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교는 610년 무함마드가 창시한 종교다.
이슬람이란 ‘유일신 알라에게 절대복종한다.’라는 뜻이며, 이슬람 신도를 무슬림이라고 한다.
이슬람교는 전지전능한 유일신 알라 앞에 완전 평등을 주장하고 형제애와 공동체성을 강조한다. 무함마드는 알라의 계시 내용을 포교하는 예언자였고 그 내용을 정리한 경전이 『코란』이다. 창시 후 아라비아지역이 하나의 조직으로 통일되었고, 무함마드 사후 교세가 크게 확장되었다. 오늘날 신도 수는 세계 인구의 20% 정도인 9억이고, 이슬람국가는 43개국에 달한다. 우리나라에도 2009년 기준으로 약 3만 5천여 명의 한국인 신도가 있다.
이슬람이란 ‘절대 순종한다.’라는 뜻이며, 이슬람 신도를 가리키는 무슬림(Muslim) 이라는 용어는 ‘절대 순종하는 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슬람교는 전지전능한 유일신인 알라(Allah)의 가르침이 대천사 가브리엘을 통해 무함마드에게 계시(啓示)되어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유대교 · 기독교 등의 셈족계 종교를 완성 시킨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슬람국가’라고 불리는 나라만도 43개국에 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슬람교(Islam敎) 또는 회교(回敎)로 불리며, 6 · 25전쟁 때 UN군의 일원으로 참여한 터키군에 의하여 1955년 소개되어 2009년 기준으로 약 3만 5천여 명의 한국인 신도를 확보하고 있다.
예언자 무함마드는 아라비아반도 중부 메카에서 유복자로 태어나 7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할아버지와 작은아버지 밑에서 성장하였다. 25세에 부호의 미망인 하디자와 혼인하여 한때 시리아 등지에서 대상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당시 아라비아반도 주민들은 종교적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자연신과 신령을 믿는 복합적인 신앙양상을 보이고 있었고, 사회적으로도 급속한 상업경제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부작용과 갈등적 요소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기존의 삶에 깊은 회의(懷疑)를 품고 사색과 명상을 계속하던 그는 40세 되던 610년 경 천사 가브리엘로부터 하느님 알라의 계시를 받은 뒤 마지막 예언자로서의 사명을 띠고 포교에 나섰다. 이때 알라로부터 받은 계시를 기록한 것이 『꾸란』이다.
그러나 보수적 전통이 강한 메카 지도층 코레시아족의 탄압으로 포교에 큰 성과를 얻지 못하고, 622년 9월 메카 북방 400㎞ 지점의 메디나주로 옮겨갔다. 이 메디나행을 이슬람에서는 ‘헤지라(聖遷)’라고 부르고 이를 이슬람력의 기원으로 삼고 있다.
여기서 이주한 무하자룬(교도)과 그 지역 협력자들을 모아 최초의 움마(교단)를 조직하게 되는데, 이를 강화하여 나중에 이슬람국가로 발전시켰다. 유사 이래 처음으로 방대한 아라비아지역을 하나의 조직으로 통일한 그는 632년 6월 메디나에서 죽었다.
처음부터 하느님 앞에 완전평등을 주장한 이슬람교는 형제애를 강조하며 영적인 삶과 세속적인 삶을 연결함으로써 신에 대한 인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 및 다른 인간과의 관계까지 강한 공동체적 성격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이중적 성격의 공동체는 신의 뜻을 실현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성전聖戰(지하드)에 임하여 놀라운 성공을 이루었는데, 예언자가 죽은 뒤 한 세기도 안 되어 스페인에서 중앙아시아를 걸쳐 소아시아에 이르는 대제국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슬림으로 개종하는 자가 급속히 늘어갔는데, 이는 신도공동체인 움마내에서는 절대평등을 인정하나 타 종교 신봉자에게는 인두세를 물리는 등 공적인 차별 대우를 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 뒤 훨씬 더 대중적으로 이루어진 이슬람의 2차 확장은 12세기 이후 모슬렘 신비주의자인 수피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은 주로 중앙아시아, 터키, 사하라 일대의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지에 이슬람을 전파하는 데 결정적 구실을 하였다.
그 밖에도 무슬림 상인들은 원거리 무역으로 인도 동부 연안과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중국 사람들을 개종하는 데에 촉매 역할을 해냈다. 이슬람교는 여러 인종과 다양한 문화로 이루어져 있던 거대한 지역에 정치적 · 경제적 · 사회적인 내적 차이를 하나의 종교공동체로 포괄함으로써 일체감을 부여해 주었다.
특히, 세계사에 있어 동서 대륙의 세계 문화 교량 역할을 담당하였고, 중세 유럽 암흑기에는 그리이스 · 로마의 고전 문명을 훌륭하게 보존하여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었다. 그러나 근대 이후 서구제국주의 세력에 대처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점차 종교적 · 정치적 · 사회적 제도에 갈등을 빚게 되었다.
