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6장
人之生也柔弱, 其死也堅强. 草木之生也柔脆, 其死也枯稿. 故堅强者死之徒, 柔弱者生之徒. 是以兵强則不勝, 木强則共. 强大處下, 柔弱處上.
사람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사는 것은 (무위에 대해) 부드럽고 연하기 때문이고, 사람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는 것은 (유위에 대해) 단단하고 굳세기 때문이다. 풀과 나무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사는 것은 (유위에 대해) 부드럽고 무르기 때문이고, 풀과 나무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는 것은 (유위에 대해) 딱딱하고 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위에 대해) 단단하고 굳센 사람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는 무리가 되고, (무위에 대해) 부드럽고 연한 사람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사는 무리가 된다. 따라서 군대가 (일부러 일삼아) 굳세지면, 이기지 못하게 되고, 나무가 (일부러 일삼아) 굳세지면, 잘리게 된다. (유위에 대해) 굳세고 (유위가) 큰 사람은 아래에 자리하게 되고, (무위에 대해) 부드럽고 (무위가) 연한 사람은 위에 자리하게 된다.
此章, 言柔弱之, 可爲尙, 而堅强之, 不足爲也, 意, 已屢見. 堅强者, 死, 柔弱者, 生, 亦猶敢, 則殺, 不敢, 則活.
이 장이 일컬은 “(무위無爲에 대해) 부드럽고 연한 사람은 (높여서) 받드는 바로 일삼아질 수 있지만, (유위有爲에 대해) 단단하고 굳센 사람은 (높여서 받드는 바로) 일삼아지기에 부족하다”는 뜻은 이미 앞 (제73)장에서 드러났다. (따라서) “(유위有爲에 대해) 단단하고 굳센 사람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게 되고, (무위無爲에 대해) 부드럽고 연한 사람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저절로 그러하게) 살게 된다”는 말은 (제73장의) “(유위有爲에게 흘러넘치는 바를) 감히 일삼는 데 날쌘 사람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살지 못한 채, 일부러 일삼아) 죽게 되고, (유위有爲에게 흘러넘치는 바를) 감히 일삼지 않는 데 날쌘 사람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명命대로) 살게 된다”는 말과 같다.
共字, 未詳其義. 或, 曰共, 疑作折. 列子, 曰木强, 則折.
공共 자字는 그 뜻을 자세히 밝힐 수 없다. 어떤 주석가는 일컬었다. “공共은 절(折; 자르다)과 (더불어 그 뜻이) 얽히고설키며, (절折의 뜻을 더불어) 일삼는다. 『열자列子』 (「황제黃帝」)는 일컫는다. ‘나무가 굳세면, 잘린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