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를 해부하다
* 책소개
황금빛 화가, 화단의 이단아, 분리파의 수장… 19세기 미술사의 거장 ‘구스타프 클림트’에겐 수많은 애칭이 있다. 하지만 이것들이 클림트의 모든 면모를 설명하고 있을까? 해부학자이자 의사인 저자는 클림트의 이름 앞에 ‘인간과 과학에 매혹된 예술가’라는 새로운 수식어를 덧붙이며, 비밀스럽고 색다른 미술관 탐험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클림트를 해부하다》는 화려한 화풍과 도발적인 시도로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은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에 숨겨진 생물학적 도상, 즉 “클림트 코드”를 발견하는 책으로 인간의 탄생부터 성장, 노화, 죽음까지의 이야기를 과학과 예술의 흥미로운 만남 속에서 풀어낸다. 또한 이 책은 ‘인간의 생로병사’를 평생의 테마로 삼았던 클림트가 ‘과학의 시대’에 인간의 기원을 추적하는 발생학을 접하고, 또 그것을 그림에 녹여냈던 집요한 과정을 되짚어보는 작업이기도 하다. 해부학자의 눈으로 〈키스〉에 빼곡히 그려진 문양을 해석한 저자의 연구는 세계 3대 의학저널인 《JAMA》에 소개되었고, 노벨화학상 수상자를 비롯한 전 세계 석학들의 찬사를 받았다. 《클림트를 해부하다》는 해당 연구를 근간으로 ‘클림트를 사랑한 해부학자’인 저자가 지금까지 모아온 귀중한 연구 성과를 엮어낸 첫 책이다.
1부에서는 클림트를 비롯한 당시의 예술가들을 과학에 매료시킨 시대·문화적 배경을 살피고 2부에서는 〈키스〉, 〈다나에〉 등 클림트의 작품 속 인간 발달을 상징하는 도상들을 본격적으로 분석한다. 3부에선 프리다 칼로, 에곤 실레, 에드바르 뭉크 등 클림트와 마찬가지로 과학에서 예술의 영감을 얻었던 화가들의 작품을 살펴본다. AI로 복원된 다수의 컬러 작품뿐만 아니라, 당대 과학자들의 연구 스케치, 과학 전문서의 삽화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 오래전 인간 탄생의 비밀을 추적하듯 색다른 미술 관람이 가능하다.
* 책 속으로
〈키스〉 속 연인의 옷자락에 숨겨진 문양과 상징을 실마리로 삼아, 클림트가 일생을 통해 추구했던 테마, 바로 ‘인간의 생로병사’를 어떻게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켰는지 해부학자로서 탐색한다. (…) 해부학자의 관점에서 클림트의 그림은 단순히 두 연인의 에로티시즘만을 보여주는 그림은 아니다. 1900년대 전후의 과학적 성과를 기반으로 피부밑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생명의 아름다움을 드러낸 의과학적 예술작품인 것이다. 클림트는 어떻게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었을까? 그리고 이 그림들을 의학적인 관점에서 해부해보는 일의 의의는 무엇일까? - 8쪽
당시 빈 사람들은 〈철학〉에서 플라톤의 학당을, 〈의학〉에서 아스클레피오스와 히포크라테스에 대한 경배를, 〈법학〉에서는 법을 통한 정의 구현을 기대했을 것이다. 하지만 클림트는 그런 전통과 거리가 멀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누드와 알지 못할 상징으로 가득한 그림을 보여주었고, 〈철학〉은 모호하며, 〈의학〉은 불완전하고, 〈법학〉은 처벌에만 중점을 두고 있는 현실을 꼬집었다. (…) 클림트는 이 세 작품의 지난한 스캔들을 겪으면서 1905년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검열은 충분히 겪었다. 이제는 내 뜻대로 할 것이다.” 이를 계기로 클림트는 진정 자신만을 위한 예술을 경주하는 삶을 시작했다. - 46~47쪽
클림트는 어느 날, 의대 해부학 실습실을 방문했고, 이를 계기로 1903년 주커칸들 교수가 진행하는 ‘예술인을 위한 해부학 강의’를 듣게 된다. 주커칸들 교수는 인체의 육안적 구조와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조직의 사진을 랜턴(환등기) 슬라이드를 통해 소개하였으며, 특히 정자와 난자로부터 발달하는 인간 발생의 신비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였다. (…) 클림트는 주커칸들 교수의 강의와, 그와의 교류를 통해 해부학, 발생학, 조직학에서 표출된 이미지에 깊은 인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를 자신의 그림 속 중요한 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 90쪽
〈키스〉 그림을 확대해서 살펴보자. 클림트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남성의 성기 모양의 상징으로 써왔다. 따라서 남자 옷에 표시된 검은 직사각형이 남근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클림트는 정자의 형태를 스타일리시한 도식으로 표현하였다. 여자의 옷을 살펴보면 도라지꽃 같은 다각형이 많이 관찰된다. 좀 더 자세히 보면, 이 다각형에 물결치는 듯한 꼬리가 붙어 있는데, 이것이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200~400배 확대된 정자의 모습이다. 이미 19세기에는 광학 현미경 기술이 충분히 발달되어, 이 정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156쪽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클림트의 〈생명의 나무〉는 헤켈의 ‘생명 계통수’로부터 디자인적 측면이나 과학적인 관점의 아이디어를 얻었다. 나무의 구조뿐 아니라, 가지 끝의 모양을 아라베스크 무늬로 도식화한 것이 그러하다. 이러한 생명의 나무 가지 형태는 클림트의 〈키스〉, 〈희망Ⅱ〉, 〈죽음과 삶〉 등의 작품에도 나타난다. 이것은 인간은 자연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생물 ...