특히, 20세기 후반 식민종주국으로부터 얻은 정치적 독립을 유지하는 일과 이슬람공동체를 현대화하는 일로 인하여 서구엘리트와 종교 전통 고수자 사이에 많은 마찰이 발생하였다.
현재 이슬람교는 여러 가지 해결할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나, 하나의 신앙체계로서 여전히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들은 모든 이슬람국가를 결속하고자 범아랍주의라는 이념을 창출하여 현재도 국제사회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슬람의 기본신앙은 “알라 외에 다른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예언자”라는 신앙고백에서 출발한다. 또, 『꾸란』은 “다만 믿는 것으로 그치고, 이를 실천하지 않는 자는 무슬림일 수 없다”라고 못 박고 있다. 이렇듯 실천을 강조하는 이슬람 신앙은 대체로 칠신(七信)과 오행(五行)으로 요약된다.
칠신은 알라 · 천사 · 경전 · 사도(使徒) · 내세 · 정명(定命) · 부활에 대한 믿음이며, 오행은 오주(五柱)라고도 하는데, 신앙고백 · 예배 · 쟈카드(救貧稅) · 단식 · 순례의 실천을 말한다.
우선 믿음을 보면 유일신 알라에 대한 절대적 믿음이 근본을 이루며, 알라가 모든 생명과 죽음의 주인이라는 정명관신앙(定命觀信仰)과 신은 하나이고 무함마드는 신의 사도라는 ‘신앙고백 선언’이 핵심이다. 구약에서 말하는 아담 이후의 노아 · 아브라함· 모세 · 이삭 · 예수 · 무함마드는 모두 예언자로서 하느님의 사도로 여긴다.
따라서 무슬림들은 예수를 하느님의 사도로 존경하나, 기독교에서와 같은 예수 신성, 십자가와 부활의 개념은 인정하지 않는다. 또 기독교에서의 원죄설도 부인한다. 무함마드는 최후 심판의 날까지 인류사를 관장할 임무를 띠고 이 땅에 온 최후의 사도로서 종래의 모든 예언자의 활동을 보완, 완성하기 위해서 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믿음에 따른 다섯 가지 주요 의무가 있다. 첫째, 신앙고백을 통하여 하느님의 종임을 확인한다. 둘째, 예배는 하루 다섯 번 메카를 향하여 드리고 금요일 정오에는 집단예배를 드린다. 셋째, 자기 수입의 2.5%를 세금으로 헌납하는데, 이것은 국가재정의 기본일 뿐 아니라 가난한 자를 위하여 쓰인다. 넷째, 단식으로 성년무슬림은 매년 이슬람력 아홉 번째 달인 라마단기간동안 해 뜰 무렵부터 해 질 무렵까지 음식 · 음료수 · 담배 · 성행위와 같은 일체의 본능적 행위를 억제하는 금욕생활을 행한다. 라마단월(月)이 끝나 새달을 맞게 되면 화려한 의상을 입고 거리로 나와 성대한 축제를 가진다.
다섯째, 성지순례로서 누구나 일생에 한 번은 이슬람력 12월 9일경을 전후하여 메카순례의 의무가 있다. 하느님 앞에서 완전평등이라는 이러한 생활실천은 세계의 방대한 지역과 다양한 민족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음주 · 간음 · 돼지고기 · 고리대금 · 거짓말 등은 무슬림의 계율로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이슬람교도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을 믿는 종교이다. 기독교와 같은 뿌리를 두고 있는 셈이다. 내용은 차후에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 더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를 신의 사도로 여긴다. 무함마드가 동굴에서 자다가 날개가 600개 달린 대천사 가브리엘이 전해준 계시에 의해 아내와 어린 조카에게 신의 말씀을 전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슬람교에는 가장 기본적인 다섯 가지 실천 의례가 있다. 이를 '이슬람의 다섯 기둥'이라고 부른다.
1. 신앙고백 - 알라 이외에 다른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의 예언자라는 선언한다.
2. 기도 - 하루에 다섯 번 알라에 기도해야 하므로 여행하다 일정한 시간이 되어도 장소를 가리지 않고 예배를 드린다.
3. 자선 - 무슬림들은 자산의 2.5%, 교역품의 2.5%, 농업 생산의 5-10% 정도를 가난한 사람, 즉 자신에게서 제일 가까운 가난한 이들에게 기부(寄附)하도록 한다.
유일신 하나님(알라)을 믿고 따르는 종파 중, 가장 실천하며 행동하는 공동체로 인정받는다.
4. 단식 - 라마단(이슬람력 9월) 한 달 동안 일출부터 일몰까지 음식 및 음료의 섭취와 어떠한 성행위도 허용되지 않는다.
5. 메카 순례 - 이슬람력 12월에 이루어지며, 경제적 신체적으로 능력이 있는 무슬림이라면 모두가 일생에 한 번은 행하는 것이 좋다.
다음 편에서는 ‘힌두교’에 대해 알아본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