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송 만세루(靑松 萬歲樓.시도유형문화재 제509호.경상북도 청송군 현충로 51-352 (청송읍, 보광사) )
조선 세종(재위 1418∼1450)이 부사 하담에게 명하여 지은 건물로 소헌왕후(세종의 비)의 친가 청송 심씨 선조 묘소에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철종 7년(1856)에 심씨 후손들이 고쳐 세웠으며, 1958년에 또 고쳐 세웠다. 그 뒤 1968년 찬경루를 고쳐 세울 때 같이 고쳐 지었다.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4면에 난간을 설치하였으며, 2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이 뒤쪽에 있다.(출처 : 문화재청)







극락전 앞에서 본 만세루

만세루 주춧돌

극락전 앞 석탑





청송 보광사 극락전(靑松 普光寺 極樂殿. 보물 제1840호.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경북 청송군 청송읍 덕리 429) 보광사)
보물 제1840호로 지정된 ‘청송 보광사 극락전’이 위치한 보광사는 “관아의 남쪽 5리에 있으며 심홍부(沈弘孚)의 무덤을 수호하는 사찰”이라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전하고 있어 15세기 심홍부의 수호사찰로 지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여지도서(輿地圖書): 조선 후기(1757~1765년)에 각각의 읍에서 편찬한 읍지(邑誌)를 모아 책으로 엮은 전국 읍지
※ 심홍부(沈弘孚):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시조(始祖)
극락전은 근래에 수리 공사에서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만력43년(萬曆43年, 1615)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맞배지붕 형식의 건축물이며, 특징적인 것은 측면 박공 부분에 설치된 현어이다. 조선 중․후기의 현어는 앞뒤 박공판이 만나는 부분에 지네철이나 꺾쇠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당초(唐草, 덩굴) 무늬의 현어를 목재로 사용한 것은 보기 드문 예에 속한다.
※ 만력(萬曆): 명나라 제13대 황제 신종(神宗) 대에 사용된 연호, 사용기간은 1573~1620년
※ 맞배지붕: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 박공: 맞배지붕의 측면에 ∧자형으로 붙인 건축 부재(部材)
※ 현어: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박공 위쪽 밑부분에 달아놓는 장식물
※ 지네철: 박공이 용마루에서 마주치는 이음매에 걸쳐 박는 지네 모양의 쇳조각
‘청송 보광사 극락전’은 불전 건축의 구조 양식과 공포 구성에서 기존에 보물로 지정․보존하고 있는 ▲ 청도 대비사 대웅전(보물 제834호, 17세기) ▲ 청송 대전사 보광전(보물 제1570호, 1672년) ▲ 경산 환성사 대웅전(보물 제562호, 1635년) ▲ 청도 대적사 극락전(보물 제836호, 1635년) 등 17세기 불전 건축에서 채택된 건축수법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보광사 극락전 불상

보광사에서 산길 따라 300m 가면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시조 묘소가 있습니다.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시조는 고려 충렬왕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역임한 심홍부(沈洪孚)이다.

심홍부(沈弘孚.생졸년 미상. 본관은 청송靑松)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시조로 고려 충렬왕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역임하였다. 심홍부(沈洪孚)로 쓰기도 한다.






첫댓글 소박한 보광사와 소헌왕후와의 관계, 그리고 시조묘의 좋은 터 잘보았습니다. 또한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다니시면서 방방곡곡 조상들이 남긴 문화유산를 소개해주시는 김성호 교수님의 정성 대단합니다.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 감사합니다. 최상순드림
귀한 문화유산을 소개해주신데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