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옷감에 대한 비유의 경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bhagava)께서 싸왓티 시의 제따와난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2. 그 때에 세존(bhagava)께서는 “빅쿠들이여”라고 빅쿠들을 불렀다. 빅쿠들은 세존(bhagava)께 “세존(bhagava)이시여”라고 대답했다.
3. 그러자 세존(bhagava)께서는 이와 같이 말했다.
“빅쿠들이여, 여기 더럽혀지고 때가 묻은 옷감이 있는데 염색공이 그것을 청색, 노랑색, 빨강색 또는 분홍색이나 어떤 다른 염료로 그것을 물들이면, 잘 물들지 않고 선명하게 물들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빅쿠들이여, 그것은 옷감이 깨끗하지 않기 때문이다. 빅쿠들이여, 이와 같이 마음(citta)이 더럽혀지면 나쁜 운명이 그대들을 기다린다.
4. 빅쿠들이여, 여기 깨끗하고 청정한 옷감이 있는데 염색공이 그것을 청색, 노랑색, 빨강색 또는 분홍색이나 어떤 다른 염료로 그것을 물들이면, 잘 물들고 선명하게 물들 것이다.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빅쿠들이여, 그것은 옷감이 깨끗하기 때문이다. 빅쿠들이여, 이와 같이 마음(citta)이 더럽혀지지 않으면 좋은 운명이 그대들을 기다린다.
5. 빅쿠들이여, 마음(citta)의 더러움이란 어떠한 것인가? 욕심내는 것과 부정한 탐욕(로바, lobha) 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악의가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화내는 것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원한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저주가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격분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질투(잇사, issā) 가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인색(맛차리야, macchariya) 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거짓을 행하는 것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기만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고집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선입견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자만(마나, māna) 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오만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교만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고, 방일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다.
6. 빅쿠들이여, 빅쿠는 욕심내는 것과 부정한 탐욕(로바, lobha) 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욕심내는 것과 부정한 탐욕(로바, lobha) 으로 이루어진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악의가 더러움이라는 것을 알고 나서, 악의를 품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화냄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화내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원한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원한에 찬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저주가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저주라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격분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격분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질투(잇사, issā) 가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질투(잇사, issā) 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인색(맛차리야, macchariya) 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인색(맛차리야, macchariya) 이라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거짓을 행하는 것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거짓을 행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기만하는 것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기만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고집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고집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선입견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선입견을 갖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자만(마나, māna) 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자만(마나, māna) 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오만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오만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교만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교만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리고, 방일이 마음(citta)의 더러움이라고 알고 나서, 방일하는 마음(citta)의 더러움을 버린다.
7. 그는 부처님에 관해 이와 같이 ‘세존(bhagava)께서는 공양 받을 만한 분, 올바로 원만히 깨달은 분, 명지와 덕행을 갖추신 분, 바른 길로 잘 가신 분, 세상을 이해하는 분,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르신 분, 사람들을 길들이시는 분, 신들과 인간의 스승이신 분, 부처님, 세상에 존귀한 분입니다.’라고 경험에 근거를 두고 있는 청정한 믿음(삿다, saddhā)을 성취한다.
8. 그는 법에 관해 이와 같이 ‘세존(bhagava)께서 잘 설하신 법은 현세에 유익한 법이며, 시간을 초월하는 법이며, 와서 보라고 할 만한 법이며, 승화시키는 법이며, 슬기로운 이 하나하나에게 알려지는 법입니다.’라고 경험에 근거를 둔 청정한 믿음(삿다, saddhā)을 성취한다.
9. 그는 제자들의 상가에 관해 이와 같이 ‘님의 법을 따르는 제자들의 상가는 훌륭하게 실천합니다. 님의 법을 따르는 제자들의 상가는 정직하게 실천합니다. 님의 법을 따르는 제자들의 상가는 현명하게 실천합니다. 님의 법을 따르는 제자들의 상가는 조화롭게 실천합니다. 이와 같이 님의 법을 따르는 제자들의 상가는 네 쌍으로 여덟이 되는 참된 사람들로 이루어졌으니, 공양 받을 만하시고, 대접받을 만하시고 선물받을 만하시고 존경받을 만하시고 세상에 가장 높은 복밭입니다.’라고 경험에 근거를 두고 있는 청정한 믿음(삿다, saddhā)을 성취한다.
첫댓글 경은 읽으면 읽을수록
부처님이 중생들 위해
잘 알아들을 수 있게
쉽게 설명하려
얼마나 노력하신지 알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