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 일 | 약 사 | |
1905년 |
| ◦일본의 강압적인 을사조약 체결 이후 국권 침탈과 함께 일본 각종파의 한국불교 침투가 계속됨. 이런 가운데 불교계의 반성과 자각의 움직임이 일어남. |
1906년 | 2월 19일 | ◦근대의 신불교 활동을 모색해온 홍월초·이보담 등이 동대문 밖 원흥사에 불교연구회를 설립함. 불교교단의 실질적인 구심체인 불교연구회에서는 ‘학교 설립과 신학문 연구 및 교육 도모’를 우선의 활동방향과 목표로 삼음. 명진학교 설립 인가. |
1906년 | 5월 8일 | ◦1906년 5월 8일 불교연구회 도총무 이보담을 중심으로 서울 중심 각 사찰 대표들이 자주 회합 의논하고 노력한 결과 원흥사에 근대 최초의 불교교육기관 명진학교를 종로구 창신동 원흥사 내(현 창신초교)에 개교함. |
1910년 | 4월 일 | ◦근대 한국불교의 첫 교단인 원종종무원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정도로써의 명진학교 개편을 추진 인가 받음. 교명을 불교사범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3년제 사범과와 1년제 수의과(隨意科)를 둠. |
1911년 |
| ◦원종에 대응하는 임제종의 설립 등 불교계의 갈등 속에서 불교사범학교가 자연 휴교됨. |
1910년 | 4월 1일 | ◦일제 사찰령 하의 30본산 주지 회의에서 불교계의 교육에 관해 방범하게 논의한 끝에 불교사범학교를 대신하는 불교고등강숙을 개교시킴. ◦불교고등강숙이 열린 후 청년 엘리트 승려들의 조선불교회 조직을 발단으로 개교 반년 미만의 불교고등강숙을 폐교함. 이는 본사 주지 등 교계 내 기성·보수그룹의 횡포였음. 불교고등강숙 숙장이었던 박한영은 교명을 ‘경성불교고등강습회’로 변경해 회장 겸 강사로 1915년 초까지 잠시 운영함. |
1915년 | 11월 5일 | ◦30본산 연합 사무소의 발족으로 불교고등강숙보다 좀 더 신시대에 부응하는 학교를 열기로 합의하고 불교중앙학림을 종로구 숭일동 북관묘(북묘, 옛 흥덕사터와 우암 송시열 집터 일부, 구 은석국민학교터)를 임대하여 발족함. 이 중앙학림은 시설·학제·교수내용 등에 있어서 당시 대부분 종교계에서 운영하고 있던 전문학교들에 비해 손색없는 수준을 유지함. |
1922년 | 5월 일 | ◦중앙학림의 전문학교 승격 문제가 학생들의 맹휴 등 급속하게 여론화 하는 가운데, 30본산 주지 회의에서 5개년 기한부로 휴교를 결의함. 이는 예상되는 교단의 혼란과 일제의 강제폐교 기미에 대한 선제적 조치였음. |
1922년 | 9월 30일 | ◦조선총독부에서 중앙학림을 강제 폐교시킴. 조선불교 총무원에서 불교학원을 운영하며 1928년까지 명맥을 이어감. |
1928년 | 4월 30일 | ◦6년간의 장기 휴교 끝에 입학자격을 고등보통학교 졸업자로 하는 ‘불교전수학교’를 개교, 36명의 학생이 입학함. 그러나 학칙상의 입학자격이 일반전문학교와 동일함에도 전수학교로 개교한데 대한 실망으로 다시 동맹휴학 등 학생들의 전문학교 승격 운동이 전개됨. |
1930년 | 4월 7일 | ◦중앙교무원과 학교 당국의 노력으로 재단 출자금을 증액(40만원을 더하여 출자 총 규모 100만원)하고 ‘중앙불교전문학교’로 승격을 인가 받음. 이로써 중앙불교전문학교는 천도교계의 보성전문학교, 기독교계의 연희전문과 함께 한국의 삼대 사립전문학교로 등장함. ◦1930년 가을, 당시 <조선문학사> 강의를 맞고 있던 최남선의 작사로 교가를 제정함. |
1932년 | 5월 일 | ◦문부성으로부터 고등학교 고등과·대학 예과와 동등이상의 학교로 지정 받음으로써 졸업생은 고등시험(고등고시) 응시 때 예비시험을 면제받음. |
1934년 |
| ◦중앙불전의 지도정신(교훈)을 김영수 안인 攝心·信實·慈愛·度世로 결정함. |
1940년 | 6월 19일 | ◦혜화전문학교로 교명을 변경함. 중앙불전의 교사가 있던 종로구 혜화동에서 따온 이 교명은 ‘세상을 은혜롭게 교화해 간다’는 의미에서 불교정신과도 일치함. 교명 번경과 함께 興亞科를 신설, 기존의 불교교육과정 전반을 묶은 불교학과와 사회일반의 전문교육으로 그 폭을 넓히기 위한 흥아과의 2개 학과를 갖게됨. |
