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51) Int. Cl.
6
A61K 7/50
(11) 공개번호 10-2001-0025970
(43) 공개일자 2001년04월06일
(21) 출원번호 10-1999-0037078
(22) 출원일자 1999년09월02일
(71) 출원인 김희성
광주 남구 월산4동 931-8번지
(72) 발명자 김희성
광주 남구 월산4동 931-8번지
(74) 대리인 서만규
심사청구 : 있음
(54) 프로폴리스 함유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요약
이 발명은 병원성 유해 세균 및 진균류에 대한 특이적인 선택성을 갖는 천연 항생 물질 및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생리 활성 물질로서 여러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어 있는 식품 공전 13-25에 규정된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첫 번째 액상 청결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1∼25 중량및 정제수 75∼99.9 중량로 구
성되며, 두 번째 분말 청결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4∼99.6 중량및 항산화제로서의 폴리페놀류를 주성
분으로 하는 차 추출물 0.4∼99.6 중량로 구성되고, 세 번째 청결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1∼25 중량,
차 추출물 0.1∼25 중량, 계면활성제 0.3∼25 중량및 잔부가 정제수로 구성되며,
프로폴리스는 흡착성이 강한 중합체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점막 표면에 대한 도포성이 양호하며 또
한 질내 유해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특이적 증식 억제능 내지 사멸능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됨과 아울러,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기인한 냄새 제거 효과도 탁월하며, 차 추출물은 점막 표면의 지방 분해에 도움이
되고, 더욱이 자극성이 전혀 없고 세정력도 비교적 우수하며 관능성도 양호하다.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Propolis)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표피, 특히 싹이나 꽃 봉오리 등을 외부의 유해한 미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식물이 분비하는 수액과 벌의 타액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천연 항생 물질 및 생리 활성 물질로서 알
려져 있는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여성의 질 및 외음부 세정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폴리스란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미류 나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목 및 초본이 외부의 유
해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표피, 꽃, 봉오리, 새순 등으로부터 분비하는 수액을 벌들
이 체모에 붙여 모은 후 자신들의 타액과 혼합하여 타액속의 효소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고
분자 중합체들의 복합물에 대한 총칭이다.
양봉을 포함하는 자연계에서, 벌들은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벌집을 냉기나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음과 아울러, 세균류, 진균류 및 바이러스 등과 같은 각종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최적
한 습도 및 온도(대략 32∼35℃)하에서 수 만 마리가 밀집 생활을 하면서도 병원성 미생물로 인한 집단
발병에 의해 밀집 사회가 사멸하는 일 없이 강한 생명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다양한 스펙트럼의 미생
물군에 대하여 작용할 수 있는 프로폴리스라고 하는 벌 특유의 천연 항생 및 생리 활성 물질이 있기 때
문인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벌들은 프로폴리스를 외부와 연결되는 출입구, 빈틈 및 벌집의 내벽 등에
코팅하고 있으나, 특히 여왕벌의 산란 장소 및 유충이 기거하는 장소에 코팅함으로써 알과 유충을 유해
한 병원성 미생물이나 주거 환경을 열악하게 만들 수 있는 미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
프로폴리스는 B.C. 300년 훨씬 이전부터 고대 이집트인들에 의하여 방부제로서 미이라의 방부 처리에 효
과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방부제로서의 효능은 벌집에 나방이나 작은 들쥐 또는 뱀 등이 들어가
벌들의 공격에 의해 죽은 후, 이들을 벌집 밖으로 운반치 못할 경우 벌들에 의해 코팅 처리된 프로폴리
스에 의해 수년간 부패하지 않고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자연적인 관찰 사실로부터도 확인될 수
6-1
공개특허10-2001-0025970
있다. 프로폴리스에 대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방부제로서의 효능 외에, 현대 의학에 의한 다양한 논문 및
임상 보고서에서는 프로폴리스의 항암성, 화상 치유능,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및 무좀 등과 같은 진균
류에 의한 피부병 치유능, 탈모 억제능, 생리통 완화 내지 제거 효과, 변비, 피부 미용 및 주름 제거 등
과 미용 효과, 충치, 치육염 및 구강염 등과 같은 세균성 치과적 질환에 대한 치유 및 예방능이 보고되
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에서도 최근 식품공전 13-25에 건강보조식품으로 규정해 놓
고 있다.
