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2.7 함안문화원 주최 '함안의 인물과 학문 학술대회'에 참가하다./264 부제 모은 선생과 고려동 사람들 모은(茅隱) 이오(李午)의 생애와 학행 그리고 그 자손들 - 경상대학교 허권수 명예교수 모촌(茅村) 이정(李瀞)의 생애와 학문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권진옥 모계(茅溪) 이명배(李命培)의 생애와 학문 - 경상대학교 류진희 교수 효산(曉山) 이수형(李壽瀅)의 생애와 학문 - 선문대학교 구지현 장소 : 함안문화원 대 강당 참석자 : 만원사례 약 500명 이상 - 자리없어 통로에 서서 들음 함안 각 씨족 종친회 및 군민. 우리 일족 우리 종친회 전국 각지 종친회 지부 회원 참석자 선물 : 우산, 모은실기. 학술대회 원고책 우리 재령이가의 샛별 같은 선조 고려 망복의 절의를 지킨 모은 할아버지 육백 년 종중 역사가 함안의 자랑이 되었다. 고려동 여기만 살아있는 역사다. 모은 할아버지가 여기 함안에 첫발 디딘 후 띠밭등 모곡 함안 입향조이시며 뿌리박은 후손은 줄기를 찾아 선비로서 효우 학문에 줄을 이었으니 모은(茅隱)공 선조의 생애와 학문 아들 참판(參判)공의 생애와 학문 교육 손자 근재(覲齋)공과 율간(栗澗)공의 생애와 학덕 5세손 모촌(茅村)공과 10세손 모계(茅溪)공의 학문 15세손 효산(曉山)공 등 모두 고려동 사람들이다. 우리 선조의 업적을 현창하는 행사 함안문화원에서 개최해 주니 고맙기 그지 없고 자랑스럽다. 내 피속에 곧은 줄기 흐른다. 나도 모은 선조의 후손이니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아는 우리 종족들에게 인사나누고 함안 종인들에게 수고 손을 힘껏 잡았다. 예전 함안교육 지인들도 여럿 만났다. 우리 할배 행사에 그들이 고맙다. 결국 선조 유덕 발현은 주고 받는 품앗이 인가보다. 함안 종인 여성분은 음식접대에 너무 고맙고 점심까지 온 손님들께 접대하니 너무 황송할 따름 기념 선물까지 나눠 주고 학술책자가 모자라서 함안 종친을 통해서 억지로 한 권 구했다. 빽빽한 좌석 내 큰 키로 통로 눈을 막고 섰다가 개회식 인사말 비집어 들었다. 김동균 문화원장의 모은선조에 대한 충절 의의 함안의 자랑이니 이를 잘 가꾸어 가자고 하고 김종화 함안군수는 담안 고려동 마을 보수공사와 함안유적 문화 관광코스 순방 계획을 추진한다고 하고 김주석 군의장은 함안군 의회지원을 약속했다. 이웅호 대종회장은 함안군과 주최 문화원장 주제 발표할 교수들에게 감사했다. 겨우 빈틈 얻어 건너편 벽면에 기대어 서서 한시간 반 동안 모은선조 생애와 자손 학문 강의 듣고 점심시간 접대 잘 받았다. 각 교수별 주제별 강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모은(茅隱) 이오(李午)의 생애와 학행 그리고 그 자손들 - 경상대 명예교수 허권수 함안인으로 한문학자인 허박사 모은선조에 대한 내용을 차분한 말씨로 우리 귀를 열게한다. 학자는 자료에 의해서 해석하고 허구 소설은 쓰지 않는다. 역사는 소설이 아니라 실제다. 우리 모은 선조는 우리성씨 함안입향조이시다. 모은 선조는 고려가 망함에 목은(牧隱)과 포은(圃隱)의 문하를 출입하다가 두 스승의 노선에 따라 두문동에 은둔자정(隱遯自靖)한 두문동 72현 중의 한 분이시다. 밀양 조음에서 대대로 살았다가 처가가 있는 함안으로 입향하셨단다. 허침(許琛)이 지은 호조참판공 비문 기록에 아버지 휘 오(午)는 증 통정대부 병조참의이시고 할아버지 휘 일선(日善)은 증 통정대부 종부시정 증조부 휘 소봉(小鳳)은 순성보조공신 광정대부 상장군 어머니는 의령남씨로 증 숙부인으로 가선대부 공조전서 남의(南毅)의 따님이시다. 홍문관교리 하옥(河沃)이 지은 모은행장에 지평 신의 아우이며 공양왕때 성균진사에 합격하였다고 하고 만은(晩隱) 홍재(洪載)와 금은(琴隱) 조열(趙悅) 商山 金丹邱와 더불어 망국시를 짓고 한탄하였으니 그 시가 남아 백이숙제(伯夷叔齊) 채미가(採薇歌)나 기자(箕子)의 맥수가(麥秀歌)에 견주었다. 