* 출판사 서평
“클림트의 그림은 과학과 예술의 아름다운 통섭이다.
의학박사가 펼쳐 보이는 예술의 경지가 놀랍도록 흥미롭다.”
- 최재천(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
20세기 전후 빈에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빈에서 움튼 작은 씨앗, 과학하는 예술가들을 낳다
“클림트는 어떻게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었을까?”(8쪽)라는 저자의 의문으로 시작하는 이 책은 클림트를 비롯한 걸출한 예술가, 지성인들이 탄생했던 1900년대 전후 오스트리아 빈으로 시간여행을 떠난다. 이들이 활동했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빈은 합스부르크 제국이 몰락하고 입헌국가가 시작되던 시기로, 국가는 쇠락하고 있었지만 역설적으로 문화와 학술의 꽃은 만개했다. 말러와 쇤베르크의 음악, 카프카와 슈니츨러의 문학,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프로이트의 의학이 단번에 세상에 쏟아졌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 책의 1부는 이러한 시대·문화적 토양에서 클림트가 ‘인간’과 ‘과학’에 매혹되고, 이를 평생의 테마로 삼게 된 계기를 두 가지 관점에서 제시한다.
첫째는 ‘빈 모더니즘’을 견인했던 빈의 살롱·카페 문화다. 당시 빈에서는 기성세대의 정치나 문화에 실망한 지식인들이 살롱이나 카페에 모여들어 예술, 철학, 정치, 과학 등 경계 없는 지식을 공유하고 20세기로 나아갈 새로운 문화를 도모했다. 이곳에서 다양한 학문이 통합되며 문화의 ‘빅뱅’을 일으킬 작은 씨앗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클림트는 자신이 즐겨 찾던 살롱에서 해부학자인 에밀 주커칸들을 만났고, 그의 실습실에서 ‘예술인을 위한 해부학 강의’를 듣게 된다. 정자와 난자의 만남에서 시작되는 인간 발생의 신비와 다윈의 진화론은 클림트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고, 그때부터 클림트는 자신의 작품에 해부학의 코드를 그려 넣기 시작한다.
둘째는 현미경의 발달로 촉발된 ‘과학의 시대’다. 클림트뿐만 아니라 3부에서 살펴볼 에곤 실레, 프리다 칼로, 에드바르 뭉크 등의 화가들 역시 자신의 작품에 생물학의 요소를 가득 새겨 넣었다. 인간의 임신과 출산, 노화에 관한 지식뿐만 아니라 유전과 면역, 세포분열 등 과학자 못지않은 생물학에 관한 깊은 이해가 그들의 그림에서 엿보인다. 이 책은 생물학, 발생학 이론이 진화해 온 과정을 별도의 부록으로 구성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당시 예술가들이 과학적 진실을 접하며 느꼈을 신선한 충격을 함께 경험해 보고 눈높이를 맞춰가는 과정이다. 세포 수준의 이해와 다윈의 진화론, 헤켈의 ‘생명의 나무’ 등은 인간에 깊은 관심을 품은 예술가들에게 정확한 표현의 도구가 되어주었다. 과학은 오래전부터 예술의 뮤즈였던 셈이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첫댓글 최재천교수의 통섭의 관점에서 접근한 추천사가 인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