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6-28
공감이 간다
진정한 건강함이란
육체와 정신의 조화로움 이란걸 알면서도
조화롭지 않은 나의 생활에 한 번더 각인을 시켜준다
실천할 수 있는
답과 함께ᆢ
답은 조화로운 생활은
소위 말하는 각자에게 맞는 루틴을 실천하는 것이다
무리하지 않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그런 루틴을
몸과 마음이 불쾌해지지 않는 기준을 가지고
오래도록 지키는 것이 핵심이라는 부분도
나의 조화롭지 못한 일상을
다시 정리할 수 있게 답을 제시해 준다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인내를 가지고 꾸준히 하라고ᆢ
카페 게시글
우리들의 이야기
6권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조앤
추천 0
조회 25
25.01.05 09:27
댓글 3
다음검색
첫댓글 P.67~68
'행복이란 단어를 제거하면 행복할 수 있다'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것이
어렵고도 화려한 이상의 고통을 쫒지말고
고통없는 실행가능한 현실적인 삶을
추구하면서 살라는 것일까?
아포리즘
'깊은 체험적 진리를 간결하고 압축된 형식으로
나타낸 짧은 글'처럼
쇼펜하우어가
살아보니 그렇더라
너무 욕심내지 말고 살아라
삶은 현실적인 문제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하고자 하는걸까?
전혀 일리가 없지는 않지만
쇼펜하우어의 책을 반정도 읽어보니
부정적인 자괴적인 면들이 없지 않다
밝지 않은 어두움이 내재되어 있는ᆢ
표현을 빌리자면
행복하세요/불행하지 마세요
건강하세요/아프지 마세요
꿈을 꾸세요/현실을 직시 하세요
하세요/마세요ᆢ
P.160
살기 위해 먹고
먹기 위해 살지 말라는
소크라테스의 가르침
먹는 것이 차고 넘치는 세상ᆢ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먹는 것이 아닌
한끼를 먹어도 맛집을 찾아다니는 사람들
나도 예외는 아니라
반성이 된다
먹는 것에
많은 시간을 들이고
많은 지출을 하고
먹는 것을 넘어
물건도 필요 이상의 것들은 갖고
그 물건에 신경을 써야하고
주체적이지 못하고
남들에게 끄들려 사는
참 피곤한 세상이다
P.209-210
사람들이 나를 보지 않더라도 정직할 것
스스로 양심있게 행동할 것
남들에게 인정 받는 것보다
중요한건
스스로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인정하는 것
타인의 시선에 의해 행동하지 않고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행할 것
그렇다면
옳다는 기준은 뭐가 될까?
스스로 칭찬해 줄만한?
힘들지만 참고 해내는?
더불어 행복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