또한, 프로폴리스의 주성분중 하나인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본, 플라보논, 플라보놀, 플라바놀, 플라바논,
플라바놀 및 아이소플라본 등과 같은 안소잔신류 및 당과 결합된 그 배당체, 수백종의 안소샤이아닌 및
당과 결합된 그 배당체, 탄닌류로서의 캬테킨 및 류우코잔신을 포함하며, 플라보노이드에 대해서는 1969
년 러시아 카바르키나 박사의 5.6 배에 달하는 면역력 상승 효과, 1973년 러시아 알렉산드로플의 페니실
린 보다 더 강한 유해균에 대한 살균력 실험 입증 발표, 1991년 일본생화학회의 진통 작용과 항염 효과,
1994년 일본공업전문대학에서의 제암 효능 임상실험결과, 기타 전신 세포의 활성화, 호르몬 자극 활동,
비타민 P의 작용에 의한 괴혈병 치료,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작용, 생체 호르몬의 균형 유지 등의 탁월
한 효과가 있다는 세계 여러 나라의 연구 결과 및 임상시험결과가 발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대표적인 여성용 청결제로서는 세정력을 지닌 계면활성제 및 의약품으로서의 포비돈-요오
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상기한 화학적 합성에 의한 소독제인 포비돈-요오드는 칸디다
성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 및 기타 질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요
오드 등의 과민 증상이나 점막 손상에 의한 소양감, 작열감, 피부 궤양, 접촉성 피부염 등을 일으킬 우
려가 있으며 질내 무기 요오드 또는 혈중 총 요오드치가 상승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의약품으로서의 소독제의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건
강한 여성의 경우 질내 유익 미생물에 의한 젖산 분비에 의해 질내 산도가 pH 3.2로 유지되며 이러한 낮
은 산도에서는 대부분의 유해균이 증식 억제 내지 사멸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젖산을 주성분으로 하며
우유에서 추출한 락토세럼(lactoserum)을 첨가한 pH 3.5의 완충 용액 제제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것은
여성용 청결제라기 보다는 질내 pH를 정상 상태로 유지시키는 질내 적정 산도 유지제이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
독제에 의한 부작용이나 자극성이 없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 외에 사용감과 세정력이 우수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은 병원성 유해 세균 및 진균류에 특이적 선택성을
갖는 천연 항생 물질 및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생리 활성 물질로서 알려져 있으며 식품 공전 13-25
에 규정된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
여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樣態)에 따르
면, 프로폴리스와 정제수로 구성되는 여성용 액상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에 따르면, 프로폴리스를 차 추
출물로 코팅 내지 캡슐화한 여성용 분말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한
두 번째 양태에 따른 조성물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성분으로서 프로폴리스 및/또는 프로폴리스와 차 추출물을 함유하며, 선택적
으로는,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일정량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는 향료나
소독제를 미소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에 따른 액상 청결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1∼25 중량및 정제수 75∼99.9 중량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에 따른 분말 청결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4∼99.6 중량및 항산화제로서의 폴
리페놀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차 추출물 0.4∼99.6 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1∼25 중량, 항산화제로서의 폴리페놀류
를 주성분으로 하는 차 추출물 0.1∼25 중량, 계면활성제 0.3∼25 중량및 잔부가 정제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주성분으로서의 프로폴리스에 대하여 설명하면, 벌통으로부터 수집한 프로폴리스 원괴(原塊)
분말에 과잉량의 정제수 또는 고순도(99.8이상) 에탄올을 가하고 냉암소에서 1 내지 3일간 정치 또는 간
헐적 교반하에 정치하여 프로폴리스를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시켜 흑갈색 분말로서 얻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청결제 조성물은, 상기한 프로폴리스 0.1∼25 중량를 60∼80℃의 정제수
75∼99.9 중량중에 용해시킨 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결제 조성
6-2
공개특허10-2001-0025970
