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립미술관 제12회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빛2012” 작가선정
광주시립미술관(관장 황영성)에서는 2001년 이후 매년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을 개최해오고 있다. 이 전시회는 하정웅(광주시립미술관 명예관장, 미술작품컬렉터)씨의 광주시립미술관 다수의 작품기증과 함께 젊은 작가를 발굴 육성해야한다는 그의 뜻을 이어 시작되었다.
이와 관련해 광주시립미술관은 숨은 미술인재를 발굴하는 장으로서 진정한 예술혼을 지닌 작가를 5-7명씩 선정하고 이들 작가를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에 초대하여 전시기회를 부여하며 적극적인 청년작가 육성을 기회를 넓혀왔다.
이번전시는 제12회를 맞이하는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전시로 올해에도 작업 활동이 왕성하고 실험성과 독창성이 강한 작가, 현대미술의 시대적 흐름이나 상업적 기류에 편승하지 않고 작업성과가 돋보이며 발전가능성이 있는 작가 7명을 선정했다.
선정기준은 45세 미만으로 작업 활동이 왕성하고 실험성이 강하며 독창적인 작가 중 작업성과가 돋보이며 발전가능성이 있는 작가들을 중심으로 서울, 대전충남, 광주전남, 대구경북, 부산경남, 전북강원제주 등 총 6개권 역으로 나누어 미술관 학예연구원들이 자료를 수집한 후 3차의 회의와 작가 작업실 탐방 등을 거쳐 최종 선정했다. 최종 선정된 작가는 임남진(광주, 1970년생), 권승찬(광주, 1973년생), 김영봉(전북, 1980년생), 김윤경숙(대전, 1970년생), 송성진(부산, 1974년생), 김미련(대구, 1969년생), 고영택(서울경기, 1973년생)이다.
선정된 작가의 작품은 2012년 12월 7일부터 광주시립미술관 본관 1층 1,2전시실에서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빛2012”전시회를 통해 작품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개요>
- 전 시명 :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빛 2012”
- 장 소 : 광주시립미술관
- 전시기간 : 2012. 12. 7 ~ 2013. 2.17(예정)
- 참여 작가
광주지역 : 임남진, 권승찬
전북지역 : 김영봉
대전지역 : 김윤경숙
부산지역 : 송성진
대구지역 : 김미련
서울경기 : 고영택
<작가소개 >
❍ 임남진 (광주전남)
임남진은 그녀만의 독특한 해법으로 우리의 일상을 다양하게 포착해 보여준다. 항상 작품의 출발을 자신의 성찰로부터 시작하는 작가는 '존재의 본질'에 대한 고민을 작품을 통해 털어 놓는다. 천을 염색한 뒤, 수 십 번의 붓질로 형상 하나 하나를 완성해 나가는 더딘 작업방식 또한 작가에게는 자신의 근원으로 침잠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듯싶다. 작품 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 절절한 고통으로 느꼈던 사회의 아픈 현상들은 작품으로 화폭에 옮겨졌고, 이러한 현실주의 참여미술이 지금도 작업 근간을 이루고 있다.

임남진, 돌에 핀 꽃, 2011, 한지 채색, 60×117cm
학력
1995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 3회
주요단체전
2010 광주비엔날레 만인보(광주 비엔날레, 광주) 등 다수
수상
1998 대한민국불교미술대전 특선(서울 공평아트센터, 서울)
2001 제4회신세계미술제 자생장려상(신세계갤러리, 광주, 인천)
2008 광주시립미술관 양산동 창작 스튜디오 입주 작가
❍ 권승찬 (광주전남)
권승찬의 작업은 어떤 심오한 미학의 영역이기 보다 일상의 커뮤니케이션학의 영역에 가깝다. 표현하기보다는 말 걸기에 가까운 그의 작업은 관객으로 하여금 어떤 반응을 유도하고 어느 사이에 그와 대화를 하는 상황,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상황 등을 만들어 낸다. 감성보다는 호기심을 우선적으로 자극하고 관객을 작업의 한 요소로 포함시키는 이러한 작업의 전략은 예술에 있어 태도의 문제를 계속해서 묻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의 작품은 오늘날 예술에 있어 관객과 공간, 일상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 감상의 문제 등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권승찬, That Place, 2008-2011, 디지털프린트, 판넬, 웹-구글어스, 가변크기
학력
1999 호남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2004 호남대학교 미술학과 대학원 수료
개인전 7회
주요단체전
2010 5.18 30주년기념-오월의꽃(아시아문화마루, 광주) 등 다수
프로젝트 기획
2009-2010 ok공공프로젝트-공공식당.공공디자인.공공옥상.공공하우스방(대인시장, 광주) 등 다수
레지던시 / 기금 / 수상
2008 국립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 공공미술-아트펜스 선정 작가, 문화관광부
광주 문예진흥기금, 신진작가
❍ 김영봉 (전북)
김영봉은 사적 공간이자 친숙한 대상인 ‘집’을 주제로 하고 있다. 작가 본인이 한동안 몸담은 적이 있었던 장소들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작업으로서 시각화한다. 현대인의 주된 이슈인 집값에 대한 고민과 일상의 편린에서 발견한 집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각적인 삶의 풍경을 보여준다. 세월이 묻어나는 집 형상의 배열로 연출된 그의 도시 풍경은 기억과 조응하고 있다.

