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아동문학을 18세기 이전, 18세기, 19세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그 시대의 주요작가와 작품
19세기 서양 아동문학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17세기에 시작된 아동기에 대한 관념은 18세기와 19세기를 거치면서 성인들의 어린이 훈육에 대한 책임을 부각시키는 쪽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어린이의 요구와 함께 어른들의 지도가 아동기를 지배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당시에 쓰여진 작품들을 통하여 아동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어린이 책 또는 어린이 문학의 내용과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에게 미친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7세기에 발견된 어린이의 특별한 욕구는 19세기에 이르러 어른들의 강한 감독과 훈육에 의하여 이러한 욕구들이 통제되어야만 한다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지도와 훈육의 필요성은 교훈적 효과라는 개념으로 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아동문학을 교훈적 도구로 이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점진적인 변화 속에서 아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급격하게 바뀐 전기를 마련한 역사적 사건은 서구 근대 사회를 형성케 한 이중혁명이었다. 이는 서구의 역사뿐만 아니라 지성사, 문화사 등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근대 서구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18세기 후반 이후 본격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 아동문학도 이러한 역사적 흐름의 영향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중혁명이 가져온 정치적ㆍ경제적 자본주의, 낭만주의 이데올로기 속에서의 아동개념, 부르주아 계급의 등장과 가족 이데올로기 등이 직ㆍ간접적으로 아동문학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아동문학에서 즉각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장르는 바로 동화이다. 동화는 문자 그대로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이다. 동화는 종래 있어온 단순히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의 재구성이라기보다는 시정신에 입각한 인간 보편의 진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동화는 구전되어 오다가 19세기 독일의 그림형제에 의해 최초로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었으며, 안데르센이 본격적인 창작동화를 썼다. 이러한 창작동화는 근대 시인들의 예술적 의식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으로서 안데르센을 전후하여 괴테와 낭만파 작가들이 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의 영향을 받아 영국에서는 랭이 유럽의 동화를 집성하였고 라이브러리가 영국의 동화를 집성하였다.
18세기 이전의 주요작가와 작품
1) 제임스 제인웨이의 어린이를 위한 설물(1692년)
순진 무구하고 성스러운 어린이의 본성을 타락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내용
2) 페로의 빨간모자(1697년)
성인이 아이에게 이야기 하는 듯한 형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직설적으로 어린이에게 도덕 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내용
3)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17세기 후반)
제1부는 한 남자가 종교적 구원을 받기 위해 험난한 순례의 길을 떠나 하늘나라에 들어 가기까지의 이야기를, 제2부에서는 그 남자를 이해하지 못했던 가족이 뒤늦게 잘못을 뉘 우치고 그의 뒤를 따라 순례길에 오른 뒤 하늘나라에 이르는 이야기을 담고 있다.
4) 존 뉴베리의 작고 예쁜 포켓북(1744년)
부모와 선생의 교육적인 욕구와 챕북에 대해 아이들이 가지는 흥미를 적절히 조화시킴
5) 토마스 데이의 샌드포드와 머튼(1783~9년)
6) 트리머 부인의 로빈슨의 역사(1786년)
7) 존 에이킨과 안나 바볼드의 가정에서의 저녁(1792~6년)
8) 마리아 에지워스의 부모의 보좌인(1796년)
19세기의 주요작가와 작품
1) 그림형제의 작은 빨간 모자(1823년)
17세기판 페로의 것과는 달리 어린이의 관점으로 이야기를 서술해가고 있으며 짧고 단순 한 문장과 어린이의 시각이 반영된 담화구조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2) 캐서린 싱클레어의 휴식의 집(1839년)
어린이의 타고난 개성을 생생하게 그린 작품으로 세 명의 어린이들이 관습을 깨고 폭군 같은 유모를 이기는 유쾌한 소설로서 도덕적 이야기의 가혹함을 깨부순 이정표적 작품
3) 찰스 램의 나비의 무도회(1807년)
아동을 지배해 온 종교, 도덕, 그리고 교훈주의의 경직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계기 를 가져다준 작품
4) 존 러스킨의 황금강의 왕(1851년)
5) 에드워드 리어의 넌센스 이야기와 더 많은 넌센스 이야기들(1846년)
6) 새커리의 장미와 반지(1854년)
7) 메리 호윗의 어린이를 위한 멋진 이야기들(1864년)
8) 앤드류 랭의 색깔 동화 시리즈(19세기 후반)
이상과 같이 서양의 아동문학을 18세기이전과 19세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대적 배경과 특징 및 그 시대의 주요작가와 작품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동문학은 창작단계에서 이미 실재의 어린이를 아웃사이더로 설정할 가능성을 내포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어린이의 마음과 눈을 담으려는 작가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 작품 속에 실재의 어린이를 재현해 내는 일이 전혀 불가능한 일만은 아닐 것이라는 현존 하는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러한 믿음이 바로 아동문학의 존재 근거가 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며 이렇게 사유되고 창작된 아동문학작품이라면 어린이를 위한 책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이영림, “아동문학과 어린이의 성장”, 성신여대, 2004
- 차은정, “영국 판타지 아동문학 연구”, 숙명여대,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