물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의 함량이 0.1 중량미만인 경우에는 그 첨가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우려가
있고,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청결제중 침전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청결제 조성물은, 녹차, 우롱차 및 홍차 잎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미세
절편 벌크량에 70∼100℃의 과잉량의 물을 부어 1 내지 6 시간 정치 또는 간헐적 교반하에 정치하여 차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시켜 녹색 또는 갈색 분말의 폴리페놀류 및 아미노산류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고, 이어서, 상기한 프로폴리스 분말과 차 추출물 분말을 중량비로 250:1∼1:250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25:1∼1:25의 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1:10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한 혼
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 배량의 정제수를 가한 후, 60∼80℃의 온도에서 충분히 교반하고, 정
제수를 증발시켜 프로폴리스를 차 추출물로 코팅 내지 캡슐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의 상기한 분말상 청결제 조성물은, 필요하다면, 과립화할 수 있으며, 온수중에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정도 용해시켜 액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공지되어 있는
비누상, 젤상 또는 유상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은 두 번째 양태에 따른 상기한 청결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프로폴리스 0.1∼25 중량, 항산화제로서의 폴리페놀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차 추출물 0.1∼25 중량, 계면활성제 0.1∼3 중량및 잔부가 정제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저자극성이고 세정
력이 우수한 것이라면 당분야에 공지된 어떠한 종류의 것도 사용될 수 있으나, 전형적인 예를 들면, 음
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 설페이트, 알킬 숙시네이트, 알킬 사코시네이트, 알
킬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희토류 금속염; 암모늄의 디- 또는 트리
에탄올 아민염 등을 들 수 있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 10 내지 18의 알킬 베타인, 알킬 아미
도프로필베타인, 알킬 술포 베타인 또는 아민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코코일 디에탄올 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한 계면활성제
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분 및 첨가량에 있어 피부 자극을 유발치 않는 조건하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보조제, 즉 보
습제, 컨디셔닝제, 증점제, 중화제, 색소 및 향료 등을 미량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
로는, 증점제로서 폴리아크릴산, 양이온성 폴리머, 비이온성 폴리머, 셀룰로오스유도체 또는 내츄럴검;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젖산, 요소 또는 콜라겐; 컨디셔닝제로서 폴
리사카라이드 또는 셀룰로오스레진; 중화제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모노-, 디- 및 트리에탄
올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결제 조성물
은 통상적인 산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나트륨염 등을 이용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젖산 완
충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3.2 내지 3.8 정도,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3.6 정도로 조절하면, 질내 산도
의 정상 상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결제 조성물은 액상 혹은 젤상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젤상 조성물은 통상의 튜
브나 펌프형의 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나일론 망사를 양봉 벌통의 측벽에 평면상으로 붙여 두고 수 주일 경과후, 프로폴리스 함유액이 도포되
어 경화된 나일론 망사를 꺼내 세게 털어서 얻어진 프로폴리스 원괴(原塊) 100g에 0.3ℓ의 고순도(99.9)
에탄올을 가하고 5℃의 암소(暗所)에서 2 일간 정치하여 프로폴리스를 추출하였다.
이어서, 와트만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로타리 배큠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 후, 잔여 수
분을 데시케이터중에서 하룻밤 동안 증발시키는 것에 의하여 흑갈색 분말로서의 프로폴리스 9.2g을 얻었
다.
