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과중(g) |
과실크기(mm) |
과피중 |
과피율 |
과피두께 |
당도 |
산도 |
|
횡경 |
종경 |
|||||||
실 생 유자대목 탱자대목 |
128.2 129.0 128.8 |
68.9 67.7 66.9 |
60.3 55.6 58.0 |
60.5 58.6 58.7 |
47.3 45.2 45.5 |
5.8 5.6 5.7 |
10.7 9.6 10.1 |
7.2 6.8 6.9 |
(2) 영양번식(무성번식)
영양번식은 모체에서 분리한 영양기관을 번식에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어미 나무의 형질을 그대로 이어받기 때문에 품종
의 특성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로 접목방법을 쓰고 있으나 다른 감귤류와는 달리 삽목도 가능하다.
(가) 대목의 육성
1) 대목의 종류
유자의 대목으로는 탱자나무와 유자실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탱자는 낙엽성이고 내한성이 강해 생육이 양호하여 2년생이면 접목이 가능하다. 뿌리는 천근성이며 세근이 많
아 이식시 식상이 적고 활착이 양호하여 접목후 초기생육이 좋고 결실이 빠르며 유자 대목에 비하여 해거리가
다소 심한 경향이 있으므로 다비재배하는 것이 좋다.
탱자의 변이종으로 비룡계(飛龍系)가 있는데 다소 왜화성을 나타낸다고 하나 유자의 대목으로는 효과가 잘 알
려진 바 없어서 금후 검토가 필요하다.
유자은 내한성이 탱자나무에 비하여 약하고 심근성이며 세근이 적어 이식시 활착이 불량하여 식재 후 초기생
육이 떨어지고 결실도 늦다. 그리나 가뭄에 견디는 힘이 좋고 나무의 수명이 길다.
2) 종자 채취, 저장
유자 종자는 건전한 나무에서 10월 하순∼11월 상순경, 탱자종자는 9월 하순∼10월 상순에 채취한다.
종자 저장은 충실한 종자만 선별한 후 1∼2일 정도 그늘에 말린 후 모래 및 톱밥과 혼합하여 배수가 양호한 땅
속에 층적 저장하거나 0.03㎜ 폴리에틸렌 필름에 밀봉 후 5℃ 전후의 냉장고에 저장하여 이듬해 봄에 파종한
다.
3) 종자파종
종자파종 1∼2개월 전에 퇴비, 유기질비료, 토양살충제를 토양 전면에 살포하고 로타리 작업을 실시하여 배수
가 좋도록 파종상을 만든다.
파종시기는 3월 상순에 폭 1m의 이랑을 만들고 15∼20㎝ 간격으로 줄뿌림 하는데 종자간격은 3㎝ 정도 하고 1
㎝ 정도 복토한 후 볏짚을 덮고 충분히 관수한다. 종자 파종량은 묘상 1㎡당 100g 소요된다.
4) 발아후 관리
생육 불량묘는 제거하고 관수를 겸해 요소 액비를 시용하며 잡초제거와 병해충 방제에 역점을 둔다(귤응애, 귤굴나방, 호
랑나비 유충 등). 특히 귤굴나방 방제에 힘쓴다.
5) 대목가식
파종해서 자란 대목을 다음해 봄에 가식하여 접목준비를 한다. 묘상은 폭 50㎝ 정도로 하고 심는거리는 주간 10㎝, 조간30㎝로 두 줄 심기한다.
(나) 접목
유자의 접목은 깎기접과 눈접이 이용되지만 눈접(아접)이 활착율이 높아 많이 활용되고 있다.
1) 접수채취
절접용 접수는 춘지를 이용하면 꽃눈이 발생되어 가지 생육이 불량하기 때문에 하지가 좋고, 3월 하순에 채취한다. 눈접
용 접수는 당년에 생장한 봄 가지나 충실한 여름 가지를 접목 당시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2) 접수처리
접수는 엽자루만 남기고 엽을 제거하여, 습기가 있는 톱밥이나 모래로 묻는데 접수의 선단이 2∼3㎝ 정도 노출되게 하거
나, 저장고 내의 온도가 5∼6℃, 습도는 90% 정도로 유지하여 저장한다.
