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스(Karl Marx, 1818-1883)
** 맑스 (Karl Marx 1818-1883)년표
1818년 5월 5일 독일 라인란트의 유서 깊은 로마 가톨릭 도시 트리어(Trèves, aujourd'hui en Rhénanie-Palatinat)에서 유태인(juif ashkénaze)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수대에 걸친 유대교 랍비의 후예였다. 그 가문의 성은 원래는 모르데카이(Mordechai)였으나 마르쿠스(Markus)로 고쳤고 다시 맑스(Marx)로 바꾸었다. 아버지 하인리히(Heinrich)는 유대인이 관직을 갖는 것을 금하는 차별 법령을 피하기 위해 1817년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한 기독교인이었다.
- 엥겔스(Friedrich Engels, 1820–1895) 독일 과학적 사회주의자. 정치이론가, 사업가.
1830(14세) 김나지움에 들어가다. Il entre au Gymnasium Friedrich-Wilhelm de Trèves en 1830.
고교시절 어느 젊은이의 직업 선택에 관한 고찰
1835년 10월 본 대학에 입학하여 법학을 공부하였다. 아들이 자신처럼 변호사가 되기를 바란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맑스는 문학과 철학에 심취했고, 점점 법학에는 관심을 갖지 않게 되었다.
1836(18세) 베를린의 훔볼트 대학교(fr.Wiki l'université Friedrich-Wilhelm)로 전학했다. 그러나 베를린에서도 그는 역사와 철학에 몰두하였다. 여기서 브루노 바우어(Bruno Bauer, 1809-1882)를 만났다. : 간스(Gans), 리터(Ritter), 사비니(Savigny), 슐레겔(Schlegel), 슈테펜스(Steffens) 강의를 들었다.
1836 루트비히 포이어바흐(Ludwig Andreas Feuerbach, 1804-1872)의 기독교의 본질(1836 L'essence du Christianisme)
1838 아버지 하인리히 맑스(Heinrich Marx, 1782–1838) 사망.
1841(23세) 청년 맑스는 예나 대학에서 〈Differenz der demokritischen und epikureischen Naturphilosophie, 1841: fr. Différence de la philosophie de la nature chez Démocrite et Épicure.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철학의 차이점〉으로 철학박사학위.
1842(24세) 라인지방 부르주와 자유인들이 라인신문(Rheinische Zeitung « Gazette rhénane »)을 쾰른에서 창간하였다. 이들에게 맑스와 바우어가 먼저 참여하고 헤스(Moses Hess, 1812-1875)도 참여한다
1842 10월 라인신문 편집장이 되었다. .
1843(25세) 1월 라인신문은 폐간되었는데, 당시 맑스는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는 프로이센에 '프로이센 정부에 의해 편집장직을 사임합니다.'라는 광고문구와 프로메테우스(맑스)가 독수리(프로이센)에게 괴롭힘 당하는 그림으로 저항했다.
1843(25세) 6월 19일 베스트팔렌(Jenny von Westphalen 1814-1881)과 결혼하다. à Bad Kreuznach, Marx épouse une amie d'enfance, - Johanna Bertha Julie « Jenny » Freiin von Westphalen dite « Jenny Marx »,
1843(25세) 헤겔의 법철학 비판, 서설(Zur Kritik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Einleitung, 1843: Contribution à la critique de la philosophie du droit de Hegel. Introduction)을 발표하는데 청년헤겔학파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나, 거기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 생존에서 물질적 조건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유물론의 단초를 보여주고 있다. - 독일의 신흥 부르주아들의 취약성을 지적하면서 프롤레타리아만이 역사적 과업을 지탱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을에 프랑스 파리로 이주한다. 루게(Arnold Ruge 1802-1880)와 함께 신문(Annales franco-allemandes)을 만들었다. 본격적으로 프랑스 사회주의자의 혁명적 집단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었는데, 맑스의 정치사상과 철학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는 여기서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던 의인동맹(義人同盟, Bund der Gerechten)이라는 비밀결사단체에 가입하는데, 행동주의적, 급진적, 혁명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던 비밀결사체였다. 이 단체를 공산주의자 연맹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쓴 것이 공산당 선언(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이다. 맑스 사상의 특징적 일부가 이 당시 저술에 나타난다. 독일의 관념철학에서 벗어나 역사유물론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엥겔스(Engels 1820-1895)는 10월 "Outline of a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정치 경제학 비판 개요)를 썼다. 이 글을 파리에서 받은 맑스가 1844년에 Deutsch-Französische Jahrbücher에 실었다.
헤겔의 국가권력 비판(Kritik des Hegelschen Staatsrechts, 1843: Critique du droit politique), 유대인 문제(Zur Judenfrage, 1943: (La question juive),
1844(26세) 유태인 문제에 관해서(Zur Judenfrage, 1844)에서 그는 유태인들은 프랑스 혁명을 통해 사적으로 해방된 것이지 인간으로서 해방된 것은 아니다, 사적 소유와 개인주의를 극복하는 사회주의 혁명이 필요하다, 라고 서술하였다.