1944년 | 5월 30일 | ◦‘전시교육임시특례법’에 따라 혜전이 강제 폐쇄당한 뒤 1945년 8월 15일 조국 광복과 함께 재개교함. |
1946년 | 9월 20일 | ◦혜화전문학교에서 동국대학으로 승격함. 동국대학의 학칙 제1조에서 ‘불교대학의 건학이념은 불교정신에 입각하여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학문의 심오한 이론과 교육방법을 교수·연구하는 동시에 그 지도적 인격을 도야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힘. ◦동국대학의 학제는 전문 1·2부와 학부로 구성됨. 주간인 전문 1부에 불교학과·문학과·사학과, 야간인 전문 2부에 국문학과·문학과·역사학과의 6개 학과가 소속되고, 학부에는 불교학과·문학과·역사학과의 3개과를 둠. 이 가운데 학부의 3개학과만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전문학부는 혜화동 교사에서 학부는 새로 마련한 필동 3가 교사에서 개강함. |
1947년 | 5월 일 | ◦학과를 증설하고 문학부·정치학부로 분리. 불교학과는 국문·영문·사학과와 함께 문학부에 소속 편재됨. |
1947년 | 11월 8일 | ◦(재)조계학원을 (재)동국학원으로 개칭. |
1950년 | 12월 일 | ◦6·25전쟁의 발발로 12월 대학본부를 대구 동화사 별원으로 옮겼다가 다시 부산으로 옮김. |
1951년 | 4월 일 | ◦부산 신창동 가교사에서 개강. |
1952년 | 3월 일 | ◦부산 전시 연합대학에 동참해온 김동화 학장 등 본교 교수진은 동국대 단독 개교를 결정하고 부산 신창동 경남 교무원 시설을 교사로 삼아 수업을 개시함. 본교생 670여명이 복학 수강하였으며 이때 신흥대학(전 경희대)의 학생 85명도 함께 수임하여 교육함. |
1953년 | 9월 일 | ◦부산에서 서울 본교사로 돌아와 개강. |
1953년 | 2월 1일 | ◦대학교육 심의회의에서 동국대학교의 종합대학교 승격안이 통과 됨. 이로써 석사과정(불교학과·영문학과·정치학과)의 대학원, 불교대학·문과대학·법정대학·농림대학의 4개 대학으로 구성된 동국대학교 설립인가를 받음. ◦불교대학은 불교학과·철학과 2개 학과로 구성된 후(철학과는 1978년에 문과대학으로 소속 변경), 인도철학과(1964년)·승가학과(1971년, 후일 선학과로 개칭)를 증설함. ◦1955년부터 불교학과 박사과정을 설치 운영함. |
1962년 | 3월 5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불교문화연구소(불교문화연구원으로 개편, 1984년) 개소. 불교학보 창간(1962) 및 불교원전연구(2001.9) 간행. |
1973년 | 10월 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불교학회 발족. 한국불교학 창간(1975) 간행. |
1976년 |
|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 간행. 이후 문헌총록에 의해 한국불교전서 14권 간행 |
1985년 | 3월 일 | ◦1978년 경주캠퍼스가 설립된 후 문리과 대학에 불교학과를 신설함. |
1985년 | 11월 일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문리과대학 소속으로 불교학과(1985년)를 신설하고, 불교아동학과(1988년)를 증설함. |
1993년 | 9월 일 | ◦경주캠퍼스에 불교학과와 불교아동학과로 불교문화대학을 설치함. 서울캠퍼스와 구분되는 불교문화대학의 설치는 경주캠퍼스만의 응용불교학 및 문화지향의 특성화 의도를 담고 있음. 불교문화대학에는 불교학과·불교아동학과에 이어 한국음악과와 선학과가 소속됨. |
1995년 | 10월 9일 | ◦불교대학 불교학과·인도철학과·선학과를 불교학부로 학부제 실시.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불교학과·선학과를 불교학부로 학부제 실시. |