접수가 소량인 경우 0.03㎜ 폴리에틸렌 필름 봉지에 넣어 밀봉후 가정용 냉장고에 3∼4℃로 유지하여 저장한다.
3) 접목시기
■ 일반적으로 절접 시기는 4월 중·하순 경이며, 눈접은 수액 상승기인 5월 하순∼10월 상·중순에는 언제나 가능하다. 탱
자대목인 경우 새순이 5㎝ 정도로 자라고 잎이 3∼4매 전개될 때가 적기이다.
4) 접목의 방법
① 눈접(芽煉)
T자형 눈접은 접눈의 잎자루만 남기고 엽신을 자른 후 접수가 마르지 않도록 젖은 타올로 감아 가지고 다니면서 접눈의
위쪽 0.5㎝ 정도 되는 곳에 눈접칼로 칼금을 긋고 접눈 아래쪽에서 1㎝ 정도 되는 곳에서 칼을 넣어 목질부가 약간 붙을
정도로 하여 접눈을 떼어낸다. 대목은 지상 3㎝ 되는 곳에 1.5㎝ 정도의 T자형으로 긋고 나무껍질을 벌려 접눈을 끼워 넣
은 다음 비닐테이프로 감아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되 눈이 있는 곳은 되도록 비닐을 1겹만 감아 햇빛을 충분히 받도
록 한다.
접눈이 활착되기 까지는 1개월이 소요되나 활착여부는 7∼10일 후면 알 수 있으며 눈접한 대목은 8월 이전에 접목한 것
은 접목 후 15일 경에 9월 이후에 접목한 것은 이듬해 봄에 접눈 위를 잘라 버리고 비닐테이프를 풀어주고 절단부위에는
도포제를 발라서 건조를 예방한다.
그림8-1. 눈접의 요령
② 깍기접(切煉)
대목은 지상 3∼4㎝ 높이에서 잘라 한쪽을 칼로 다듬은 후 접수를 끼울 수 있도록 2㎝ 정도의 길이로 한쪽을 내려 깍되 평
면이 유지되도록 곧게 깍는다. 접수의 길이는 4㎝ 내외로 1∼2 눈을 두어 하단의 한쪽을 2㎝, 반대쪽을 0.5㎝로 깎아 대목
과 접수의 형성층이 서로 맞닿도록 접수를 끼우고 접목부위를 2㎝ 넓이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묶어준다. 접수 부분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파라핀 필름으로 감아주어 활착을 쉽게 해준다.
또한 접목하기 1일전에 관수를 충분히 하여 물올림을 좋게 하면 활착율이 높아진다.
그림8-2. 깍기접의 모식도
나. 육묘
(1) 묘목의 관리
대목에서 나오는 순을 제거하고 묘목은 직립되지 않도록 신초가 나 오면 즉시 잎이 4∼5매가 되는 곳에서 적심하여 가지수를 많게 한다.
물주기와 비료는 월 1회 관수를 겸해 액비를 시용한다.
병해충 방제는 유목인 경우 굴나방의 피해가 가장 크므로 여름가지가 나 오는 7월 상순부터 1개월간은 1주일간격으로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응애 방제도 유의해야 한다).
잡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흑색 비닐을 피복한다.
(2) 가식
유자는 1년생 묘목을 바로 정식하지 말고 가식하여 2∼3년생을 정식하는 것이 좋다.
표8-2. 가식육묘의 기준
구 분 |
휴 간 |
주 간 |
10a당 주수 |
비 고 |
1 년생 |
70 ㎝ |
40 ㎝ |
3,500주 |
1년생묘 20∼30㎝에서 전정 |
2 년생 |
90 ㎝ |
60 ㎝ |
1,800주 |
뿌리 지상부 모두 가볍게 전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