⑬ Yupo의 mono material blister pack
Yupo는 olefin계 바이오매스 수지 배합 합성지나 플라스틱 양을 반감한 micro void PP 필름 등 환경 배려 제품을 개발하여 오고 있다. 이번에 플라스틱 리사이클을 의식하여, PET를 대체하는 PP계 mono material blister pack을 개발하였다. 기재 수지의 96% 이상이 PP로, 리사이클에 적합한 포재이고, 종래 PET계에 비하여 경량화 가능, 플라스틱 양 20% 삭감, 이산화탄소 발생량 25% 삭감을 달성. 칫솔, 화장품, 일용품의 포재로서 제안하고 있다(도87).
Mono material blister pack, PP mono material 포재로 리사이클, 경량화에 공헌
| ① 기재 전체 수지의 증 96%이상이 PP 소재로, 리사이클이 우수한 포재 ② 종래의 PET 시트의 blister pack 보다도 경량화 플라스틱양 20%, 이산화탄소 배출량 25% 삭감을 달성 * 포재 구성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다. ③ 칫솔, 화장품이나 일용품용 포재로서 제안 |
도87 Yupo의 PP계 mono material blister pack
⑭ Idemitsu Unitech의 PE계 mono material zipper
Idemitsu는 플라스틱 필름 파우치의 개폐 지퍼를 제품화 하여 있고, 수지 재료로서 biomass계, 생분해 수지계 등을 구비하여 있는데, 최근 플라스틱 리사이클을 의식한 mono material계의 제품 준비를 충실하였다. 특히 PE계로, 리사이클 대응 포장용, 직선 cut 기능을 가진 지퍼로서, 지퍼 다층 압출 기술에 의한 실용성능도 향상시킨 제품으로서 제공하고 있다(도88).
| MFL-803TX (범용) | MFL-805TX (범용) | MFL-806 (종래 LLDPE 다층 제품) |
폭(mm) | 10 | 13 |
|
감합 강도(N/50mm) 개구/비개구 | 12/40 | 12/40 | 12/30
|
⑮ Takiron C.I.의 mono material
Takiron은 환경 배려 제품으로서, 바이오매스 폐기물 배합 리사이클 pellet, 바이오 PET 적용 제품, botanical PS 수축 필름 등의 개발을 진행해 오고 있다. 순환 사이클(mono material)의 관점에서는 국내외 시장 모두 기존 제품의 reduce화(수지의 사용을 3% 삭감)하고, 환경 부하를 줄여 가는 방침인데, 특히 해외시장에서는 포장재의 material recycle에 대응한 mono material zipper의 판매를 개시하는 것을 표명. 포장 자재의 리사이클성을 높이는 동시에 우수한 제대 성능을 실현시킨다고 한다.
(16) Lintec의 PET계 mono material label
Lintec은 환경 배려를 컨셉을 하는 필름 베이스의 라벨 소재 “카이나스(Kind to Earth)” 시리즈를 새로운 아이템으로 하여, 표면 기재와 점착제에 polyester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일용품이나 식품, 음료 등에 사용되는 PET 용기와 단일 소재화를 실현한 라벨 소재를 개발하였다. Lintec은 용기의 리사이클을 촉진하는 라벨 소재의 제안에 주력해 왔는데, 점착력을 발현하기 쉬운 것 등 때문에, 라벨의 점착제는 아크릴계나 고무계가 일반적으로 PET용기와 다른 소재로 되기 때문에 리사이클 효율 저하의 곤란한 점으로 되어 왔다. 그래서 용기를 폐기하는 때에 라벨을 벗겨내어 분별한다고 하는 생각에 더해, 라벨이 남아 버린 경우에도 리사이클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polyester계 접착제를 개발. 표면 기재와 합쳐져 동질 소재로 구성된 라벨 소재를 “카이나스 MMP”로서 판매하고 있다. MMP란 Mono-Material Polyester의 약자인데, 신 개발의 라벨 소재에는 표면 기재에 특수한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있고, PET병의 세정 공정에서 행해지는 알칼리 온수 세정에 의해 인쇄되어 있는 잉크를 벗겨 내어 제거하는 것도 가능. 리사이클의 장벽이 되는 이물 혼입의 과제 해결에 공헌한다고 한다. 또한, 박리지에는 Lintec 독자의 코팅 가공에 의해 PE laminate 가공한 박리지와 같은 정도의 평활성을 실현한 글라신지를 사용하여 플라스틱의 사용량 삭감을 이어 나가는 등, 라벨 소재 전체로서 환경을 배려한 제품 설계이다. 또한 표면 코팅 층을 포함하는 표면 기재와 점착제는 안전성을 평가한 물질만을 사용 가능하다고 하는 개정 식품위생법의 식품용 용기, 기구 포장의 positive list 제도에 적합한 원료로 구성되어 있고, 환경 배려와 안전성의 양면에 우위성을 발휘하는 라벨 소재로서 제안하고 있다(도89).
품번 | 표면기재 | 점착제 | 이형지 |
MMP50CA BP401 8SK | Polyester film | 강점 재박리 Polyester계 점착제 바이오매스도 40% | 고평활 글라신지 PE 미사용 |
도89 Lintech의 mono material lab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