1998년 | 3월 1일 |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BK21 1단계 7년 ‘BK21 불교문화사상사 교육연구단’ 프로젝트 지원 수혜. |
2006년 | 3월 1일 |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BK21 2단계 7년 ‘BK21 세계화시대 불교학교육연구단’ 프로젝트 지원 수혜. |
2006년 | 3월 일 | ◦불교대학의 불교학과·인도철학과·선학과 불교학부 내 전공별 운영 |
2006년 | 5월 8일 | ◦불교학과 개설 100주년 맞음 |
2008년 | 3월 일 | ◦경주캠퍼스 대학원 불교학과·선학과 설치함. |
2010년 | 3월 일 | ◦불교대학의 불교학 전공·인도철학 전공·선학 전공 통합 운영, 불교대학 내에 사회복지학과(2014년 불교사회복지학과로 개칭) 개설. |
2012년 | 3월 일 | ◦경주캠퍼스 불교대학의 불교학과·선학과 불교학부 내 전공별 통합 운영 |
2015년 | 3월 15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불교대학에 세계불교학연구소 개소. |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110년 약사
이봉춘 · 고영섭 동문 작성
서기 | 월 일 | 약 사 |
1905년 |
| ◦일본의 강압적인 을사조약 체결 이후 국권 침탈과 함께 일본 각종파의 한국불교 침투가 계속됨. 이런 가운데 불교계의 반성과 자각의 움직임이 일어남. |
1906년 | 2월 19일 | ◦근대의 신불교 활동을 모색해온 홍월초·이보담 등이 동대문 밖 원흥사에 불교연구회를 설립함. 불교교단의 실질적인 구심체인 불교연구회에서는 ‘학교 설립과 신학문 연구 및 교육 도모’를 우선의 활동방향과 목표로 삼음. 명진학교 설립 인가. |
1906년 | 5월 8일 | ◦1906년 5월 8일 불교연구회 도총무 이보담을 중심으로 서울 중심 각 사찰 대표들이 자주 회합 의논하고 노력한 결과 원흥사에 근대 최초의 불교교육기관 명진학교를 종로구 창신동 원흥사 내(현 창신초교)에 개교함. |
1910년 | 4월 일 | ◦근대 한국불교의 첫 교단인 원종종무원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정도로써의 명진학교 개편을 추진 인가 받음. 교명을 불교사범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3년제 사범과와 1년제 수의과(隨意科)를 둠. |
1911년 |
| ◦원종에 대응하는 임제종의 설립 등 불교계의 갈등 속에서 불교사범학교가 자연 휴교됨. |
1910년 | 4월 1일 | ◦일제 사찰령 하의 30본산 주지 회의에서 불교계의 교육에 관해 방범하게 논의한 끝에 불교사범학교를 대신하는 불교고등강숙을 개교시킴. ◦불교고등강숙이 열린 후 청년 엘리트 승려들의 조선불교회 조직을 발단으로 개교 반년 미만의 불교고등강숙을 폐교함. 이는 본사 주지 등 교계 내 기성·보수그룹의 횡포였음. 불교고등강숙 숙장이었던 박한영은 교명을 ‘경성불교고등강습회’로 변경해 회장 겸 강사로 1915년 초까지 잠시 운영함. |
1915년 | 11월 5일 | ◦30본산 연합 사무소의 발족으로 불교고등강숙보다 좀 더 신시대에 부응하는 학교를 열기로 합의하고 불교중앙학림을 종로구 숭일동 북관묘(북묘, 옛 흥덕사터와 우암 송시열 집터 일부, 구 은석국민학교터)를 임대하여 발족함. 이 중앙학림은 시설·학제·교수내용 등에 있어서 당시 대부분 종교계에서 운영하고 있던 전문학교들에 비해 손색없는 수준을 유지함. |
1922년 | 5월 일 | ◦중앙학림의 전문학교 승격 문제가 학생들의 맹휴 등 급속하게 여론화 하는 가운데, 30본산 주지 회의에서 5개년 기한부로 휴교를 결의함. 이는 예상되는 교단의 혼란과 일제의 강제폐교 기미에 대한 선제적 조치였음. |
1922년 | 9월 30일 | ◦조선총독부에서 중앙학림을 강제 폐교시킴. 조선불교 총무원에서 불교학원을 운영하며 1928년까지 명맥을 이어감. |