논문에 대한 비판적 평주: 프러시아 왕과 사회적 개혁, 한 프러시아인에 의해(Kritische Randglossen zu dem Artikel: “Der König von Preußen und die Social reform. Von einem Preußen.” 1844(« Gloses critiques en marge de l'article “Le roi de Prusse et la réforme sociale. Par un Prussien” »)
이른바 '파리수고(유고)'로 알려진 경제학-철학 수고(Economic and Philosophical Manuscripts of 1844)에서는 역사유물론의 초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844(26세) 맑스는 파리에서 하이네(Heinrich Heine) 및 헤르베크(Georg Herwegh)와 알게 되었다. 1789년 혁명을 연구했다.
9월 맑스는 예전에 본적이 있는 엥겔스를 9월에 파리에서 다시 만났다.
- 엥겔스(Engels)와 공동, 신성가족(Die heilige Familie, 1844, The Holy Family)
- 엥겔스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1844)
1845 포이에르바흐에 관한 11개 주제들(elf Thesen über Feuerbach von 1845)
1846(28세) 맑스는 독일 이데올로기(Die deutsche Ideologie, 1846)를 발표한다. 엥겔스와 공저로서 600여 페이지의 방대한 저작이다. 주로 맑스 사상인 이 저작에서 맑스가 청년헤겔주의자와 결별을 선언하고 있으며 그들과 차별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저작은 맑스의 사상 발전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역사유물론에 대하여 최초로 체계적으로 서술했으며, 사회주의 혁명이 발발할 수밖에 없는 조건을 자본주의 자체가 잉태하고 있다고 쓰고 있다. / 저술에서 비판은 바우어, 슈티르너, 포이에르바흐, 그륀, 쿨만 등의 비판이다.
1847년 공산주의자동맹(Ligue des communistes, deu. Bund der Kommunisten)을 창설했다(1852까지 유지). 이 조직(의인동맹)은 블랑키와의 차별을 선언하면서 비밀결사에서 공개조직으로 탈바꿈하려하고 있었다.
1847년 철학의 빈곤(Das Elend der Philosophie, 1847: Misère de la philosophie) - 프루동(Proudhon, 1809-1865)의 저작 빈곤의 철학(Système des contradictions économiques ou Philosophie de la misère, 1846)에 대한 비판.
1848(30세) 프랑스 혁명 발발.
-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공동집필 2월에 발표한 공산당 선언(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 1848). 공조직의 성립은 1848년 2월 혁명 덕분이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마르크스의 초기 사상에서 보이는 휴머니즘적 철학적 고뇌는 상당히 감소하고 정치경제학적 내용의 비중이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해 알튀세르는 인식론적 단절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 쾰른에서 6월 신라인차이퉁(Neue Rheinische Zeitung: la « Nouvelle Gazette rhénane ») 발간 (1849년 5월까지) / À l'éclatement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de février 1848, Marx quitte la Belgique pour revenir à Paris. Avec l'extension de la révolution à l'Allemagne, il part pour Cologne pour y devenir rédacteur en chef de la Neue Rheinische Zeitung (la « Nouvelle Gazette rhénane ») publiée du 1er juin 1848 au 19 mai 1849. - 아마도 이때, 「쾰른 배심원들 앞에서 칼 맑스(Karl Marx devant les jurés de Cologne)」의 부록들이란 글들이 나왔을 것이다.
1849(31세) 파리에서 런던으로 추방되었다.
1850(32세) 프랑스에서 계급투쟁(Die Klassenkämpfe in Frankreich 1848 bis 1850, 1850),
1852(34세)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Der achtzehnte Brumaire des Louis Bonaparte, 1852)
미국의 캘리포니아에서 금광이 발견되어 여기에서 채굴된 금이 유럽으로 들어왔고,
자본론 집필을 구상해나가는 속에서 초고(Grundrisse der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 kurz: Grundrisse: 정치경제학 비판 강요)가 발견되었다.
1853(서른다섯) Révélations sur le procès des communistes à Cologne(Bâle, 1853)
1855 스페인에 관한 몇 원문(1855)들이 있다.
1859(41세) 정치경제학 비판(Zur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 1859: Contribution à la critique de l'économie politique, 1859)(1939-1941 발간)
-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종의 기원 출판
1862 맑스가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다윈에 대한 맑스의 평가: 목적론을 한방먹인 첫째 시도이라 했다.)
1863 그의 어머니 헨리에테(Henriette Pressburg, 1788-1863); 그녀는 홀란드 유대인이며 아버지가 랍비였다. 그녀의 아버지가 1823년 사망한 후에 루터주의로 개종했다.
1864(45세), 국제 노동자 연맹(제1인터네셔날) 창설(9월 28일) 기념 연설문 작성(il rédige l’Adresse inaugurale de l'Association internationale des travailleurs, « Première Internationale ». / (Mazzini en Italie, Proudhon en France, plus tard Michel Bakounine en Suisse, syndicalisme britannique, lassalliens en Allemagne, etc.) 이들을 통합해야 했다.
1867(49세)년 초판이 출간된 자본론: 맑스의 모친은 자본론이 나왔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기 자본이나 만들지...”라고 말했다고 한다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운동-공산주의 선언》, 박찬종 지음, 아이세움): 내가 읽은 글에서 모친은 자본론이 나오기 전에 죽었다고 되어 있었다.
1869년에 아이제나흐에서 (라살레 등이) 혁명적 노동자 당 형성.
1870 프랑스 프러시아 전쟁
1871 파리꼬뮌
1871(53세) 빠리 꼬뮌(Der Bürgerkrieg in Frankreich, 1871: La Guerre civile en France, 1871(The Civil War in France).
