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건강에 따른 맞춤 한방음식
아이들의 얼굴색에 따라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눈으로 보이는 아이의 안색과 광택은 아이의 현재 건강 상태를 가늠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실제로 아이의 얼굴이 청색을 나타나면 간 기능에, 적색을 나타내면 심장에, 황색을 띄면 소화기에,
백색으로 나타내면 호흡기에, 흑색을 나타내면 신장기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푸른 얼굴 빛
얼굴이 푸른 것은 간 기능과 관련이 깊다. 동의보감에서는 간 기능에 문제가 있으면 얼굴이 푸르고
화를 잘 낸다고 하였다. 옥이나 비취처럼 맑은 청색은 건강한 색이지만, 풀색 같은 청색을 띤다면
간 기능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다. 특히 경기를 자주 하는 아이는 미간과 코 주변, 입술, 손톱에서도
푸른 빛이 보이며, 얼굴색이 푸르면서 약간 검은 빛이 돈다면 체내에 어혈이 쌓였다고 볼 수 있다.
간 기능이 떨어진 아이들은 신경질적이고 밤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다. 얼굴 빛이 푸른 아이들은 넓은
곳에서 뛰어 놀게 하면 간과 신장 기능이 좋아져 건강한 혈색을 갖게 된다. 위축되고 막힌 간의 기능을
잘 풀리게 하는 흰쌀, 쇠고기, 대추, 아욱 등을 자주 먹이는 것이 좋고, 약간 매운 종류의 음식을 먹이는
것도 좋겠다.
- 음식 : 산조인 죽
- 조리법
산조인 20~30g을 절구에 으깬 뒤 물에 끓여 물을 밭여낸다. 쌀로 죽을 끓이다가 죽이 반 쯤
되었을 때산조인 국물을 넣고 죽을 완성한다.
(산조인은 심장과 간, 담(쓸개)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비(비장)의 기능을 돕기 때문에, 가슴이
답답하고 잠을 자지 못하고, 잘 놀라는 등 신경이 예민하거나 쇠약한 아이에게 좋다.)
2. 붉은 얼굴 빛
얼굴 빛이 닭 벼슬처럼 밝은 빨간색이면 건강한 것이고, 탁한 붉은 색은 좋지 않은 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심장 기능이 약하면 얼굴이 쉽게 붉어지는데 이러한 아이들은 신경이 예민하고,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특징을
보인다. 얼굴이 붉은 아이들은 위장 기능이 약한 경우도 많아 구취도 심하고 변비를 자주 앓는다. 뺨에 통통하게
살이 올라 발그레한 것이 아니라 얼굴 전체가 붉다면 치료를 고려해봐야 한다. 얼굴이 붉은 아이들은 너무 덥게
키우지 말고, 성질이 맵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해야 한다.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열이 잘 오르고 감기에도 잘
걸리므로 부모가 신경을 잘 써 주어야 한다. 보리, 양고기, 살구, 부추, 자두, 팥 등은 심장에 기운을 주므로 많이
섭취하게 하는 것이 좋다.
- 음식 : 박하차
- 조리법
박하잎을 깨끗이 씻어 말린다. 물 1리터를 끓이다가 박하잎 30g을 넣고 20분 정도 더 끓여 박하 맛을 우려낸다.
(박하는 해열, 해독의 작용이 있으며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인후부위를 시원하게 해 감기 기운으로 열이 날 때
이용해도 좋다.)
3. 누르스름한 얼굴 빛
얼굴이 황색인 것은 소화 기능과 깊은 관련이 있다. 소화기의 기운이 약하고, 체내에 습기가 많은 경우 얼굴이
노랗고 트림을 자주하게 된다. 귤, 늙은 호박 등을 많이 먹어도 얼굴이 노래지는데, 이는 ‘카로틴 혈증’이라고 해서
비타민이 과하게 축적되어 생기는 것으로 건강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아이 얼굴이 황토 흙 같은 색이거나
고동색을 띤다면 소화 기능이 좋지 않은 것으로 치료가 필요하다. 소화기가 약한 아이는 배를 따뜻하게 해주고,
음식을 억지로 먹이기 보다는 적은 량을 여러 번으로 나누어 먹이는 지혜가 필요하다. 식사 시간 사이는 가급적 간식
도 먹이지 않는 것이 좋다. 얼굴이 누르스름한 아이들은 기운이 약한 경우가 많으므로 운동을 격하게 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음식 : 백출 찹쌀죽
- 조리법
백출 30g을 끓여 우려낸 물에 찹쌀 60g을 넣고 죽을 쑨다. (백출은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음식물의 소화흡수를
도와주고 기혈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준다.)
4. 창백한 얼굴 빛
한의학에서는 살찌고 얼굴이 하얀 사람은 호흡기가 약하고 기운이 허하다고 본다. 하얀 빛에 은은한 맛이 있으면 건강한
얼굴 빛이지만 메마른 느낌이거나, 약간 검은 빛을 띠면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얼굴이 창백한 아이들은
호흡기가 약해 재채기를 자주 하고, 감기나 만성비염, 축농증에 걸릴 가능성도 높다. 호흡기가 약한 아이들은 알레르기
질환에 민감하므로 면역력을 키우는 데 신경써야 한다. 찬바람을 맞거나, 찬 음식만 먹어도 기침을 하므로 조심해야
하지만 너무 덥게 키워서는 안 된다. 맑은 공기의 산림욕은 호흡기를 튼튼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호흡기와 폐의 기운을
돕는 닭고기, 복숭아, 파 등을 먹이는 것도 좋다. 하지만 가장 좋은 것은 지속적인 운동으로 폐활량을 키우는 것이다.
- 음식 : 맥문동 차
- 조리법
물 1리터에 맥문동 15~20g을 넣고, 물이 반쯤 줄 때까지 한 시간 정도 끓여 하루에 세 번 정도 마신다.
(맥문동은 심장을 맑게 하고 답답함을 없애주며 대변을 잘 보게 한다. 마른 기침이 날 때나 마음이 답답하고 불안하며
불면증이 있을 때도 효과적이다.)
5. 검은 얼굴 빛
한의학에서는 윤기가 나는 검은 피부는 신장의 기운이 강한 것으로 건강의 상징으로 여긴다. 또한 신장이 강하면 뼈도
강하기 마련이어서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신장의 건강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얼굴 검다고 모두 좋은 것은
아니다. 신장의 기능이 떨어져도 얼굴 빛이 까맣게 변하는 데 특히 얼굴빛이 윤기 없이 숯 같은 느낌이 들면서 하품이
잦다면 신장이상을 의심해볼 수 있다. 얼굴 빛이 검으며 신장 기능이 안 좋을 때는 탄 음식이나 뜨거운 음식을 피하고,
옷을 입힐 때도 조이는 옷이나 더운 옷은 입히지 말아야 한다. 신장의 기능을 보해주는 콩, 돼지고기, 밤, 미역 등을
먹이는 것이 좋다. 매운음식도 도움이 되지만 장기간 먹이는 것은 피해야 한다.
- 음식 : 검은 콩
- 조리법
검은콩 1컵을 식초에 7일 정도 담근다. 식초에 담근 검은콩을 10알씩 먹거나, 검은 콩을 담궜던 식초를 1잔의 생수에
3~4작은술씩 넣어 공복에 마신다.
(검은콩은 해독작용이 뛰어나며 신장기능을 보양하고 강정작용과 피를 맑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