그 다음, 70℃의 정제수 90.8 중량에 트레이스량의 향료와 함께 용해시킨 후 서냉(徐冷)하고 젖산을 이
용하여 pH를 3.5로 조정하여 청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미세 절편화된 녹차 잎 250g에 90℃의 과잉량의 물을 붓고 3시간 정치하여 차 추출액을 얻은 다음, 상청
액을 모으고, 여액을 증발시켜 녹색 분말의 폴리페놀류 및 아미노산류를 포함하는 녹차 추출물 17.3g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에서 얻은 프로폴리스 분말 9.2g과 혼합한 다음, 정제수 20g을 가하고, 70℃의 온도로
가온한 다음, 테플론 마그네틱 스터러를 이용하여 30 분간 교반한 후 교반을 멈추고, 상기한 온도하 정
치 상태에서 가끔씩 유리 막대로 저어주면서 정제수를 증발시키고, 데시케이터중에 하룻밤 방치하여 건
조한 후, 트레이스량의 분말 향료를 첨가한 후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과립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
말상 청결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프로폴리스 15g 및 녹차 추출물 5g의 과립화된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얻은 다
음, 적당량의 70℃로 가온된 정제수에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디에탄올 아민 0.2g 및 상기한 과립화된 혼
합물을 교반하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트레이스량의 향료를 첨가
한 다음, pH를 3.5fh 조정한 다음, 정제수를 소량씩 보충하여 전체가 100g이 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
른 청결제 조성물을 얻었다.
6-3
공개특허10-2001-0025970
실시예 4
프로폴리스 5g 및 홍차 추출물 15g을 과립화시킨 혼합물을 사용하고 계면활성제로서 글리세린 1.5g을 사
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
프로폴리스 0.5g 및 우롱차 추출물 10g을 과립화시킨 혼합물을 사용하고 계면활성제로서 모노알킬포스페
이트 트리에탄올 아민 0.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
프로폴리스 3g 및 녹차 추출물 5g을 과립화시킨 혼합물을 사용하고 계면활성제로서 코카미도 프로필베타
인 0.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
프로폴리스 15g 및 홍차 추출물 10g을 과립화시킨 혼합물을 사용하고 계면활성제로서 소디움 라우로일사
코시네이트 0.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결제 조
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
프로폴리스 15g 및 홍차 추출물 10g을 과립화시킨 혼합물을 사용하고 계면활성제로서 디소디움 라우레스
술포숙시네이트 0.1g, 코카미도 프로필 아민옥사이드 0.1g 및 알킬 폴리글루코시드 0.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을 얻었다.
자극성 시험예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자극성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20∼40 세의 여성 15
인에게 1개월간 비데 설치 양변기를 이용한 청결용 세정수로서 상기한 조성물을 사용케하고 적용 부위에
소양감이나 작열감에 대한 자각 증상의 유무 또는 홍반의 생성 여부 등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한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실시예 2의 경우에 있어서는 분말상 청결제 조성물 3g을 세정수 97g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평가〉
++ : 자극이 강하여 점막용 청결제로서는 불가함.
+ : 자극이 심하여 사용치 않는 것이 좋음.
0 : 약간의 자극성이 있어 민감한 점막에는 사용치 않는 것이 바람직함.
- : 거의 자극이 없음.
= : 전혀 자극이 없고 민감한 점막에도 사용 무방함.
