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一. [百一]固元丹
治元臟久虛 遺精白濁五淋 及小腸膀胱疝氣 婦人赤白帶下 血崩便血等疾 以小便頻利爲效.
好蒼朮 刮淨 米泔浸咀片 一斤. 擇堅而小者佳 惟茅山者尤妙. 分作四分製之. 一分用小茴香 食鹽各一兩同炒. 一分用川椒 補骨脂各一兩同炒. 一分用川烏頭 川楝子肉各一兩同炒. 一分用醇醋 老酒各半斤同煮乾 焙燥
上連炒諸藥同爲末 用酒煮糊丸 桐子大. 每服三五十丸 男以溫酒 女以醋湯空心下. 此高司法方也.
31. [백일]고원단([百一]固元丹)
원장(元臟)의 구허(久虛)로 유정(遺精) 백탁(白濁) 오림(五淋) 및 소장(小腸) 방광(膀胱)의 산기(疝氣)와 부인(婦人)의 적백(赤白)의 대하(帶下) 혈붕(血崩) 변혈(便血) 등의 질(疾)을 치료(治)하니, 소변(小便)이 자주 이(利)하면 효(效)하느니라.
호창출(好蒼朮)(괄(刮)하여 정(淨)하게 하고 미감(米泔)에 침(浸)하여 편(片)으로 써느니라.) 1근(斤)(견(堅)하면서 소(小)한 것을 택하는 것이 좋으니라. 특히 모산(茅山)의 것이 묘(妙)하느니라. 4등분으로 나누어 제(製)하느니라. 일분(一分)은 소회향(小茴香) 식염(食鹽) 각 1량(兩)과 같이 초(炒)하느니라. 일분(一分)은 천초(川椒) 보골지(補骨脂) 각 1량(兩)과 같이 초(炒)하느니라. 일분(一分)은 천오두(川烏頭) 천련자육(川楝子肉) 각 1량(兩)과 같이 초(炒)하느니라. 일분(一分)은 순초(醇醋) 노주(老酒) 각 반근(半斤)과 같이 달여서 건(乾)하고 배조(焙燥)하느니라.)
연(連)하여 제약(諸藥)을 초(炒)하고 같이 가루 내고 주(酒)로 자(煮)한 호(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50환(丸)을 복용하니 남(男)은 온주(溫酒)로, 녀(女)는 초탕(醋湯)으로 공심(空心)에 하(下)하느니라. 이는 고사법(高司法)의 방(方)이니라.
三二. [御藥]秘元丹
治內虛裏寒 自汗時出 小便不禁.
白龍骨 三兩 訶子肉 砂仁 各一兩 靈砂 二兩
上爲末 煮糯米粥丸 桐子大. 每服五十丸 空心鹽酒下.
32. [어약]비원단([御藥]秘元丹)
내허(內虛) 리한(裏寒)으로 자한(自汗)이 시(時)로 출(出)하고 소변(小便)이 불금(不禁)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백용골(白龍骨) 3량(兩) 가자육(訶子肉) 사인(砂仁) 각 1량(兩) 영사(靈砂) 2량(兩)
가루 내고 자(煮)한 나미죽(糯米粥)으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염주(鹽酒)로 하(下)하느니라.
三三. 韭子丸
治虛勞寒脫漏精.
韭子(炒) 車前子 天雄(製) 菟絲子(酒煮另搗) 龍骨 各一兩 鹿茸(酥炙) 乾薑(炮) 桑螵蛸(炒) 各三錢
上爲末 煉蜜丸 桐子大. 每服二三十丸 空心黃芪湯下.
33. 구자환(韭子丸)
허로(虛勞)의 한증(寒證)과 탈정(脫精) 누정(漏精)을 치료(治)하느니라.
구자(韭子)(초(炒)) 차전자(車前子) 천웅(天雄)(제(製)) 토사자(菟絲子)(주(酒)로 자(煮)하고 따로 도(搗)) 용골(龍骨) 각 1량(兩) 녹용(鹿茸)(소(酥)로 자(炙)) 건강(乾薑)(포(炮)) 상표초(桑螵蛸)(초(炒)) 각 3전(錢)
가루 내고 연밀(煉蜜)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20~3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황기탕(黃芪湯)으로 하(下)하느니라.
三四. [三因]家韭子丸
治少長遺溺 及男子虛劇 陽氣衰敗 小便白濁 夜夢遺精. 此藥補養元氣 進美飮食. 按: 此方當除去石斛 倍用菟絲 庶乎尤效.
家韭子(炒) 六兩 鹿茸(酥炙) 四兩 肉蓯蓉(酒浸) 牛膝(酒浸) 熟地 當歸 各二兩 菟絲子(酒煮) 巴戟肉 各一兩半 杜仲(炒) 石斛 桂心 乾薑(炮) 各一兩
酒糊丸 桐子大. 每服五七十丸 加至百餘丸 食前溫酒 鹽湯任下. 凡小兒遺尿者 多因胞寒 亦稟受陽氣不足也 作小丸服之.