모촌이 지은 5대조 모은부군행장에 포은의 권유로 벼슬을 권했지만 '시대가 그럴 때가 아니다'라고 사양하니 '우리 무리에서 어진선비 하나 잃었네'라고 했단다. 태종이 세 번이나 불렀는데 나아가지 않았다고 전한다. 모은 선조는 관직에 나서지 않은 진사이셨으나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올바른 처세를 지킨 충절이 이후 함안의 생육신 조려 선생의 절사나 임진란의 충의 의병활동, 일제 독립만세 운동의 정신적 단초가 되신 분이라고 평가하신다. 모은공의 이름난 자손들로는 아들 참판공은 벼슬은 안했지만 근재공 때문에 증직되셨고 1415년 모곡에서 태어나서 학문을 연마했으나 아버지 뜻에 따라 벼슬에 나가지 않았고 자녀들 교육에는 시례(詩禮)로 가르쳤단다. 배인은 진양하씨로 통훈대부 성주목사 하경리(河敬履)의 따님으로 글 읽는 소리를 듣고자 했다. 학문하는 자손을 이어지도록 하셨단다. 자녀를 4남 4녀를 두셨는데 장남은 근재공, 차남은 율간공, 세째는 무후하고 네째가 사의공 우리 할배시다. 참판공의 4명의 따님은 첫째는 서령 이의인에게 둘째는 내금위 김치성에게 세째는 별시위 허원질로 퇴계선생의 처 종조부이셨고 네째는 충순위 안창홍에게 시집가셨단다. 근재공 할배께서는 1456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460년 문과에 장원급제하시고 1466발영시에 또 합격 세 번이나 국시에 합격하셨던 선조이시다. 이조정랑으로 있을때 명나라 서장관으로 다녀와 조선의 인물로 명나라 황제에게 알려진 명사였고 중훈대부로 승진하여 홍문관 부교리로 올랐다가 외직으로 김해부사로 잠시 나갔다가 1477 홍문관 직제학으로 승진하였고 홍문관 부제학으로 형조 참의 예조참의를 지냈고 다시 황해도 관찰사로 나갔다가 청백리로 선발되셨고 1480년 다시 부제학으로 복귀하였고 예조참판을 역임하고 1483년에는 나주목사로 지방 민원을 해결하였고 낙향하여 부모를 봉양하시다가 1486년에 모친상 다음해에 부친상을 당하시고 그해 9월에 자신도 함안에서 돌아가시니 임금의 명으로 국풍 명당 금대산으로 운구하여 지금의 남양주 와부읍에 묘를 썼다고 한다. 동국통감과 경상도속찬지리지 편찬에 참여하였고 왕은 농사짓고 왕비는 누에치기를 하여 국왕이 수범하는 모습을 건의하여 시행하게 되었단다. 공께서는 7남2녀를 두셨는데 장남 상(상)은 진사에 장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 면천파 둘째 위(위)는 참봉별제 인천파 세째 래(래)는 충순위, 현감 양주파 네째 속(속)은 현감 다섯째 종(종)은 돈령부 판관 진주파 여섯째 애(애)는 현령 영해파 일곱째 구는 진사 원주파 파조가 되셨다. 영해파 후손으로 석계, 존재, 갈암, 밀암 등 이름난 학자가 나와 퇴계학의 학통을 계승하는 집안이 되었고. 진주파 후손으로 행정, 죽촌, 청계 등의 학자를 이어졌다. 둘째 아들 율관공은 형보다 열세살 아래인데 열심히 책을 읽고 학문을 좋아하여 1472 진사시에 급제하고 1476 문과에 급제하였다. 승정원 주서, 경연관, 세자시강원, 이조정랑, 사간원 정언, 지제교, 부교찬, 부수찬, 성균관 사성, 예조참의, 홍문관 부제학으로 형제가 홍문관 부제학을 하는 집안 경사였다. 성종의 총애를 받고 직설로 보필하셨다고 한다. 1494년 연산조 이후 대사간과 병조참지로 있다가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여 아우 사의와 제자를 가르쳤다고 한다. 1497년 영해부사로 임명되어 사양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부임하여 문교를 숭상하며 군민을 교화하고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두 번째 낙향하였다. 