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 목 |
허용차 또는 범위 |
자유높이 |
(a) 스프링 특성의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 참고치로 한다.(b) 스프링 특성의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자유 높이의 ±2% |
코일지름 |
코일 안지름 또는 바깥지름의 어느 한쪽으로 규정한다.
자유높이 mm |
허용차 |
250 이하 |
코일 평균 지름의 ±1%, 최소 ±1.5mm |
250 초과 500 이하 |
코일 평균 지름의 ±1.5%, 최소 ±1.5mm |
500 초과 |
인수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
허용차는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한쪽에 잡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표중의 허용차의 범위를 한 쪽에 잡는다. |
총감김수 |
(a) 스프링 특성의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 참고치로 한다.(b) 스프링 특성의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에 대하여는 ¼ 감김으로 한다. *인장스프링에 대하여는 훅의 대향각을 포함하여 인수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
코일 바깥측면의 기울기 |
압축스프링의 무하중 상태에서 각 끝면에 각각 직각인 축에 대한 코일 바깥 측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그 허용 한도는 0.05Ho(2.9°), 특히 필요한 경우에는 0.02 Ho(1.15°)*(주) Ho : 자유높이 ( )속의 것은 기울기의 각도 |
피치의 부동 |
같은 피치의 압축 스프링에서는 온 처짐의 80%를 압축하였을 경우 양 끝부를 제외하고 코일이 접착해서는 안된다. |
스
프
링
특
성 |
지정 |
스프링 특성은 지정 하중 때의 높이 또는 지정 높이 때의 하중을 지정한다.다만, 특히 스프링 정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지정할 수 있다. |
지정 하중때의 높이 |
±(1.5mm+지정 하중때의 계획 처짐의 3%)(mm) 다만, 최소치는 자유 높이의 1%로 한다.지정 하중때의 높이는 스프링의 처짐이 시험 하중때의 처짐의 20~80%사이에 있도록 한다. |
지정 높이때의 하중 |
±(1.5mm+지정 하중때의 계획 처짐의 3%) * 스프링 정수 (kgf)(N)또는 ±(1.5mm+지정 높이까지의 계획 처짐의 3%)*100(%) 지정 높이까지의 계획 처짐 다만, (1.5mm+지정 높이가지의 계획 처짐의 3%)의 최소치는 자유높이의 1%로 한다.지정 높이때의 하중은 스프링의 처짐이 시험 하중때의 처짐의 20~80% 사이에 있도록 정한다. |
스프링 정수 |
±10%다만, 용도의 성질상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5%까지를 지정할 수 있다.스프링 정수는 시험 하중때의 처짐의 30 ~ 70% 사이의 2개의 하중에서 하중의 차와 처짐의 차에 의하여 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