1928년 | 4월 30일 | ◦6년간의 장기 휴교 끝에 입학자격을 고등보통학교 졸업자로 하는 ‘불교전수학교’를 개교, 36명의 학생이 입학함. 그러나 학칙상의 입학자격이 일반전문학교와 동일함에도 전수학교로 개교한데 대한 실망으로 다시 동맹휴학 등 학생들의 전문학교 승격 운동이 전개됨. |
1930년 | 4월 7일 | ◦중앙교무원과 학교 당국의 노력으로 재단 출자금을 증액(40만원을 더하여 출자 총 규모 100만원)하고 ‘중앙불교전문학교’로 승격을 인가 받음. 이로써 중앙불교전문학교는 천도교계의 보성전문학교, 기독교계의 연희전문과 함께 한국의 삼대 사립전문학교로 등장함. ◦1930년 가을, 당시 <조선문학사> 강의를 맞고 있던 최남선의 작사로 교가를 제정함. |
1932년 | 5월 일 | ◦문부성으로부터 고등학교 고등과·대학 예과와 동등이상의 학교로 지정 받음으로써 졸업생은 고등시험(고등고시) 응시 때 예비시험을 면제받음. |
1934년 |
| ◦중앙불전의 지도정신(교훈)을 김영수 안인 攝心·信實·慈愛·度世로 결정함. |
1940년 | 6월 19일 | ◦혜화전문학교로 교명을 변경함. 중앙불전의 교사가 있던 종로구 혜화동에서 따온 이 교명은 ‘세상을 은혜롭게 교화해 간다’는 의미에서 불교정신과도 일치함. 교명 번경과 함께 興亞科를 신설, 기존의 불교교육과정 전반을 묶은 불교학과와 사회일반의 전문교육으로 그 폭을 넓히기 위한 흥아과의 2개 학과를 갖게됨. |
1944년 | 5월 30일 | ◦‘전시교육임시특례법’에 따라 혜전이 강제 폐쇄당한 뒤 1945년 8월 15일 조국 광복과 함께 재개교함. |
1946년 | 9월 20일 | ◦혜화전문학교에서 동국대학으로 승격함. 동국대학의 학칙 제1조에서 ‘불교대학의 건학이념은 불교정신에 입각하여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학문의 심오한 이론과 교육방법을 교수·연구하는 동시에 그 지도적 인격을 도야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힘. ◦동국대학의 학제는 전문 1·2부와 학부로 구성됨. 주간인 전문 1부에 불교학과·문학과·사학과, 야간인 전문 2부에 국문학과·문학과·역사학과의 6개 학과가 소속되고, 학부에는 불교학과·문학과·역사학과의 3개과를 둠. 이 가운데 학부의 3개학과만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전문학부는 혜화동 교사에서 학부는 새로 마련한 필동 3가 교사에서 개강함. |
1947년 | 5월 일 | ◦학과를 증설하고 문학부·정치학부로 분리. 불교학과는 국문·영문·사학과와 함께 문학부에 소속 편재됨. |
1947년 | 11월 8일 | ◦(재)조계학원을 (재)동국학원으로 개칭. |
1950년 | 12월 일 | ◦6·25전쟁의 발발로 12월 대학본부를 대구 동화사 별원으로 옮겼다가 다시 부산으로 옮김. |
1951년 | 4월 일 | ◦부산 신창동 가교사에서 개강. |
1952년 | 3월 일 | ◦부산 전시 연합대학에 동참해온 김동화 학장 등 본교 교수진은 동국대 단독 개교를 결정하고 부산 신창동 경남 교무원 시설을 교사로 삼아 수업을 개시함. 본교생 670여명이 복학 수강하였으며 이때 신흥대학(전 경희대)의 학생 85명도 함께 수임하여 교육함. |
1953년 | 9월 일 | ◦부산에서 서울 본교사로 돌아와 개강. |
1953년 | 2월 1일 | ◦대학교육 심의회의에서 동국대학교의 종합대학교 승격안이 통과 됨. 이로써 석사과정(불교학과·영문학과·정치학과)의 대학원, 불교대학·문과대학·법정대학·농림대학의 4개 대학으로 구성된 동국대학교 설립인가를 받음. ◦불교대학은 불교학과·철학과 2개 학과로 구성된 후(철학과는 1978년에 문과대학으로 소속 변경), 인도철학과(1964년)·승가학과(1971년, 후일 선학과로 개칭)를 증설함. ◦1955년부터 불교학과 박사과정을 설치 운영함. |
1962년 | 3월 5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불교문화연구소(불교문화연구원으로 개편, 1984년) 개소. 불교학보 창간(1962) 및 불교원전연구(2001.9) 간행. |
