있는 성으로
부산과 다도해 방면을 연결하는 가덕수도(加德水道) 첫머리에 있다
삼면이 바다인 육망산(陸望山)에 의지하여
앞은 절벽이고 뒤는 안골만으로 이어져 천험과 지리를 고루 갖춘 곳이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제포진(薺浦鎭)에 소속된 안골포영에는 수군만호(水軍萬戶)가 있었고
석성 둘레가 약 56m, 높이 약 3m이며 성안에는 시내,우물이 있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예로부터 수군의 진영(鎭營)이 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왜군이 고쳐 쌓아 본성(本城)으로 삼고 이를 중심으로 웅천·웅남,남산에
둘레 약 300m의 내성(內城)을 3중 석축으로 쌓았다
왜군은 그 외에도 많은 지성(支城)을 쌓아 이곳과 웅천,제포를 연결하여
다도해 쪽으로 진출하려는 왜 수군의 본거지로 삼았다
1592년(선조 25년) 성 앞 안골포에서는 이순신(李舜臣)이
한산도대첩의 여세를 몰아 왜군을 크게 무찌른 안골포해전이 벌어졌다
본성에서 보는
조망이 시원하고도 멋지다
3성
안골왜성을 뒤로하고
남파랑길 정코스로 내려간다
정코스에 합류하고
핫립세이지
소국이 탐스럽게~~
이정표는
도로를 따라 가라고 되어 있지만
해안가를 따라서 간다
청천마을 포구
점심먹기 딱 좋은 곳에서 냠냠~~
다양한 반찬에 입이 즐거운~~~
오른쪽 배 모형이 보이는 곳으로
걷게 된다는 것을 나중에 알게되다
웅산~불모산~화산 능선이 쫘~~악
다시 또 가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대장천(大壯川)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대장동 화산(花山)의 남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성흥사에 이르러 남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성흥사를 지나면서 하천의 경사가 급격히 완만해지고
마천동에서 소사천을 아우른 뒤 두동에서 바다로 합류되는
유로 연장 6.00㎞, 유역 면적 29.97㎢로 하천으로
중류에 해당하는 덤바위, 대장동, 죽항, 부암 마을에 걸쳐 넓은 들이 펼쳐져 있다
발원지인 화산은 북쪽에 위치한 김해시 장유면 율하천 및 대청천과 분수계를 이루고
대장천은 팔판천이라고도 불린다
대장천 골짜기는 팔판산계곡, 대장동계곡, 성흥사계곡으로 불리며
여름에 많은 피서객들이 찾고 있다
팔판산계곡에 자리 잡은
성흥사는 833년(흥덕왕 8)에 무염(無染)이 창건하였으며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
팔판산 계곡에서 흐르는 물은
연중 그치지 않아 대장동에서는 농사가 잘되어
‘웅천 낙토는 대장동’이라는 말이 전래되고 있다
다리를 건너자마자 왼쪽으로~~
여기서부터 시작되는 가림막 울타리 휀스는 어디까지.....?????
청화쑥부쟁이
참 이쁜 꽃인데
왜 시선이 잘 가지 않는 곳에서 피어 있는가......??
애기동백
황포돛대 노래비가 있는 소공원
황포돛대 노래비
생각난다 여기가.....