학력
2006 국립군산대학교 미술학과 회화전공 졸업
2012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졸업
개인전
2010 집(House)-Space Zip 기획초대(스페이스집, 서울)
주요단체전
2011 경기창작센터 입주 작가 오픈스튜디오(경기창작센터, 경기)
2010 호모루덴스-유희하는 인간(전북도립미술관, 전북) 등 다수
레지던시
2011 경기창작센터 지역협력 프로젝트(경기 안산)
2010 군산 아트레지던시(군산 월명 적산가옥, 전북)
❍ 김윤경숙 (대전)
김윤경숙은 붉은색 비닐로 기억의 오브제를 들춰내거나 혹은 그것들을 감싸 분위기를 연출한다. 설듯 보기에 붉은색 비닐은 붉은색 비닐이 아닌 붉은색 마카로 촘촘히 그어져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일정의 크기로 재단된 비닐은 그녀의 노동의 캔버스가 되고 그 몸적 시간은 기억의 오브제로 재탄생된다. 그녀가 언급하듯 비닐에 붉은 색 마커 긋기 혹은 지우기는 지루한 반복을 통한 성찰적 구도로 가시화라 할 수 있으며 그녀의 작업들은 일련의 시간적인 혹은 몸적인 노동을 통해 흔적의 흔적을 마크한다고 할 수 있다.

김윤경숙, The Isle of Jaehang_Ubiquity, 2011, 텍스트, 비계, 망원경, 드로잉, 테이프, 1800×990×183cm
학력
목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개인전 7회
주요단체전
2012 평화가 웃는다.(평화박물관 기획 space99, 서울)
site Non-site(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09 Living Furniture(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광주대인시장프로젝트참여(대인시장, 광주) 등 다수
❍ 송성진 (부산)
송성진은 도시의 삶과 인간의 삶의 일치를 말하고, 직접 집을 설계하여 이상적인 도시 공간을 만들어 개인에게 이런 나만의 공간이 주어진다면 난 어떠한 삶의 방식과 생활공간을 만들고 살 것인가? 라는 물음을 던지며 집이라는 하나의 소재로 다양한 시선을 보여주었다.

송성진, 도시 성장-블랙라이트, 2011, 폐목, 혼합재료, 600×1100cm
학력
2001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졸업
2003 동대학원 졸업 2012 박사과정수료
개인전 9회
주요단체전
2012 창원아시아미술제(성산아트홀, 창원)
2011 신나는 미술관-라이트아트의 신비로운 세계(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10 감각이동전 (한국문화원, 베이징)
2009 ARKO 작가-중심 네트워크 : DECENTERED(서울, 광주, 부산)
2002 2002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展(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등 다수
레지던시
북경 PSB레시던시 (스페이스 캔)
❍ 김미련 (대구)
김미련 작가는 2010년 Ver.6『Monumental Aircoat in Glassbox』展에서 관객의 움직임에 의해 우의의 외형이 우습게 변하는 상호작용을 매개로 '권력'의 기억을 풍자하려는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최근 그녀는 가상의 이미지와 골목길 주변에서 발견한 50여개의 식물 화분의 겹침으로 '차이'와 '틈'을 제시한 「The Spatial Plants Ⅱ」를 통해 다른 장소에서 자란 비슷한 이름의 식물이 지닌 친근한 듯 낯설고 새롭게 보이는 가변적 정체성을 보여주었다

김미련, Monumental air coat in Glassbox Ⅳ, 2010, interactive installation, 가변크기
학력
2011 경북대 대학원 디지털미디어아트 박사과정
2008 독일 뒤셀도르프국립미대 학사, 석사과정졸업, A.R.Penck 로부터 마이스터슐러 사사
1992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개인전 국내외 8회
주요단체전
2012 Dartist(국립대구미술관, 대구)
2010 Artfilmday 2010, Malkasten(뒤셀도르프, 독일)
CIGE 2010(베이징아트페어, 중국) 등 다수
수상
2010 국제문화교류지원수혜, 대구문화재단
2009 오늘의 청년작가상 대구 문화예술회관
2003 러벌즈 변호사협회 작가후원상 1등상
2008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아카이브작가선정
레지던스
가창창작스튜디오4기
❍ 고영택 (서울경기)
고영택의 작업은 서로 구별될 수 있는 세계들 사이에 자리하면서 그것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탐구하는 것에 집중된다. 그는 주체 및 현실에 대한 고정된 위치에 정박해 있거나, 객체 및 환영에 완전히 매몰되기 보다는 양극의 차이와 편차에 주목한다. 차이가 확보될 수 있어야 양자의 상호관계라는 것이 유의미해지기 때문이다. 그는 주체와 대상, 현실과 환영 사이에서 벌어질 수 있는 지각의 다양한 양상을 컴퓨터를 비롯한 뉴 미디어를 통해 탐구한다.

고영택, 공간변주 1, 2009, 인터렉티브 미디어 설치
학력
추계예술대학교 서양학과 졸업
독일 자르조형예술대학 뉴미디어학과 졸업
독일 자르조형예술학교 뉴미디어학과 마이스터 스튜디움 수료
개인전 3회
주요단체전
2010 미디어시즌 인 헤이리 2010(Art Space With Artist, 헤이리)
2009 소리풍경-공공미술프로젝트-골목에서 주름잡기(서울 북아현동)
2008 대한민국 청년작가 초대전-디지로그시대의 오감 찾기-서울역 구 역사
2007 미디어아트 HBK Saar-Motkerei Werkstatt(퀼른, 독일)
2006 위로흐르고(르까로극장, 포어바흐) 등 다수
전시지원
2008-SeMa 서울 시립미술관 신진작가전시지원 프로그램
원글 보기 → 여기를 누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