1973년 | 10월 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불교학회 발족. 한국불교학 창간(1975) 간행. |
1976년 |
|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 간행. 이후 문헌총록에 의해 한국불교전서 14권 간행 |
1985년 | 3월 일 | ◦1978년 경주캠퍼스가 설립된 후 문리과 대학에 불교학과를 신설함. |
1985년 | 11월 일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문리과대학 소속으로 불교학과(1985년)를 신설하고, 불교아동학과(1988년)를 증설함. |
1993년 | 9월 일 | ◦경주캠퍼스에 불교학과와 불교아동학과로 불교문화대학을 설치함. 서울캠퍼스와 구분되는 불교문화대학의 설치는 경주캠퍼스만의 응용불교학 및 문화지향의 특성화 의도를 담고 있음. 불교문화대학에는 불교학과·불교아동학과에 이어 한국음악과와 선학과가 소속됨. |
1995년 | 10월 9일 | ◦불교대학 불교학과·인도철학과·선학과를 불교학부로 학부제 실시.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불교학과·선학과를 불교학부로 학부제 실시. |
1998년 | 3월 1일 |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BK21 1단계 7년 ‘BK21 불교문화사상사 교육연구단’ 프로젝트 지원 수혜. |
2006년 | 3월 1일 |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BK21 2단계 7년 ‘BK21 세계화시대 불교학교육연구단’ 프로젝트 지원 수혜. |
2006년 | 3월 일 | ◦불교대학의 불교학과·인도철학과·선학과 불교학부 내 전공별 운영 |
2006년 | 5월 8일 | ◦불교학과 개설 100주년 맞음 |
2008년 | 3월 일 | ◦경주캠퍼스 대학원 불교학과·선학과 설치함. |
2010년 | 3월 일 | ◦불교대학의 불교학 전공·인도철학 전공·선학 전공 통합 운영, 불교대학 내에 사회복지학과(2014년 불교사회복지학과로 개칭) 개설. |
2012년 | 3월 일 | ◦경주캠퍼스 불교대학의 불교학과·선학과 불교학부 내 전공별 통합 운영 |
2015년 | 3월 15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불교대학에 세계불교학연구소 개소. |
(2016.4.20.)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110년사 약사
연 도 월 일 약 사
1905년 |
| ◦일본의 강압적인 을사조약 체결 이후 국권 침탈과 함께 일본 각종파의 한국불교 침투가 계속됨. 이런 가운데 불교계의 반성과 자각의 움직임이 일어남. |
1906년 | 2월 19일 | ◦근대의 신불교 활동을 모색해온 홍월초·이보담 등이 동대문 밖 원흥사에 불교연구회를 설립함. 불교교단의 실질적인 구심체인 불교연구회에서는 ‘학교 설립과 신학문 연구 및 교육 도모’를 우선의 활동방향과 목표로 삼음. 명진학교 설립 인가. |
1906년 | 5월 8일 | ◦1906년 5월 8일 불교연구회 도총무 이보담을 중심으로 서울 중심 각 사찰 대표들이 자주 회합 의논하고 노력한 결과 원흥사에 근대 최초의 불교교육기관 명진학교를 종로구 창신동 원흥사 내(현 창신초교)에 개교함. |
1910년 | 4월 일 | ◦근대 한국불교의 첫 교단인 원종종무원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정도로써의 명진학교 개편을 추진 인가 받음. 교명을 불교사범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3년제 사범과와 1년제 수의과(隨意科)를 둠. |
1911년 |
| ◦원종에 대응하는 임제종의 설립 등 불교계의 갈등 속에서 불교사범학교가 자연 휴교됨. |