몇년전 내 고향친구 아들 결혼식 마치고
친구들과 이곳에 들려 해안데크길도 걷고
황포돛대 노래도 듣고 했었는데
지금은 어마어마한 길이와 높은 휀스를 쳐 놓아
해안을 볼 수 없는 아쉬움이다
황포돛대
마지막 석양빛을 깃폭에 걸고
흘러가는 저배는 어디로 가냐
해풍아 비바람아 불지를 말아
파도소리 구슬프면 이 마음도 구슬퍼
아~ 어디로 가는 배냐
아~ 어디로 가는 배냐
황포 돛대야
순풍에 돛을 달고
황혼 바람에 떠나가는 저 사공
고향이 어디냐
사공아 말해다오 떠나는 뱃길
갈매기야 울지마라
이 마음도 서럽다
아~ 어디로 가는 배냐
어디로 가는 배냐
황포 돛대야
황포돛대 노래비
2003년에 조각가 이상헌이 '고향의 향수'란 주제로 조각한 작품으로
경남 창원시 진해구 남양동 324-15 맞은편 소공원인, 해안관광 도로의
중간지점인 영길만에 세워진 진해 지역의 새로운 관광명소이다
1960년대 대중가요로 널리 알려진 '황포돛대」는 작사가 이용일(본명 : 이일윤)이
이 고장 출신으로 경기도 연천의 포부대 근무 당시 고향 바다인 영길만을 회상하며
노랫말을 만들었고 군 제대 후인 1964년 백영호 작곡, 이미자의 노래로 발표하게 되어
국민 애창곡으로 널리 불리게 되었다
그 유래를 담아 이곳 영길만 도로변에 황포돛대 노래비를 건립하게 되었고
가로 5m, 세로 6m, 높이 7m 규모로 화강석을 재료로 하여 제작된
노래비 전면에는 노래 가사가, 뒷면은 작품 설명이 새겨져 있다
반대편에서 봤던 배모형
카페를 했었는지 지금은 영업을 안하는...
끝없이 이어지는 가림막 울타리 휀스
시간이 지나면 사진처럼
멋지게 이쁜곳으로 변해 있겠지....
휀스 끝난 안을 뒤돌아 보고
계속 매립 중인 것 같다
흰돌메공원
하얀 바위나 흰 돌이 많아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백석산(白石山)· 흰돌메라는 옛 지명에서 따 온 말로
시민공모로 정한 공원 이름이다
새해에는 해돋이 장소로
봄이면 벚꽃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는 곳이다
웅포 해전
전라 좌수사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웅포[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와성 마을과
사도 마을 사이의 포구]를 점거하고 있던 왜군을 격멸하기 위하여 1593년 2월 10일부터
3월 6일 사이에 접전을 벌인 해전을 일컫는다
조선 수군이 부산에 진을 친 왜군을 공격하기 위해서는 웅포를 점거한 왜군을 소탕하여
배후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 선결문제였다
그러나 왜군은 임진년의 해전에서 연전연패하자 조선 수군에게 대응하지 말고 수성하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해상 전투를 피하고 포구의 산기슭에 은거하여 지형적으로
공격하기 어려운 웅포에 함선들을 정박시킨 상태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1년쯤 지난 1593년 2월부터 3월 초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지금의 창원(진해구) 웅포에 주둔하고 있던 왜군을 조선 수군이 공격하여 승리한 해전이다
1593년 1월 조정으로부터 부산에 주둔한 일본군을 섬멸하라는 지시를 받은 이순신은
2월 6일에 80여 척의 전선을 거느리고 전라 좌수영[현재 전라남도 여수시에 소재]을 출발하여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도 사이의 좁은 수로인 견내량에 이르러 경상 우수사 원균과
전라 우수사 이억기의 함대와 합류하여 부산 쪽으로 가던 도중 웅포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을 발견하였다
조선 수군은 이순신의 주도 아래 2월 10일(음), 12일, 18일, 20일 4차례에 걸쳐 일본군을
바다로 유인하는 작전을 펼쳤지만 적은 포구 밖으로 일체 나오지 않았다
이에 조선 수군은 유인작전을 포기하고 2월 22일 단독으로 상륙작전을 겸한 총 공세를 펼쳤다
의승병들과 사부들을 태운 10여 척의 전선을 동으로는 안골포에, 서로는 제포에 상륙시켜 공격하였다
적세가 분산될 때 전선 15척을 웅포를 향해 돌격시켜 총통을 쏘아 적선을 반이나 쳐부수고
수많은 적 인명을 살상하였다
이후 2월 28일과 3월 6일에도 산기슭의 적 진지에 포탄과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쏘아
많은 사상자를 내었다
그러나 왜군은 여전히 포구에 은거하여 완강하게 저항하였다
이순신은 최후 수단으로 화공으로 왜선들을 불태워버리고자 화선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함선을 상실하여 궁지에 몰린 왜군들이 우리 백성들에게 화풀이하면 그 피해가 클 것을
우려하여 화공을 중단하였으며 4월 3일에 연합 함대를 해산하고 전라 좌수영으로 돌아왔다
이 해전은 일본군의 서진 의지를 좌절시킨 의미가 컸으며 7차례 해전에서 각기 다른 전술을
구사하여 승리를 거둔 것이 특징이다
초록초록한 녹나무의 싱그러움이 좋다
또 이어지는 휀스~~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의 남문대교밑을 지나간다
화살나무잎이 이쁘게 물들었다
횡단보도를 건너 후
또 건너고
동천을 가로지르는 동천 3교위 팬지
에구구 철쭉이 때도 모르고선....
