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계층 & 상류층 언어/액센트 (Posh English)
- 상류 층 (Upper Class)
- 중류 층 (Middle Class)
- 노동자 층 (Working Class)

실제적 계급 : 왕실, 기사 작위
문화적 계급 : 영어 액센트 (Posh English), 취미 생활 등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kgp90&logNo=30165497838&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Question : 누가 당신에게 하는 말을 잘 듣지 못했을 때, 어떻게 반문할 것인가?
1) What ? 2) Sorry ? 3) Pardon ?
Answer : 1) What ? (상류 층) 2) Sorry ? (중류 층) 3) Pardon ? (노동자 층)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교양있는 영어와는 반대)
- 35 Words ONLY Posh People Use - How to Sound POSH in English
https://www.youtube.com/watch?v=lg7ORXKOl-Q
- British English Accents | The Queen's English Part 1
https://www.youtube.com/watch?v=DPZkrRpJ4Zc
- 영화 'My fair Lady'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29170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시대는 산업혁명이 발발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며, 제국주의가 팽배했던 19세기 빅토리아 여왕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당시 자본의 힘이 강해지며 계급이라는 제도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완전히 붕괴된 것은 아니고 유동성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상류층은 스스로를 하류층과 구분짓기 위해 ‘겉모습’에 매우 힘을 쏟기 시작했다. 자본이 더 이상 그들을 하류층과 구분짓는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화려한 옷은 물론이고 말투나 몸짓에서 '귀족적인' 것을 드러내려 애썼다. 영화 속 가장 기가 막한 장면 중 하나가 바로 경마장 씬인데, 말들이 달리고 베팅한 말을 응원하는 이 역동적인 공간에서 상류층의 사람들은 고고하게, 조용히 말들을 감상한다.
히긴스 교수도 이러한 맥락에서 하류층 소녀의 말투를 고쳐, 상류 사회로 접근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오만하고 독선적인 성격에, 일라이자를 가르치는 장면에서 존중이라곤 눈꼽곱만큼도 찾아볼 수 없는 히긴스 교수는 어쨌든 상류층의 허례허식을 경멸하는 사람이었다. 또한 천박한 언어를 쓰는 하류층 또한 경멸하기도 하였다. 일라이자에게 교양을 가르치지만 정작 자신이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존재하지 않는다.
히긴스 교수와 피커링 대령은 런던의 극장 앞 길거리에서 남루한 차림과 품위 없는 말투로 꽃을 팔던 하층 계급의 여인을 정해진 기간 안에 교육시켜 우아하고 세련된 귀부인(숙녀, Lady)으로 만들어 놓을 수 있는지를 두고 내기를 하게 되고, 그 실험 대상으로 일라이자 둘리틀(Eliza Doolittle: 오드리 헵번 분)이 선택되었다. 일라이자는 발음을 고치면 더 잘 살 수 있다는 히긴스 교수의 말에 히긴스 교수를 찾아가서 발음, 말하는 법, 걸음걸이, 식사 예절 등 끊임없는 개인 교습을 받게 된다. 그리고 우여곡절 끝에 히긴스 교수는 일라이자를 마치 귀부인로 만드는데 성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