1872(54세) 인터네셔날 분열
1873 바쿠닌(Mikhaïl Aleksandrovitch Bakounine, fr. Michel Bakounine, 1814-1876)의 국가주의와 무정부정(Étatisme et anarchie, 1873) .
1874(56세) 맑스는 바쿠닌의 책(국가주의와 무정부정, 1873)) 을 읽고 비판의 초고를 썼다.
1875 독일 사민당(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SPD: Le Parti social- démocrate d’Allemagne) 창당, - qui a été fondé en 1875 (sous le nom de SAP, renommé SPD en 1890),
1875(57세) 고타강령비판(Kritik des Gothaer Programms, 1875: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 1875)
- 엥겔스 Herr Eugen Dühring's Revolution in Science, 1878)
- 엥겔스 사회주의(Socialism: Utopian and Scientific, 1880)
1883(65세) 〈바그너에 대한 평주〉(Notes on Wagner)
1883(65세) 런던에서 사망
- 엥겔스 가족의 기원, 사적 소유, 국가(The Origin of the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1884)
- 1885년, 자본 2(Das Kapital, II)(Bd. 2: Der Circulationsprocess des Kapitals (hrsg. von Engels, 1885, 《자본론 2》, 김수행 옮김 (비봉출판사, 2004) / 《자본 II》, 강신준 옮김 (길, 2010)
- 1894년, 자본 3(Das Kapita lIII)(Bd. 3: Der Gesammtprocess der kapitalistischen Produktion (hrsg. von Engels, 1894)
(3:26 47WKG) (4:16, 49MMC)
맑스(Karl Marx, 1818-1883)의 가족들
1814 제니 맑스(Johanna Bertha Julie Jenny Marx, geborene von Westphalen, 1814-1881) in London)
1820 데무트(Helena „Lenchen“ Demuth, 1820-1890) 맑스 부인의 하녀
1844 제니(Jenny Caroline, 1844-1883)는 1883년 심장병으로 39세에 목숨을 잃었다. 1872년에 빠리꼬문의 인물인 롱게(Charles Longuet, 1839-1903)와 결혼했다.
1845 로라(Laura, 1845-1911) 1868년에 프랑스 사회주의자와 결혼했다. 1911년에 66세의 나이로 남편 라파르그(Paul Lafargue)와 함께 존엄사했다. 맑스에 관한 개인적 추억들(Souvenirs personnels sur Karl Marx)을 남겼다.
1847 Edgar (1847-1855), 1849 Heinrich Guido (1849-1850) 1851 Franziska (1851-1852) 일찍 죽은 세 자식.
1851 데무트( Harry Frederick Demuth, 1851-1929), issu d'une relation avec la bonne de famille, Helene Demuth. Frederick Demuth fut reconnu par Friedrich Engels.
1855 일리노어(Jenny Julia Eleanor, 1855-1898)는 1898년에 43살의 나이로 자살하고. 영국인 아벨링(Edward Aveling. s.d.)과 결혼했다.
**
*맑스 주변과 연구자들 **************
460? 류키포스(Leucippe, Λεύκιππος / Leúkippos 480년경 v. 460 ?- 370 av. J.-C.), 원자론 창시자(?) 440년 주로 활동, 데모크리토스는 430년경에 주로 활동. 스승겸 친구로 지낸 것이 아닐까?
460 데모크리토스(Démocrite, Δημόκριτος/Dêmókritos, «choisi par le peuple», 전v. 460-v. 370)(90살?) 아브데라( Ἄϐδηρα/Ábdēra) 출신이다. 원자론자 53권의 저술을 썼으나 남아있지 못하다. [소크라테스에 비해 10여 년 어리다. 플라톤 보다 33살 정도 많다.]
341 에피쿠로스(Epicure, Ἐπίκουρος, Epicuros. 전341-270; 71살) 탄생 플라톤이 죽은 후 6년이 지나 태어났다. 알렉산더가 죽을 때 18살이었다.
106 키케로(Cicéron, Marcus Tullius Cicero, 전106-전43) 로마 철학자. 정치가
98 류크레티우스(Lucrèce, Titus Lucretius Carus, 98-55기원전) 에피큐로스 학파 로마 시인 탄생 『사물의 본성(De rerum natura)』(De la nature des choses)
O
46 플루타르코스(Plutarque, Πλούταρχος/Ploútarkhos 46-125) 케로네(Chéronée en Béotie)태생, 그리스 출신 로마 역사가 사상가. 중기 플라톤주의 영향을 받았다. 위인 전기(Vies parallèles des hommes illustres, en grec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 / Bíoi Parállêloi),『도덕작품(Oeuvres morales)』이 있다.
160 섹스투스 엠피리쿠스(gr. Σέξτος Ἐμπειρικός Sextos o Empeirikos, lat. Sextus Empiricus 160경-210, 190년경 활동, 3세기 초 그리스의 철학자, 의사. 피론의 유파에 속하는 회의론자이다. 저서에 피론 사상 개설 Esquisses pyrrhoniennes (Πυῤῥώνειοι ὑποτύπωσεις ou Pyrrhōneioi hypotypōseis)(3 Livres)이 있다.