주기철(朱基徹) 목사
경남 창원(昌原) 웅천 출생의 독립운동가이다
1916년 평북 정주의 오산(五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의 연희전문(延禧專門)
상과에 입학하였으나 곧 중퇴하였다
그 후 웅천(熊川)에서 남학회(南學會)를 조직하여 애국사상을 고취하였으며
3.1운동에 참가한 후 1926년 평양의 장로회 신학교를 졸업하였다
부산 초량교회(草梁敎會) 목사, 마산 문창(文昌) 교회 목사를 거쳐
1936년 평양 산정현(山亭峴) 교회 목사가 된 후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항일운동을 계속하다가 1938년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징역 10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옥사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웅천읍성 동문지 옹성
반원형의 편문식으로 체성과 동시기에 축조하였다
현재 확인되는 웅성은
전체 직경 18m, 내벽 직경 약 13m이며 옹성의 외벽 둘레는 52m,
내벽 둘레는 27m이다. 잔존 최고 높이는 약 3.5m 정도이다
옹성 체성부 폭은 약 3.5m로 내벽의 경우 약 3단 정도가 나타나고 있다
옹성의 개구부는 북쪽을 향해 약 폭 4m 정도로 확인되었다
옹성 체성부는 성석(城石)의 면이 바깥쪽으로 보이도록 하면서
세워쌓기·눕혀쌓기 하였으며
사이사이에는 끼임돌을 사용하였다
성석의 크기는 2mⅩ1.5mⅩ1.2m정도의 것이 대부분이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진다
기단부의 축조는 체성의 축조와 동일한 형태로
바닥에 인두(人頭)대의 할석을 쌓고 내·외벽 끝에서
약 1.5m 정도까지 판석으로 깐 기단석이 돌출되어 있고
그 위에 지대석을 설치하고
약 20cm 정도 퇴물림하여 체성부를 축조하고 있다
현재 옹성 내부 바닥에서는 배수시설 등의
지하시설은 확인되지 않으며 유물 역시 자기편 일부와
기와 편 등이 소량 확인되고 있다
웅천읍성 동문루인 견룡문(見龍門)
이쪽으로 내려와서
들어온 곳으로 나가지 않고
바로 진해 웅천동 우체국 앞을 지나서 가야하는데
다시 나가서 조금의 알바를 하다
4일, 9일에 장이 서는 웅천시장을 지나고
이쁘게 그려 놓은 벽화도 감상하고
어쩌면 좋니
초여름 어느날
웅천저작거리 애잔함으로
걸었더니
세월속으로 걷는 느낌
너무 좋은 걸
어쩌면 좋니
웅천저잣거리 끝없는 이야기 주인공은
나인것을
....
....
....
걷는자 모두가 주인공~~~ㅎㅎㅎ
제덕교 굴다리를 통과하고
댕댕이덩굴
아주 이쁘게 이쁘게~~
쑥부쟁이
이정표 보이는 제덕사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가서
6코스를 마치고
7코스 QR 찍는다
그리고
산악회 버스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뒷풀이를 맛나게 하고 출발한다
차안에서 보는 노을
**
부산코스와는
사뭇 다른 느낌의
가을색으로 물든 산능선을 보면서
날씨도 좋았던 날에
늦가을의 정취를 가득 품은 날~~^^
함께 하신 모든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2024. 12. 1(일)
첫댓글 초겨울에 만나는 짙은 가을 단풍을 즐기고 역사를 배우는 코스였네요.
예쁜 꽃들도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