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無門關) 이십이칙(二十二則)
가섭찰간(迦葉刹竿)가섭의 찰간대
본칙(本則) 역(譯)
가섭에게 아난이 물었다. 세존께서 금란가사를 전하신 것 이외에 따로 어떤 물건을 전하셨습니까? 가섭이 아난을 불렀다. “아난아! 예. 문 앞의 찰간을 넘어뜨려라! 迦葉因阿難問云, 世尊傳金襴袈裟外, 別傳何物. 葉喚云, 阿難. 難應諾. 葉云, 倒卻門前剎竿著.
평창(評唱) 역(譯)
무문이 말했다. 만약 여기에서 한 마디 알맞은 말을 분명히 할 수 있다면 곧 영산(靈山)의 법회가 아직도 엄연히 흩어지지 않았음을 볼 것이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비바시불이 일찍부터 불법에 마음을 두었음에도 지금에 이르기까지 묘함을 얻지 못할 것이다. 無門曰 若向者裏, 下得一轉語親切, 便見靈山一會儼然未散. 其或未然, 毘婆尸佛早留心, 直至而今不得妙.
송(頌) 역(譯)
게송으로 읊다. 묻는 곳이 어떠하건 답한 곳은 뚜렷하니 몇 사람이나 여기에서 눈을 활짝 뜨겠는가? 형의 부름에 동생이 대답하여 집안의 추태를 드러내니 사계절에 속하지 않는 특별한 봄이로다! 頌曰 問處何如答處親, 幾人於此眼生筋. 兄呼弟應揚家醜, 不屬陰陽別是春.
사족(蛇足)
가섭존자(迦葉尊者)는 십대제자(十大弟子) 중에서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부처님 법을 계승한 전법제자(傳法弟子)이다. 아난존자(阿難尊者)는 부처님을 곁에서 가장 많이 시봉(侍奉)한 다문제일(多聞第一)인 제자다. 그런데 부처님의 법문을 가장 많이 듣는 제자 아난존자가 부처님 열반에 드신후에 경전을 결집할 때 500명의 아라한(阿羅漢)에 들지 못하였다. 그래서 아난존자가 사형인 가섭존자에게 묻는 말이 세존께서 금란가사 이외에 전한 물건이 따로 있느냐? 고 물었다. 아난존자는 부처님이 입고 전한 금란가사만 물건만, 보았지, 이심전심(以心傳心)한 실상묘심(實相妙心) 삼저전심(三處傳心)이 있는 줄은 꿈에도 생각 못한 것이다. 가섭존자는 아난이 깨닫지 못하고 묻는, 질문에 아난아! 하고 불렀다. 아난이 네! 하고 대답하자, 문 앞에 있는 찰간대를 꺾어라고 했다는 선화(禪話)다. 찰간대는 나라는 사량분별 망상을 두고 한 말이다. 부처님이 열반할 때까지 곁에서 가장 법문을 많이 들었던 아난존자는 자기 내면 자내증(自內證) 수행(修行)을 하지 않는 것이 이 선문답에서 들어났다. 그래서 가섭존자는 너의 육근문(六根門) 앞에 사량분별망상(思量分別妄想)인 찰간대를 꺾어버려라고 단호하게 꾸짖었다. 혜개선사는 송으로 형이 부르고 동생이 대답한 것은 부처님 집안의 추태를 드러냈다고 했다. 오자(悟者)와 미자(迷者)가 들어났기 때문이다. 오자인 가섭존자는 미자인 아난존자에게 제1결집때 아라한이 안된 아난존자를 자격미달자(資格未達者)라고 못 들어오게 쫓았다. 분심(憤心)이 난 아난존자는 계족(雞足) 정진으로 7일만에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어서 최초 결집에 참여하게 된다. 지식이나 생각으로는 조사(祖師) 공안관문(公案關門)을 뚫지 못한다.
화옹송평(和翁頌評) 역(譯)
가섭존자의 찰간 공안화두는 깨친자 미혹한 자로 집안 망신을 시켰네! 형이 부르고 동생이 대답한 것은 여실한 법인데 둔한 동생은 형의 자비심을 전혀 알지 못하였네! 迦葉刹竿公案話 悟者迷者家醜露 兄呼弟答如實法 鈍弟兄慈全不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