2??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Diogène Laërce 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 Diogenês Laertios, Diogenes Laertius, 3세기경) 역사가, 철학자 시인 학설사가. 철학에서 유명한 학자들의 생애와 사상(Λαερτίου διογένους βίων καὶ γνωμῶν τῶν ἐν φιλοσοφία εὐδοκιμησάντων καὶ τῶν ἑκάστη αἱρέσει ἀρεσάντων τῶν εἰς δέκα τὸ πρῶτον (manuscrit de Florence : De Diogène Laërce, vies et pensées de ceux qui en philosophie se sont illustrés, et recueil des doctrines de chaque école en dix livres - livre premier)
1469 마키아벨리(Nicola Machiavel, 1469-1527) 메디치 가(家)가 지배하는 플로렌스에서 태어나서 그 당시의 행정과 정치를 맡아본 이탈리아 정치 사상가이다.
1473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는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해주는 색다른 가설, 지동설을 1543년에 냈다.
1561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 영국 철학자, 귀납법을 주장.
1583 휴고 그로티우스(Hugo Grotius, 1583-1645) 하위흐 더 흐로트(Huig de Groot)는 "국제법의 아버지", "자연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정치가이다.
1588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옥스퍼드에서 공부하고, 프랑스에서 지내면서 수학과 물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영국에서 일어난 시민전쟁으로 정치적 글을 쓴다.
1596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프랑스 수학자 의학자 철학자이다. 그는 새로운 철학의 방법을 제시하고, 당시 카톨릭의 비판을 피하여 네델란드에서 지냈다.
1632 스피노자*(Baruch Spinoza, 1632-1677) 리베리아 반도에서 온 유태인 가계의 출신으로 네델란드에서 낸 철학자이다. 그는 그리스트교나 유태교가 지닌 유일신의 불변성과 독자적 고유성에 대해 부정하고, 살아있고 움직이는 자연 즉 신을 주장한다.
1632 로크(John Locke 1632–1704) 영국 철학자, 내과의사. 영국 경험론자이며, 고전적 자유주의의 아버지("Father of Classical Liberalism")라 불린다. [상업 자유주의로서 인성자유주의자(스피노자)들에 대척점에 있다. ]
1689 몽테스키외 (Charles Louis de Secondat, Baron de Brède et de Montesquieu, 1689-1755) 보르도 지방 브레드에서 태어난 그는 그 지역 의회의 의장을 맡기도 한다. 그는 정치적 관심뿐만 아니라 문학적 관심의 작품도 있다.
1694 볼테르(Voltaire: François-Marie Arouet, 1694-1778)
1709 라메트리(Julien Jean Offray de La Mettrie, 1709-1751) 프랑스 의사, 유물론자, 경험론자.
1712 룻소* (Jean-Jacques Rousseau, 1712-1778) 프랑스 17세기 절대왕정 시대에, 사회와 문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지니고, 인민의 자아 의식의 성장을 직감했던 계몽의 철학자이다.
1715 꽁디약(Etienne Bonnot de Condillac, 1715-1780) 프랑스 감각론자.
1715 엘베시우스(Claude Adrien Helvétius, 1715-1771) 프랑스 철학자, 프랑마송, 로크의 영향으로 유무론적 감각주의자.
1717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1717-1783) 백과전서파, 프랑스 철학자 수학자.
1723 르화(Charles Georges Leroy, 1723-1789), 왕실사냥부대 장교. 동물 행태학의 초기저작들 중의 하나를 쓴 작가[데카르트주의자]. 디드로(Denis Diderot, 1713-1784), 달랑베르(Jean le Rond d'Alembert, 1717-1783), 벨베시우스(Claude-Adrien Helvétius, 1715-1771)의 친구이다.
1723 올바흐(Paul Henri d'Holbach, 1723-1789) 독일 출신 프랑스 과학자, 유물론 철학자.
1724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현재로는 폴란드보다 더 동쪽에 있는 쾨니히스베르그 출신의 프러시아 공화국의 철학자이다. 인간의 표상적 인식의 조건을 규정하고, 도덕적 이성의 신에게 종속을 요청하고, 미적으로 신의 작업의 숭고함에 경건하게 기도하는 듯이 긍정한 프로테스탄트 철학을 구성하였다.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이 칸트보다 13살 어리다]]
1729 레싱(Gotthold Ephraim Lessing, 1729-1781) 독일 작가, 비평가, 극작가. 독일 범신론 논쟁(1785 à 1815) Sur la réalité des choses en dehors de Dieu (Über die Wirklichkeit der Dinge ausser Gott, 1763) Trad. fr. in Herder, Dieu. Quelques entretiens, Paris, PUF, 1998, p. 127-160. "Philosophie religieuse de Lessing qui devait beaucoup à Spinoza" (P. Grappin).
[1737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 조선 후기의 실학자, 소설가. 『열하일기(熱河日記)』]
1743 콩도르세(Marie Jean Antoine Nicolas de Caritat, Marquis de Condorcet, 1743-1794) 프랑스의 수학자, 정치가. 처음에는 수학을 연구하여 과학 아카데미의 상임서기, 아카데미의 회원이 된다. 튀르고의 친구가 되어 사회와 정치 문제에도 관심을 보였다.
1748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 영국 철학자, 법률상담가, 공리주의자.
1749 미라보(Honoré Gabriel Riqueti, Comte de Mirabeau, 1749-1791) 프랑스의 정치가, 사상가이다.
