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목종 현종 덕종 정종 문종 순종 선종 헌종 |
“훈요십조” 왕규의 난 3년 만에 왕권강화 호족세력의 “시무28조” 강조의난 -거란 2,3차 -천리장성 -이자겸 -중국:당이 2년 만에 사망함 -노비해방 반격시작 (최승로) 침입(강감찬) 세력화 망하고 사망함 (노비안건법) -(문신)문벌귀족화 -문벌귀족 시작(인주이씨) 거란, 여진족 -과거제실시 -공음전 →(이)허겸 ┗문종부터 인종까지 숙종만 빼고 -북진정책 -호족세력약화 -음서제도 -평화시대도래 모두 이자겸의 집안과 혼인함 -세금감면정책 -호족세력 달래기 -문화,경제발전 (민생안정) -거란의1차 침입 -귀족문화 발달 -혼인정책 (서희장군) -유학발달 (왕권강화) -숭불정책
|
숙종 예종 인종 의종 명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원종 충렬왕(이하 몽고지배기) 공민왕 우왕 창왕 공양왕 |
이자겸세력하 ┛ -무신의 난 -몽고(원)침입 -출육환도 몽고에 충성을 바친다는 -개혁정치 -이성계가 ⇒정중부-경대승 →강화도 (몽고에 뜻으로 왕의 이름에 -친원세력의 세운 왕 -이의방-이의민-최충언… -권문세족등장 항복) ‘忠’자가 들어감 반발⇔신돈 -홍건적, (무신정권의 안정기) ┃ -북진정책 왜적의 출몰 ㆍ이자겸의 난(1135년)-묘청의 난-김부식 충렬왕 -신진사대부 -신흥무관세력┓ ┃ 등용 (이성계) ┣개혁 충선왕 →개혁을 -신흥사대부 ┃요구 ┃ 위한 정치 세력 ┛ 충숙왕 -정몽주 ┃ (중도개혁파) 충혜왕 -최영(보수파) ┃ -정도전(급진파) 충목왕 ※신흥사대부 : 유교적 요(거란) ┃ 사대주의 ※ 중국의 국가변천 : 은, 주, 진, 한, 수, 당, 송 , 원, 명, 청 충정왕 원(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