1910년 | 4월 1일 | ◦일제 사찰령 하의 30본산 주지 회의에서 불교계의 교육에 관해 방범하게 논의한 끝에 불교사범학교를 대신하는 불교고등강숙을 개교시킴. ◦불교고등강숙이 열린 후 청년 엘리트 승려들의 조선불교회 조직을 발단으로 개교 반년 미만의 불교고등강숙을 폐교함. 이는 본사 주지 등 교계 내 기성·보수그룹의 횡포였음. 불교고등강숙 숙장이었던 박한영은 교명을 ‘경성불교고등강습회’로 변경해 회장 겸 강사로 1915년 초까지 잠시 운영함. |
1915년 | 11월 5일 | ◦30본산 연합 사무소의 발족으로 불교고등강숙보다 좀 더 신시대에 부응하는 학교를 열기로 합의하고 불교중앙학림을 종로구 숭일동 북관묘(북묘, 옛 흥덕사터와 우암 송시열 집터 일부, 구 은석국민학교터)를 임대하여 발족함. 이 중앙학림은 시설·학제·교수내용 등에 있어서 당시 대부분 종교계에서 운영하고 있던 전문학교들에 비해 손색없는 수준을 유지함. |
1922년 | 5월 일 | ◦중앙학림의 전문학교 승격 문제가 학생들의 맹휴 등 급속하게 여론화 하는 가운데, 30본산 주지 회의에서 5개년 기한부로 휴교를 결의함. 이는 예상되는 교단의 혼란과 일제의 강제폐교 기미에 대한 선제적 조치였음. |
1922년 | 9월 30일 | ◦조선총독부에서 중앙학림을 강제 폐교시킴. 조선불교 총무원에서 불교학원을 운영하며 1928년까지 명맥을 이어감. |
1928년 | 4월 30일 | ◦6년간의 장기 휴교 끝에 입학자격을 고등보통학교 졸업자로 하는 ‘불교전수학교’를 개교, 36명의 학생이 입학함. 그러나 학칙상의 입학자격이 일반전문학교와 동일함에도 전수학교로 개교한데 대한 실망으로 다시 동맹휴학 등 학생들의 전문학교 승격 운동이 전개됨. |
1930년 | 4월 7일 | ◦중앙교무원과 학교 당국의 노력으로 재단 출자금을 증액(40만원을 더하여 출자 총 규모 100만원)하고 ‘중앙불교전문학교’로 승격을 인가 받음. 이로써 중앙불교전문학교는 천도교계의 보성전문학교, 기독교계의 연희전문과 함께 한국의 삼대 사립전문학교로 등장함. ◦1930년 가을, 당시 <조선문학사> 강의를 맞고 있던 최남선의 작사로 교가를 제정함. |
1932년 | 5월 일 | ◦문부성으로부터 고등학교 고등과·대학 예과와 동등이상의 학교로 지정 받음으로써 졸업생은 고등시험(고등고시) 응시 때 예비시험을 면제받음. |
1934년 |
| ◦중앙불전의 지도정신(교훈)을 김영수 안인 攝心·信實·慈愛·度世로 결정함. |
1940년 | 6월 19일 | ◦혜화전문학교로 교명을 변경함. 중앙불전의 교사가 있던 종로구 혜화동에서 따온 이 교명은 ‘세상을 은혜롭게 교화해 간다’는 의미에서 불교정신과도 일치함. 교명 번경과 함께 興亞科를 신설, 기존의 불교교육과정 전반을 묶은 불교학과와 사회일반의 전문교육으로 그 폭을 넓히기 위한 흥아과의 2개 학과를 갖게됨. |
1944년 | 5월 30일 | ◦‘전시교육임시특례법’에 따라 혜전이 강제 폐쇄당한 뒤 1945년 8월 15일 조국 광복과 함께 재개교함. |
1946년 | 9월 20일 | ◦혜화전문학교에서 동국대학으로 승격함. 동국대학의 학칙 제1조에서 ‘불교대학의 건학이념은 불교정신에 입각하여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학문의 심오한 이론과 교육방법을 교수·연구하는 동시에 그 지도적 인격을 도야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힘. ◦동국대학의 학제는 전문 1·2부와 학부로 구성됨. 주간인 전문 1부에 불교학과·문학과·사학과, 야간인 전문 2부에 국문학과·문학과·역사학과의 6개 학과가 소속되고, 학부에는 불교학과·문학과·역사학과의 3개과를 둠. 이 가운데 학부의 3개학과만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전문학부는 혜화동 교사에서 학부는 새로 마련한 필동 3가 교사에서 개강함. |
1947년 | 5월 일 | ◦학과를 증설하고 문학부·정치학부로 분리. 불교학과는 국문·영문·사학과와 함께 문학부에 소속 편재됨. |
1947년 | 11월 8일 | ◦(재)조계학원을 (재)동국학원으로 개칭. |