1757 까바니스(Pierre Jean Georges Cabanis, 1757-1808) 프랑스 의사, 생리학자, 철학자. 계몽사상의 영향을 입었다. 프랑스 의학교육의 개혁자.
1760 생시몽(Claude-Henri de Rouvroy, comte de Saint-Simon, 1760-1825) 프랑스 철학자, 경제학자.
[1760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François-Noël Babeuf, 1760-1797) 별명 그라쿠스 바뵈프(Gracchus Babeuf). 프랑스의 혁명 시대의 정치 선동가, 필진이었다. 그는 “평등 결사”(Societé des égaux 번: 민중의 사건)로 1796년 5월 10일, 나폴레옹이 이끄는 정부에 의해 체포되었으며 1797년 2월 20일과 5월 26일에 재판을 받았고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 붉은 깃발은 이때부터라 한다. 독일철학이 프랑스를 잘 모르는 부분이다.]
1762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 1762-1814) 독일 관념론 철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과 같은 해 태어났다.]
1770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 프랑스 혁명에서 인민의 자유를 너머 멀리서 바라보면서 인간의 정신이 신의 인격에 이를 것으로 만든 또 하나의 토마스 주의자로 철학을 하였다. 그는 프러시아 통일의 영광을 만들기 위하여 루터파 교리에 맞추어 신의 절대성을 강조한 근대판 교부 철학자이다.
1771 오웬(Robert Owen, 1771-1858) 영국 개혁가 사회주의자
1772 푸리에(Charles Fourier, 1772-1837) 프랑스 사회주의자
1802 루게(Arnold Ruge, 1802-1880) 독일의 사상가, 저널리스트. 할레연지(年誌) Hallische Jahrbücher für deutsche Wissenschaft und Kunst 헤겔 좌파의 기관지 간행.
1804 포이에르바하(Ludwig Andreas Feuerbach, 1804-1872) 독일 철학자, 헤겔좌파. 크리스트교의 본질(L'Essence du christianisme (das Wesen des Christenthums), 1841, 루터의 의식에서 신앙의 본질(L’Essence de la foi dans l’esprit de Luther (das Wesen des Glaubens im Sinne Luther's), 1844
1804 으젠 수(Marie-Joseph Sue, dit Eugène Sue, 1804-1857) 프랑스 작가. 파리의 불가사의들(Les Mystères de Paris, 1842-1843), 유랑하는 유대인(Le Juif errant, 1844-1845).
1805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Louis Auguste Blanqui, 1805-1881) 프랑스의 사회주의자. 운동가, 생애 1/3, 33년을 감옥에 살았다. 그의 사상은 청년 카를 마르크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1806 슈티르너(Max Stirner, 본명 Johann Kaspar Schmidt 1806-1856) 독일의 철학자,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자. G.W.F.헤겔, 슐라이어마허의 영향을 받았다. 유일자(唯一者)와 그의 소유(1845)를 저술하여 자아주의(自我主義)를 철저히 추구하였다. 그를 실존철학의 계열로 보는 견해도 있다. / 맑스 “도이치 이데올로기”의 비판대상이다]
1807 게(Jules Gay 1807-1876) 프랑스 공산주의자
1808 데자미(Théodore Dézamy, 1808-1850) 프랑스 공산주의자
1808 스트라우스(David Friedrich Strauss, 1808-1874) 독일 역사가 신학자. 예수의 생애(Das Leben Jesu, 1835)(La Vie de Jésus)
1809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Pierre-Joseph Proudhon, 1809-1865) 프랑스의 상호주의 철학자, 언론인. 프루동은 스스로를 '아나키스트'(anarchiste)라고 칭한 최초의 인물. 소유란 무엇인가(Qu'est-ce que la propriété? ou Recherche sur le principe du Droit et du Gouvernement, 1840) 빈곤의 철학(Système des contradictions économiques ou Philosophie de la misère, 1846). 연방의 원리와 혁명당의 재건의 필연성(Du Principe fédératif et de la nécessité de reconstituer le Parti de la Révolution, 1863),
1809 브루노 바우어(Bruno Bauer, 1809-1882) 독일 신학자, 철학자, 역사가. 마가복음이 기원일 것이라고 주장하며, 예수가 신화화 되었다고 하였다. 스트라우스의 1835년 작품에 반대하여 (Kritische Darstellung der Religion des Alten Testaments 1838),(2 vols)에서 예수의 복음(새소식)을 옹호한 것이다. 유태인 문제(La Question juive 1843), Christ et les Césars, 1877) / 1809 바우어(Bruno Bauer, 1809-1882) 독일의 철학자, 헤겔 좌파(左派). 요한복음서와 공관복음서(마태 마가 누가)의 역사에 대한 비판(Critique de l'histoire de l'Evangile de Jean et des Synoptiques, 1840-1842)
[1811 루이 블랑(Louis Blanc, Jean-Joseph-Charles-Louis Blanc. 1811-1882) 프랑스의 공상적 사회주의자. 생시몽의 영향으로, 특히 노동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사회작업장' 이론으로 유명하다.]
1812 헤스(Moses Hess, 본명 Moritz Hess, 1812-1875) 독일의 언론인․사회주의자
[시에츠코스키(August von Cieszkowski, 1814-1894) 폴란드 철학자, 경제학자, 정치운동가. 헤겔좌파, 행동의 철학(Philosophie de l'action)을 창안했다.
