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메타버스, 상상의 한반도를 현실로 링크
: 새로운 남북협력 공간으로 메타버스를 구축하자
정일영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과학소설 ‘스노우 크래시(Snow Crash)’에 처음 등장한 개념이다.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에서 존재하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를 디지털 공간에서 구현하거나,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하는 ‘3차원 디지털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남북 간 교류·협력의 경계 지대로서 한반도 메타버스의 가능성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한반도 메타버스의 꿈
1990년대 상상의 세계로 등장한 메타버스는 2020년대 우리 눈앞의 현실로 재등장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 XR(확장현실) 기술이 결합되며 입체적인 3D 공간이 우리 삶의 또 다른 공간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과 같은 SF영화, “소드 아트 온라인(Sword Art Online)”과 같은 애니메이션이 구현한 미래가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메타버스가 차세대 소셜미디어,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등을 대체하며 최대 8조 달러(약 9,000조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한반도 메타버스의 가능성에 관한 우리 사회의 논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 통일부가 DMZ 메터버스 플랫폼(DMZ Universe)을 구현해 일반에 공개했으며, 우리 학계도 광운대에 한반도메타버스연구원이 설립되는 등 정책과 연구 분야에서 한반도 메타버스의 공간이 확대되고 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코로나19 팬데믹이 중첩되면서 남북관계의 단절은 속절없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메타버스는 남북관계의 새로운 경계 지대로 주목받고 있다. 영토적, 물리적 조건의 한계를 무한한 디지털 공간을 활용해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반도 메타버스는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남북회담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제협력 활동, 사회문화 컨텐츠의 창작과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통일교육 공간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 메타버스는 국가의 통제를 넘어 남과 북, 해외의 한민족, 그리고 세계인이 함께 통일된 한반도를 또 다른 세상에서 경험할 수 있다.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우리는 한반도 메타버스를 실현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첫 번째로, 한반도 메타버스의 중간단계로 한반도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남북의 현실, 즉 남북 당국이 교류·협력에서 여전히 배타적 통제력을 행사하는 상황, 그리고 남북의 기술적 차이 등을 감안할 때 중간단계로서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해 남북 당국 간 화상회담, 이산가족 화상상봉 등을 우선 추진하고 조건이 갖춰지는 대로 사회문화 교류와 경제협력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디지털 기반의 메타버스에서 남북이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는 법제 환경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현재와 같이 남북관계가 단절된 상황에서 한국의 법제를 우선 정비하고 관계 진전에 따라 남북 법제의 연계성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특히 남북 간 경계 지대로서 디지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교류와 협력의 다양한 행위 양식을 보장하고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제 개편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과 「국가보안법」의 개정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남북관계에서 경험했듯이 북한이 호응하지 않는 남북교류는 허상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디지털 공간을 활용한 남북교류에 북한은 호응할 것인가? 북한은 최근 ‘새 세기 산업혁명’을 강조하며 첨단기술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인력 양성과 산업의 CNC화, 그리고 AI, AR,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북한의 정보통신분야 기술과 인프라는 디지털 공간을 활용한 남북교류가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에는 당과 내각을 중심으로 화상회의가 확대되고 있으며 김책대학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비대면 환경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꽉 막힌 남북관계에서 한반도 메타버스는 북한의 호응을 기대할 수 있는 아이템이 될 수 있다.
한반도 메타버스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메타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혁신은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남북관계에서 국가의 배타적 통제와 물리적 영토에 기반한 교류·협력의 시대는 이제 새로운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한반도 메타버스가 현실에서 멀어지고 있는 통일을 새로운 공간에서 가능케 하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
남북관계는 종종 정치적인 영역의 문제로 치부된다. 이런 이유로 한반도 메타버스에 관한 논의가 제한될 수 있다. 정부와 국회, 그리고 학계가 이와 관련한 논의와 연구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한반도 통일은 점점 더 먼 미래의 이야기로 치부되고 있다. 통일에 대한 피로감은 남북의 평화공존에 관한 지지로도 나타난다. 이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반도에서 새로운 공간, 메타버스를 통해 전혀 다른 차원의 통일을 상상해 보자.
한반도 메타버스, 상상의 한반도를 현실로 링크 - 오마이뉴스 (ohmy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