1950년 | 12월 일 | ◦6·25전쟁의 발발로 12월 대학본부를 대구 동화사 별원으로 옮겼다가 다시 부산으로 옮김. |
1951년 | 4월 일 | ◦부산 신창동 가교사에서 개강. |
1952년 | 3월 일 | ◦부산 전시 연합대학에 동참해온 김동화 학장 등 본교 교수진은 동국대 단독 개교를 결정하고 부산 신창동 경남 교무원 시설을 교사로 삼아 수업을 개시함. 본교생 670여명이 복학 수강하였으며 이때 신흥대학(전 경희대)의 학생 85명도 함께 수임하여 교육함. |
1953년 | 9월 일 | ◦부산에서 서울 본교사로 돌아와 개강. |
1953년 | 2월 1일 | ◦대학교육 심의회의에서 동국대학교의 종합대학교 승격안이 통과 됨. 이로써 석사과정(불교학과·영문학과·정치학과)의 대학원, 불교대학·문과대학·법정대학·농림대학의 4개 대학으로 구성된 동국대학교 설립인가를 받음. ◦불교대학은 불교학과·철학과 2개 학과로 구성된 후(철학과는 1978년에 문과대학으로 소속 변경), 인도철학과(1964년)·승가학과(1971년, 후일 선학과로 개칭)를 증설함. ◦1955년부터 불교학과 박사과정을 설치 운영함. |
1962년 | 3월 5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불교문화연구소(불교문화연구원으로 개편, 1984년) 개소. 불교학보 창간(1962) 및 불교원전연구(2001.9) 간행. |
1973년 | 10월 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불교학회 발족. 한국불교학 창간(1975) 간행. |
1976년 |
|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 간행. 이후 문헌총록에 의해 한국불교전서 14권 간행 |
1985년 | 3월 일 | ◦1978년 경주캠퍼스가 설립된 후 문리과 대학에 불교학과를 신설함. |
1985년 | 11월 일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문리과대학 소속으로 불교학과(1985년)를 신설하고, 불교아동학과(1988년)를 증설함. |
1993년 | 9월 일 | ◦경주캠퍼스에 불교학과와 불교아동학과로 불교문화대학을 설치함. 서울캠퍼스와 구분되는 불교문화대학의 설치는 경주캠퍼스만의 응용불교학 및 문화지향의 특성화 의도를 담고 있음. 불교문화대학에는 불교학과·불교아동학과에 이어 한국음악과와 선학과가 소속됨. |
1995년 | 10월 9일 | ◦불교대학 불교학과·인도철학과·선학과를 불교학부로 학부제 실시.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불교학과·선학과를 불교학부로 학부제 실시. |
1998년 | 3월 1일 |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BK21 1단계 7년 ‘BK21 불교문화사상사 교육연구단’ 프로젝트 지원 수혜. |
2006년 | 3월 1일 |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BK21 2단계 7년 ‘BK21 세계화시대 불교학교육연구단’ 프로젝트 지원 수혜. |
2006년 | 3월 일 | ◦불교대학의 불교학과·인도철학과·선학과 불교학부 내 전공별 운영 |
2006년 | 5월 8일 | ◦불교학과 개설 100주년 맞음 |
2008년 | 3월 일 | ◦경주캠퍼스 대학원 불교학과·선학과 설치함. |
2010년 | 3월 일 | ◦불교대학의 불교학 전공·인도철학 전공·선학 전공 통합 운영, 불교대학 내에 사회복지학과(2014년 불교사회복지학과로 개칭) 개설. |
2012년 | 3월 일 | ◦경주캠퍼스 불교대학의 불교학과·선학과 불교학부 내 전공별 통합 운영 |
2015년 | 3월 15일 | ◦불교학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불교대학에 세계불교학연구소 개소. |
작성자: 이봉춘 / 고영섭 동문(2016.4.20현재)
|
첫댓글 잘보고 갑니다. 자료 수집 정리에 수고하셨읍니다. 김수창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