1813 뷔흐너 형제들 Georg Büchner (1813–1837), dramaturge, écrivain et scientifique allemand, La mort de Danton (Dantons Tod, 1835) / Ludwig Büchner (1824–1899), philosophe et naturaliste allemand / Alexander Büchner (1827–1904), professeur de littérature et écrivain franco-allemand
1814 바쿠닌(Mikhaïl Aleksandrovitch Bakounine, fr. Michel Bakounine, 1814-1876)의 국가주의와 무정부정(Étatisme et anarchie 1873) .
1817 그륀(Karl Grün, 1817–1887)(필명 Ernst von der Haide), 독일 기자, 저술가. 사회주의 운동가. 유대인 문제: 브루노 바우어에 반대하여(Die Judenfrage. Gegen Bruno Bauer. 1843, en. The Jewish Question. Against Bruno Bauer)
1818 맑스(Karl Marx 1818-1883) 독일 철학자
1820 엥겔스(Friedrich Engels, 1820–1895), 독일 철학자.
1820 바우어(Edgar Bauer, 1820-1886) 독일 정치철학적 작가. 브루노 바우어(Bruno Bauer, 1809-1882)의 동생, 런던에서 맑스를 만난다. Der Streit der Kritik mit Kirche und Staat, 1843)
1825 페르디난트 라살레(Ferdinand Lassalle, 1825-1864) 독일 사회주의자, 혁명사상가. 독일 사회민주당의 전신인 전독일노동자협회의 창설자이다. 그가 만든 대표적인 사회주의 분파 사상으로는 국가사회주의자.
1826 빌헬름 리프크네히트(Wilhelm Philipp Martin Christian Ludwig Liebknecht, 1826-1900), 독일 사회민주당(Sozialdemokratischen Partei Deutschlands, SPD)
1828 쿠겔만(Louis Kugelmann, 1828-1902) 유태인 가계 독일인, 부인과 의사, 사회주의자. 맑스와 오랜 편지 교환이있다. 노동자 국제 연합(l'Association internationale des travailleurs)과 독일 사회민주당(SPD Le Parti social-démocrate d’Allemagne, 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SPD)당원.
1828 랑게(Friedrich Albert Lange, 1828-1875) 독일 철학자(신칸트주의자), 교육자, 경제학자, 사회주의자. SPD 창설자인 베벨(August Bebel, 1840-1913)과 가깝다.
1833 뒤링(Karl) Eugen Dühring, 1833-1921) 독일의 철학자·정치경제학자·작가. 실증적 지식은 자연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는 실증주의 철학이론을 지지한 독일의 대표적 인물이다.
1839 샤를 롱게(Charles Longuet, 1839-1903) 프랑스 사회주의 운동가, 파리꼬뮨의 인물, 맑스의 사위로 맏딸 제니(Jenny Caroline, 1844-1883)의 남편이다.
1840 베벨(August Bebel, 1840-1913) 독일 기술자. 사회주의 정치가. 1867년에 리프크네히트와 삭손 인민당(Sächsische Volkspartei, Parti populaire saxon) 창당, 그리고 독일 노동자 사회민주당(SDAP: Sozialdemokratische Arbeiterpartei, Parti social-démocrate d'Allemagne des travailleurs). 나중에 그는 리프크네히트와 마찬가지로 (l'Association internationale des travailleurs, AIT). 1875년 맑스주의자가 된다. 여성과 사회주의(La Femme et le socialisme, 1883)
1842 라파르그(Paul Lafargue, 1842-1911) 프랑스 기자, 경제학자, 작가, 사회정치가. 맑스의 사위. 부인 로라 맑스와 같이 존엄사하였다. 나태할 권리(Le Droit à la paresse (Réfutation du « Droit au travail » de 1848), 1880,)
1846 메링(Franz Erdmann Mehring, 1846–1919) 독일 수필가, 정치가, 역사가, 맑스주의자. 칼 맑스와 제1인터네셔날(Karl Marx et la Première Internationale, 1897), 독일 사회민주주의 역사(Histoire de la Social-démocratie allemande, 1897-1898,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 1906), 칼 맑스: 생애(Karl Marx: Histoire de sa vie, 1918)
1854 카우츠키(Karl Kautsky, 1854-1938) 독일 정치가, 독일 맑스주의자. 사회주의 혁명(Die Soziale Revolution: La Révolution sociale, 1902), 유물론적 역사파악Materialistische Geschichtsauffassung: La Conception matérialiste de l'histoire, 1927)
1871 로자 룩셈부르크(Rosa Luxemburg, 1871-1919) 유태계 폴란드 출신의 독일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가이며 사회주의자, 철학자 또는 혁명가이며, 레닌주의 비판자이다. 자본 축적(L'Accumulation du capital (1913) 정치 경제학 입문(Introduction à l'économie politique, 1913?)(사후 출판)
1874 레닌(Vladimir Ilitch Oulianov, dit Lénine (Ленин), 1870-1924) 러시아 혁명가 이론가, 정치가, 국가수반. 무엇을 할 것인가?(Que faire ?, 1902), 유물론과 경험론 비판(Matérialisme et empiriocriticisme, 1909),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L'Impérialisme, stade suprême du capitalisme, 1917), 국가와 혁명(L'État et la Révolution), 공산주의의 유아병(La Maladie infantile du communisme (le « gauchisme »), 1920)
1879 레온 트로츠키(Leon Trotsky, 1879-1940) 소비에트 연방의 전 해군 군사인민위원(1918 - 1925), 외교관, 정치가, 사상가이자 노동운동가.
