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평둘레길은?
다 아시겠지만 둘레길이란
둘레를 걷기 좋게 조성한 길이니
은평둘레길은
은평구의 지역경계선을
걷기 좋게 조성한 길을 말한다.
그렇지만
정확하게 은평구의 지역경계선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은평구는
경기도의 양주, 서울시의 마포,
서대문, 종로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은평둘레길은 이 경계선에 있는
봉산, 앵봉산, 북한산 자락, 백련산과
은평구내에 있는 이말산을 연결한
걷기 좋은 편안한 길이다.
24km, 5개구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총 9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구간별 소요시간에 차이가 있으나
1구간에 대략 2시간 내외가 소요되며
구간의 들머리, 날머리에 전철역이나
버스정류장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가능하다.
서울시내의 경계로 조성된 서울둘레길과
봉산, 앵봉산 구간에서 겹쳐지고
북한산의 산자락에 조성된
북한산 둘레길과 만나게 되어
은평둘레길을 걷다보면
안내표지판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은평둘레길 5구간은
_ 코스는
녹번역(산골고개생태연결로) →백련근린공원 → 은평정 → 은평청소년수련관 → 응암시장 → 불광천(레인보우교) → 증산역
_ 코스 설명
약 6.3km 로
2시간 30분정도 소요되는데
백련산과 은평구 시가지,
불광천의 다양한 볼거리를
즐길 수 있는 코스로
벚꽃이 피는 불광천이 아름답다.
* 녹번고개
_ 녹반현(綠礬峴), 녹번이고개,
산골고개,여현 등
(산골고개라고 불렀던 이유는
산골에 있어서가 아니다.
옛날엔 자연동(금속)을 산골이라 했고
인근에서 자연동이 나와서
그리 이름붙게 되었다)
_ 서대문구에서 녹번동으로
넘어가는 1번국도에 있는 고개
_ 고개 석벽에 황산제일철인
속칭 녹반이 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즉, 고개에 있는 바위에서 녹이나는
산골에 있는 고개란 뜻이다.
_ ‘礬’자는 본음이 ‘번’자로
산골 즉, 녹반일 때에는 반으로 읽지만
그 외에는 ‘번’으로 읽는다.
_ 병인양요때 프랑스군과 맞선 곳
고종 3년(1866) 프랑스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하고
이어 통진 문수산성을 점령하여
서울을 올라오는 프랑스군을
양주목사 林翰이
녹번현에 진을 치고
보름동안 맞서며 수비한 곳이다.
* 포수말
_ 말흘산(末屹山), 포수동(砲手洞)
이라고도 하였다
_ 은평구 응암동 백련산
서쪽에 있던 마을이다.
_ 산이 마을을 둘러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을 그리 부르게 되었다.
(한자명으로 末屹山이라고 하였다.
마을이 아늑하고 살림들이 부유하므로
포실말 또는 변하여 포수말이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_ 포반동, 포수동으로 부른 사연은
해발 215m의 백련산 기슭 바위 위에서
사냥을 하기 위해 장막을 치고
포수들이 기거하던 곳이
여러 곳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 양천리 화약고터
* 불이농장
* 평화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