[표 1]
실시예 1 2 3 4 5 6 7 8
평가점 = = = = = = = =
세정력 시험예
21∼40세 사이의 여성 피시험자 15인의 좌측 팔 상박부에 립스틱을 직경 2 cm의 X 자형으로 문지
르고 1 시간이 경과한 다음, 손가락으로 청결제 5 ml를 15초 동안 문지른후 수세하였다. 세정력은 다음
과 같은 기준에 따라 주관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5 : 사용과 동시에 씻김, 잔존물 없음
4 : 사용시 서서히 씻김, 잔존물 없음
3 : 사용시 서서히 씻김, 립스틱 흔적 잔존
2 : 제거에 어려움, 립스틱 흔적 잔존
1 : 제거되지 않음
[표 2]
실시예 1 2 3 4 5 6 7 8
평가점 3.2 3.4 4.1 3.6 4.0 3.9 3.8 4.3
관능 검사예
6-4
공개특허10-2001-0025970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청결감, 냄새 정도 및 끈적거림 정도를 시험하기
위해 20∼40 세의 여성 15인에게 1개월간 비데 설치 양변기를 이용한 청결용 세정수로서 상기한 조성물
을 사용케하고 프로폴리스를 함유치 않은 단순 세정수만을 사용한 블랭크(blank)의 경우를 1로 한 상대
적인 느낌을 주관적으로 평균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다.
〈평가〉
++ : 블랭크의 경우보다 훨씬 양호함.
+ : 블랭크의 경우보다 대체로 양호함.
0 : 블랭크와 동일한 정도임.
- : 블랭크보다 못함.
[표 3]
실시예 1 2 3 4 5 6 7 8
평가점 + + ++ + ++ ++ ++ ++
상기한 표 1 내지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청결제 조성물은 자극성이 전혀 없고 세정력도 비
교적 우수하며 관능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는 흡착성이 강한 중합체들을 포함하고 있어서점막 표면에 대한 도포성이
양호하며 또한 질내 유해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특이적 증식 억제능 내지 사멸능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됨
과 아울러,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기인한 냄새 제거 효과도 탁월하며, 차 추출물은 점막 표면의 지방 분
해에 도움이 되고, 더욱이 자극성이 전혀 없으며 세정력도 비교적 우수하고 관능성도 양호하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프로폴리스 0.1∼25 중량및 정제수 75∼99.9 중량로 구성되는 여성용 액상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청결제 조성물의 pH가 3.2∼3.8로 조절된 여성용 액상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3
프로폴리스 0.4∼99.6 중량및, 녹차, 홍차 및 우롱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 추출물 0.4∼99.6 중량로 구성되는 여성용 분말상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과립화되어 있는 여성용 액상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5
프로폴리스 0.1∼25 중량, 녹차, 홍차 및 우롱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
추출물 0.1∼25 중량, 계면활성제 0.3∼25 중량및 잔부가 정제수로 구성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청결제 조성물의 pH가 3.2∼3.8로 조절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계면활성제가 라우릴디에탄올 아민, 글리세린, 모노알킬포스페이트 트
리에탄올 아민, 코카미도 프로필베타인, 소디움 라우로일사코시네이트, 디소디움 라우레스술포숙시네이
트, 코카미도 프로필아민옥사이드 및 알킬 폴리글루코시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
느 하나의 화합물인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성물이 보습제, 컨디셔닝제, 증점제, 또는 향료를 트레이스량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청구항 9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여성용 분말상 청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프로폴리스 원괴(原塊)에 에탄올 또는 물을 가하여 프로폴리스를 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시
켜 프로폴리스 분말을 수득하는 프로폴리스 추출 단계,
6-5
공개특허10-2001-0025970
(B) 미세 절편화된 녹차잎, 홍차잎 및 우롱차잎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
잎에 70∼100℃의 과잉량의 물을 부어 차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시켜 분말상 추출물
을 얻는 차 추출물 추출 단계,
(C) 상기한 프로폴리스 분말과 상기한 차 추출물 분말을 중량비로 250:1∼1:250의 비율로 혼합하고, 정
제수를 가한 후, 60∼80℃의 온도에서 충분히 교반하고, 정제수를 증발시켜 프로폴리스를 차 추출물로
코팅 내지 캡슐화시키는 프로폴리스 코팅 단계,
청구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C) 단계후 혼합물을 과립화시키는 (D) 과립화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청구항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로폴리스 분말과 상기한 차 추출물 분말을 중량비로 25:1∼1:25의 비율로
혼합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