1885 루카치(Georg Lukács Löwinger György Lukács, 1885-1971) 현대를 대표하는 헝가리의 문예 사상가, 맑스주의 사상가. 역사와 계급의식(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1923: trad. fr.: Histoire et conscience de classe), 레닌(Lénine, 1924), 실존주의 또는 맑스주의Existentialismus oder Marxismus, 1951, trad. fr. Existentialisme ou Marxisme?, 1948. .
1891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 1891-1937),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그리고 반 파시즘을 주장한 이탈리아 지식인, 정치인 그리고 지도자와 사상가였다. 그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설자 중 한 명이며 한 때 지도자이기도 하였으며, 무솔리니 파시스트 정권에서 투옥되었다. 그는 문화 및 정치적 리더십을 분석하였고 자본주의 사회의 국가를 비판하는 문화적 헤게모니 개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893 모택동(毛澤東, 1893-1976) 중국 혁명가.
1899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 鹿之助, 1899-1982) 경성 제국대 교수, 국제공산당원.
1901 르페브르(Henri Lefèbvre 1901-1991) 프랑스의 철학자. 1930년대에 맑스주의자가 되어, 프랑스 공산당 이론가이며, 반파시즘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맑스주의란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향하여 철학이 단계를 넘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부르주와 이데올로기에 의한 소외는 영속적 문화혁명으로 무너뜨릴 수 있다고 한다. 변증법적 유물론(1939)
1902 프리드만(Georges Philippe Friedmann, 1902-1977) 프랑스 사회학자. ENS 출신, 지적 맑스주의자로서 공산주의와 가깝다. 산업사회에서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 대한 연구.
1903 뽈리쪄(Georges Politzer, 1903-1942) 헝거리 출신 프랑스 철학자. 맑스주의자. 나찌에 의해 총살 당했다. 비유대인임에도 부인 마이 뽈리쪄(Maï Politzer 1905-1943 조산원)도 아유슈비츠에서 죽었다.
1905 뤼벨(Maximilien Rubel, 1905-1996) 프랑스 국적의 오스트리아 출신, 맑스 전공자. 칼 맑스에 대한 국제적 전문가.
1918 알뛰세(Louis Althusser, 1918-1990) 프랑스 철학자, 공산당원. 알제리에서 카톨릭 가정출신(la famille alsacienne catholique installée en Algérie). 맑스를 위하여(Pour Marx, 1965), 자본론 읽기(Lire le Capital (en collaboration avec Étienne Balibar, Roger Establet, Pierre Macherey et Jacques Rancière),(2 volumes, 1965), 레닌과 철학(Lénine et la philosophie, 1969)
1930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 세파라드 유대계, 알제리태생 프랑스 철학자. 맑스의 유령들(Specters of Marx, 1993).
1931 트론티(Mario Tronti, 1931) 이탈리아 철학자, 정치가. 자율주의 창시자. Scritti inediti di economia politica di Marx, 1963
1933 안토니오 네그리(Antonio Negri, 1933-) 이탈리아 철학자, 정치학자. 알뛰세 다음 가타리를 만나, 들뢰즈를 알게되었다. 맑스 넘어서 맑스(Marx au-delà de Marx : cahiers du travail sur les “Grundrisse”, 1979)
1934 뱅상(Jean-Marie Vincent, 1934-2004) 프랑스 철학자, 맑스의 자본주의 비판을 재해석. Marx après les marxismes, 1997(ouvrage collectif), Un autre Marx, 2001
1935 비데(Jacques Bidet, 1935-), 프랑스 철학자, 사회이론가. 낭떼르 대학 교수, ‘자본’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Que faire du « Capital » ?: Matériaux pour une refondation, 1985), 배세진 옮김
1935 라클라우(Ernesto Laclau, 1935-2014) 아르헨티나의 정치이론가, 철학자. Politique et idéologie dans la théorie marxiste : capitalisme, fascisme, populisme, 1978,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Hégémonie et stratégie socialiste, 1985)(Ernesto Laclau et Chantal Mouffe, 30년동안 동반자였다.),
1938 마슈레이(Pierre Macherey, 1938-) 프랑스 철학자. 스피노자 전문가. 릴대학 교수, Marx 1845. Les « Thèses » sur Feuerbach(traduction et commentaire, 2008)
1938 뢰비(Michael Löwy, 1938-) 비엔나출신 유대가계. 브라질 사회학자, 맑스 철학자. 생태사회주의자. La Théorie de la révolution chez le jeune Marx, 1970(박사학위), Marxisme et théologie de la libération, 1989)
1940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 1940-) 알제리 태생, 프랑스 철학자, 정치학과 미학전문. 파리8대학 교수 Marx in the Woods(Rabrab Press, Helsinki, 2019).
1942 발리바르(Étienne Balibar, 1942), 프랑스 맑스주의 철학자. 파리10대학 교수. 맑스의 철학(La philosophie de Marx, 1993)
1942 뒤메닐(Gérard Duménil, 1942-) 프랑스 정치경제학 연구자. 맑스 영향, Les 100 mots du marxisme, 2009(avec Michael Löwy et Emmanuel Renault.), Lire Marx, 2014( avec Michael Löwy et Emmanuel Renault.)