34. [삼인]가구자환([三因]家韭子丸)
소장(少壯)의 유뇨(遺溺) 및 남자(男子)의 허극(虛劇)으로 양기(陽氣)가 쇠패(衰敗)하여 소변(小便)이 백탁(白濁)하고 야몽(夜夢)에 유정(遺精)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이 약(藥)은 원기(元氣)를 보양(補養)하고 음식(飮食)을 진미(進美)하게 하느니라.
생각하건대 이 방(方)은 당연히 석곡(石斛)을 제거(除去)하고 토사(菟絲)를 배(倍)로 사용하여야 더 효(效)하느니라.
가구자(家韭子)(초(炒)) 6량(兩) 녹용(鹿茸)(소(酥)로 자(炙)) 4량(兩) 육종용(肉蓯蓉)(주(酒)에 침(浸)) 우슬(牛膝)(주(酒)에 침(浸)) 숙지황(熟地) 당귀(當歸) 각 2량(兩) 토사자(菟絲子)(주(酒)로 자(煮)) 파극육(巴戟肉) 각 1량반(兩半) 두충(杜仲)(초(炒)) 석곡(石斛) 계심(桂心) 건강(乾薑)(포(炮)) 각 1량(兩)
주호(酒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70환(丸)을 복용하니 100여 환(丸)까지 가하느니라. 식전(食前)에 온주(溫酒) 염탕(鹽湯)으로 임하(任下)하느니라. 소아(小兒)의 유뇨(遺尿)는 대부분 포한(胞寒)하고 또한 품수(稟受)된 양기(陽氣)가 부족(不足)한 것이니, 소환(小丸)을 작(作)하여 복용하느니라.
三五. 小菟絲子丸
治腎氣虛損 目眩耳鳴 四肢倦怠 夜夢遺精.
菟絲子(製) 五兩 石蓮肉 二兩 白茯苓 二兩 山藥(炒) 二兩(分一半作糊)
用山藥糊丸 桐子大. 每服五十丸 空心溫酒 鹽湯任下. 一方有五味子一兩 治小便多而不禁.
35. 소토사자환(小菟絲子丸)
신기(腎氣)의 허손(虛損)으로 목현(目眩) 이명(耳鳴)하고 사지(四肢)가 권태(倦怠)하며 야몽(夜夢) 유정(遺精)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토사자(菟絲子)(제(製)) 5량(兩) 석연육(石蓮肉) 2량(兩) 백복령(白茯苓) 2량(兩) 산약(山藥)(초(炒)) 2량(兩)(등분하여 반(半)은 호(糊)로 작(作))
산약(山藥)의 호(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온주(溫酒) 염탕(鹽湯)으로 임하(任下)하느니라.
일방(一方): 오미자(五味子) 1량(兩)이 있으니, 소변(小便)이 많으면서 불금(不禁)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三六. [局方]大菟絲子丸
治腎氣虛損 五勞七傷 脚膝痠痛 面色黎黑 目眩耳鳴 心忡氣短 時有盜汗 小便滑數.
菟絲子(酒製) 鹿茸(酥炙) 肉桂 石龍肉(去土) 附子(炮) 澤瀉 各一兩 熟地 牛膝(酒浸一宿 焙乾) 山茱萸 杜仲(炒) 茯苓 肉蓯蓉(酒浸 切焙) 續斷 石斛 防風 補骨脂(酒炒) 蓽撥 巴戟肉 茴香(炒) 沈香 各三兩 川芎 五味 桑螵蛸 覆盆子 各五錢
上爲末 酒煮麵糊丸 桐子大. 每服三五十丸 空心鹽湯 溫酒任下.
36. [국방]대토사자환([局方]大菟絲子丸)
신기(腎氣)의 허손(虛損), 오로(五勞) 칠상(七傷)으로 각슬(脚膝)이 산통(痠痛)하고 면색(面色)이 여흑(黎黑)하며 목현(目眩) 이명(耳鳴)하고 심충(心忡) 기단(氣短)하며 시(時)로 도한(盜汗)이 있고 소변(小便)이 활삭(滑數)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토사자(菟絲子)(주(酒)로 제(製)) 녹용(鹿茸)(소(酥)로 자(炙)) 육계(肉桂) 석용육(石龍肉)(토(土)를 거(去)) 부자(附子)(포(炮)) 택사(澤瀉) 각 1량(兩) 숙지황(熟地) 우슬(牛膝)(주(酒)에 침(浸)하기를 일숙(一宿)하고 배건(焙乾)) 산수유(山茱萸) 두충(杜仲)(초(炒)) 복령(茯苓) 육종용(肉蓯蓉)(주(酒)에 침(浸)하고 절(切)하고 배(焙)) 속단(續斷) 석곡(石斛) 방풍(防風) 보골지(補骨脂)(주(酒)로 초(炒)) 필발(蓽撥) 파극육(巴戟肉) 회향(茴香)(초(炒)) 침향(沈香) 각 3량(兩) 천궁(川芎) 오미(五味) 상표초(桑螵蛸) 복분자(覆盆子) 각 5전(錢)
가루 내고 주(酒)로 자(煮)한 면호(麵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5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염탕(鹽湯) 온주(溫酒)로 임하(任下)하느니라.