고향에서 병을 핑게대고 독서만 열중하다가 중종 반정이후 다시 양양군수로 부임하여 무사히 사건을 무마하고 선정을 베풀어 가선대부가 되었으나 복무중 사망하여 양양에서 함안 고향까지 반장(반장)하였단다. 부인 수원백씨 할머니도 검소 소탈하셔서 백성의 귀감이 되셨다고 한다. 율관공은 2남을 두셨는데 장남은 포(포) 충순위이고 차남은 무(무) 내금위로 정국원종1등공신이 되셨다. 후손으로 모촌(정), 갈촌(숙), 모계(명배), 흘봉(빈망), 효산(수형), 우산(훈호)등 이름난 학자가 배출되었다 사남 계자 현자 사의공 할아버지는 충순위(충순위)였단다. 도량이 크고 덕성이 순수하여 효우가 많았으며 일찌기 생원시에 합격하여 추천으로 장예원 사의에 임명되셨단다. 숙형(숙형)이 원통한 옥사에 걸려들었는데 형을 도피시키고 대신 나서서 옥중에서 사망하시게 되니 형제간 죽음으로 대신한 애석한 일 고을의 백성들에게 형제애 모본이 되신 분이시다. 1514년 중종실록에 경상도 관찰사 김안국에 의해 토호(토호)로 보고되었으나 대사헌 송천의의 처벌 고변으로 화란을 겪기도 하였다고 한다. 4남을 두셨는데 장남은 변(변) 첨지중추부사를 지내고 후손은 창원 진주에 세거하고 차남은 침(침)은 통정대부를 지내고 진주 동산 마진, 지곡에 세거하고 삼남은 종(종) 주부를 지내고 하동 광양에 세거하고 사남은 전(전) 진사로 학행이 함주지에 기록되었고 함안에 세거한다. 2. 모촌(茅村) 이정(李瀞)의 생애와 학문 -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권진옥 우리 모은 선조 후손들은 함안의 학문을 전도하였는데 그 중심에 모촌 선생이 있다. 모촌(모촌) 이정(이정) 선생은 사헌부 감찰을 지내고 병조참판에 추증되신 아버지 이경성(이경성)의 세째 아들로 1541에 태어나 어릴때 이미 학문에 뜻을 두어 아버지께 배웠고 15살때 아버지 친분으로 남명 조식 선생을 만났고 19살부터 남명 문하생이 되어 문인과 접촉하며 학문을 넓혔고 30살에 퇴계 부음에 슬퍼 곡하고 32살에 남명 부음에 만시 제문으로 애도하였다. 1583년에 부친상 삼년상마치고 1596년 한강 정구가 함안군수 부임으로 함안지(함안지)를 찬술하였는데 모촌을 재능과 행실이 높은 분으로 칭찬해 주셨단다. 1591 모촌정사를 지어 젊은이를 가르치고 백사 이항복과 학봉 김성일 등이 정사 건립 축시를 보냈다고 한다. 1592년 52살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학자로서 충의 수범을 보여 의병활동을 일으키고 항전하였다. 전쟁 중 단성현감으로 제수되어 나아갔다. 1597년 정유재란에 합천 악견산성을 정비하고 병장기를 개선하여 그 공로로 통정대부에 올랐고 이어 충주목사에 부임하여 전화 재건에 힘썼다. 1600년에 진주 원당으로 이거하여 집을 짓고 황매와라 이름하여 1601년에 불에 탄 덕천서원을 중건하는데 참여하였다. 1602 다시 옛집으로 돌아왔고 상주목사, 선산부사 모두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고 창원부사에 부임하였다. 1604 내암 정인홍과 남명집 편집 관계로 인연을 끊고 1608년 덕천서원 산장이 되었다. 1609년 북인 비판소를 올리고 1613 73세로 원당에서 서거하시니 묘는 법수 황동에 지었다. 1710년 대각서원과 1721년 도림서원에 향배되셨다. 일생을 강학과 존현사업에 바치고 임진왜란 함안의병장으로 행동하는 지식인으로 덕천서원 중건에 치중하신 업적이 지대하다. 지금도 남명박물관에 가면 이 할배의 편지가 입구에서 기다리고 있더라
3. 모계(茅溪) 이명배(李命培)의 생애와 학문 - 경상대 류진희 4. 효산(曉山) 이수형(李壽瀅)의 생애와 학문 - 선문대 구지현 |
출처: Lodoco Hall(毓士庭) 원문보기 글쓴이: lodo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