1943 무페(Chantal Mouffe, 1943-) 여성 벨기에 정치철학자. 라클라우(Laclau, 1935-2014)의 동반자였다(30년동안), 그람시와 맑스 이론(Gramsci and Marxist Theory, 1979).
1967 르노(Emmanuel Renault, 1967-) 프랑스 맑스 철학자. 파리 10대학 교수, Marx et l’idée de critique, 1995, Les 100 mots du Marxisme, 2009« Que sais-je ? », Marx et la philosophie, 2014
*
1894 백남운(白南雲, 1894-1979) 전북 고창 출생. 수원고등농림학교와 일본 동경상과대학 졸업. 1925-1938년 연희전문학교 교수. 한국사회경제사 연구. 북한의 경제학자, 정치가.
[1931년 4월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鹿之助]는 다시 경성으로 돌아와서는 자신의 제자인 정태식(鄭泰植)·최용달(崔容達)·박문규(朴文圭)·이강국(李康國) 등을 통해 조선 안의 정세자료를 수집해 국제공산당에 보고하였다. 그리고 1933년 말부터 경성제국대학 조수 정태식을 통해 당시 조선공산당재건운동을 이끌던 이재유(李載裕)·권영태(權榮台) 등과 접촉해 자신의 관사(경성부 동숭동 25번지 대학관사 19호)를 거점으로 공산주의운동의 근본방침을 수립하는 작업을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서대문경찰서에 검거된 이재유가 1934년 4월 14일 경찰서를 탈출하자 미야케는 5월 21일 자신이 검거될 때까지 37일간 자신의 관사에 숨겨주었다. ]
1934 박현채(朴玄埰,1934-1995)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1950년에서 1952년 사이 빨치산 소년돌격부대 문화부 중대장으로 지리산, 백아산 일대에서 활동하다가 체포. 1964년 인혁당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1942 김수행(金秀行, 1942-2015) 대한민국의 진보 경제학자. 자본론 완역자이다.
1942 오길남(吳吉男, 1942-) 경제학자. 1970년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졸업. 1985년 독일 브레멘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1944 정운영(鄭雲暎, 1944-2005)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언론인. 정통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소개한 진보경제학자로 알려져 있다. 광대의 경제학(1989년, 저 낮은 경제학을 위하여(1990년),
1944 송두율(宋斗律, 1944-) 한국계 독일인 사회학자, 철학자. 독일 뮌스터 대학의 사회학, 철학 교수.
1954 이병창(1954-) 경남대, 동아대 교수 엮임, 도이치 이데올로기 완역(2019)
1954 강신준(姜信俊, 1954-) 동아대 노동운동사 전공, 번역 “자본”(1989,1990, 2010)
1956 서유석(徐維錫, 1956-) 호원대 교수. <Jon Elster의 '개체론적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1995, 서울대, 황경식.>
1956 설헌영(薛憲永, 1956-) 조선대 교수. <서울대, 1993>
1957 우기동(1957-) 경희대 교수, <성균관대 1994>
1957 이성백(1957-) 서울 시립대,
1958 김성민(金成玟, 1958-) 건국대 교수, <맑스 사회이론의 존재론적 원리와 요소들에 관한 연구, 건국대, 1996, 강영계.>
1958 박정호(1958-) 인제대학교
1960 조항구(趙亢久, 1960-) <헤겔주의로부터 철학적 유물론에로. 청년마르크스의 정치철학적 사유의 발전에 대한 한 연구(Vom Hegelianismus zum philosophischen Materialismus. Eine Studie ueber die Entwicklung des politischen und philosophischen Denkens des jungen Narx), 1998, Univ. Bochum>
1962 김범춘(金凡椿, 1962-) 한철연 <맑스의 이데올로기론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2003, 이영호.>
1967 이재유(李宰有, 1967-) 한철연 <계급의식의 형성과 보편화에 관하여: 맑스주의를 중심으로, 건국대, 2006, 강영계.>
1967 한형식(1967-) <비공개> “맑스주의 역사 강의”(2010, 그린비)
1968 박영균(朴榮均, 1968-) 한철연 <탈현대적 비판을 넘어선 맑스주의 철학의 확장, 2006, 건국대, 김성민.>
1968 서용순(徐鏞淳, 1968-) 성대, <Une critique de l'objectivisme marxiste: pour la politique subjective(맑스주의적 대상주의 비판: 주체적 정치를 위하여, 파리8대학, 2005, Badiou, Alain.>
1978 김원태(1978-) 동국대, 서울대, 독일, <Rekonstruktion des Marxschen Arbeitsparadigmas, 2017, Univ. Marburg, Frank Deppe> “마르크스 노동패러다임의 재구성(2009)”
1988 배세진(1988-) 연세대, 파리7대학, <Monnaie et Foucaldo-marxisme : valeur-travail, fétichisme, relation de pouvoir et subjectivation(푸코-마르크스주의와 화폐: 노동-가치, 물신숭배, 권력관계 그리고 주체화), 2021, 파리7대학 Marie Cuillerai.>
(5:33 48RLD) (7:4 48RMH) (8:37, 48ULC), (9:21, 49MMC) (11:07, 53TLD) (12:14, 56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