三七. [濟生]菟絲子丸
治小便多 致失禁
菟絲子(製) 肉蓯蓉(酒浸) 各二兩 牡蠣(煅) 附子(炮) 五味子 鹿茸(酒炙) 各一兩 鷄䏶胵(炙乾) 五錢 桑螵蛸(酒炙) 五錢
上爲末 酒糊丸 桐子大. 每服七十丸 空心鹽湯 溫酒任下.
37. [제생]토사자환([濟生]菟絲子丸)
소변(小便)이 많아 실금(失禁)에 이르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토사자(菟絲子)(제(製)) 육종용(肉蓯蓉)(주(酒)에 침(浸)) 각 2량(兩) 모려(牡蠣)(단(煅)) 부자(附子)(포(炮)) 오미자(五味子) 녹용(鹿茸)(주(酒)에 자(炙)) 각 1량(兩) 계비치(鷄䏶胵)(자(炙)하여 건(乾)) 5전(錢) 상표초(桑螵蛸)(주(酒)로 자(炙)) 5전(錢)
가루 내고 주호(酒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7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염탕(鹽湯) 온주(溫酒)로 임하(任下)하느니라.
三八. [局方]茯菟丸
治思慮太過 心腎虛損 眞陽不固 尿有餘瀝 或小便白濁 夢寐遺精等證.
菟絲子 製 五兩 白茯苓 三兩 石蓮肉 二兩
酒糊丸 桐子大. 每服三五十丸 空心鹽湯或米湯下. 一方有北五味子四兩 兼治三消.
38. [국방]복토환([局方]茯菟丸)
사려(思慮)의 태과(太過)로 심신(心腎)이 허손(虛損)하고 진양(眞陽)이 불고(不固)하여 요(尿)에 여력(餘瀝)이 있고 혹 소변(小便)이 백탁(白濁)하며 몽매(夢寐) 유정(遺精)하는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느니라.
토사자(菟絲子)(제(製)) 5량(兩) 백복령(白茯苓) 3량(兩) 석연육(石蓮肉) 2량(兩)
주호(酒糊)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30~5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염탕(鹽湯)이나 미탕(米湯)으로 하(下)하느니라.
일방(一方): 북오미자(北五味子) 4량(兩)이 있으니, 겸하여 삼소(三消)를 치료(治)하느니라.
三九. 猪肚丸
治小便頻數.
蓮子 一斤(以猪肚一個 同煮一周日 取出去皮心焙乾爲末) 舶茴香 破故紙 川楝子 母丁香 各一兩
上爲末 煉蜜丸 桐子大. 每服五十丸 空心溫酒送下.
39. 저두환(猪肚丸)
소변(小便)의 빈삭(頻數)을 치료(治)하느니라.
蓮子 1斤(猪肚 一個와 같이 달여서 一周日하고 取出하여 皮心을 去하고 焙乾하여 가루 내느니라.) 舶茴香 破故紙 川楝子 母丁香 각 1兩
가루 내고 연밀(煉蜜)로 환(丸)을 동자(桐子)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50환(丸)을 복용하니 공심(空心)에 온주(溫酒)로 송하(送下)하느니라.
四十. 經驗猪肚丸
止夢遺泄精 進飮食. 健肢體 此藥神應. 瘦者服之自肥 莫測其理.
白朮(麵炒) 五兩 苦蔘(白者) 三兩 牡蠣(左扇者 煅硏) 四兩
上爲末 用雄猪肚一具 洗淨 以磁罐煮極爛 木石臼搗如泥 和藥再加肚汁搗半日 丸如小豆大. 每服四五十丸 日進三服 米飮送下. 久服自覺身肥而夢遺永止.
40. 경험저두환(經驗猪肚丸)
몽유(夢遺) 설정(泄精)을 지(止)하고 음식(飮食)을 진(進)하며 지체(肢體)를 건(健)하니 이 약(藥)이 신응(神應)하느니라. 수(瘦)한 자가 이를 복용하면 저절로 비(肥)하게 되니 그 이(理)를 막측(莫測)하느니라.
백출(白朮)(면(麵)과 초(炒)) 5량(兩) 고삼(苦蔘)(백(白)한 것) 3량(兩) 모려(牡蠣)(좌선(左扇)한 것을 단(煅)하고 연(硏)) 4량(兩)
가루 내고 웅저두(雄猪肚) 1구(具)를 정(淨)하게 세(洗)하고 자관(磁罐)에서 달여서 극란(極爛)하면 목(木)으로 석구(石臼)에 도(搗)하여 니(泥)와 같이 되면 약(藥)을 섞고 다시 두(肚)의 즙(汁)을 가하여 도(搗)하기를 반일(半日)하여 환(丸)을 소두(小豆) 크기로 만드느니라. 매 40~50환(丸)을 복용하니 하루에 3번 복용을 진(進)하니 미음(米飮)으로 송하(送下)하느니라. 구복(久服)하면 스스로 신(身)이 비(肥)하게 되는 것을 느끼고 몽유(夢遺)가 평생 지(止)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