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주력산업 가운데 하나인 자동차ㆍ조선업이 신종 코로나(코로나 19) 여파로 휘청거리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지역 중소기업ㆍ소상공인ㆍ영세업종 피해가 `잔물결`에 비유 된다면 거대한 파고가 엄습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이번 위기를 제대로 극복해 내지 못할 경우 울산시 경제가 회복 불능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정부가 대대적 지원에 나서고 각종 규제를 완화ㆍ철폐할 경우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자동차ㆍ조선업에 대한 정부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울산시가 직접 정부부처를 설득하는 등 광폭행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산시는 지금까지 시급한 신종 코로나 지역피해 해결에 주로 집중해 왔다. 또 코로나 사태가 종료된 이후에 대비해 `울산형 뉴딜`사업을 구상하고 5차에 걸쳐 휴먼ㆍ스마트ㆍ그린 뉴딜사업들을 구체화하는 등 지역현안 해결에 주력하는 중이다. 하지만 울산 주력산업이 피폐할 경우 지방정부의 생태적 한계 때문에 지자체 차원의 피해 해결책이 겉돌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통해 현실적 소비창출을 꾀할 수 있지만 자동차ㆍ조선관련 협력업체들이 도산될 경우 도시경제가 마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21대 국회 개원에 맞춰 울산이 선도적으로 창원ㆍ전주 등 제조업 도시들과 정부에 특별지원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현대차는 코로나 여파로 울산 공장들이 이미 여러 번 생산을 중단한바 있다. 이에 따라 파장이 협력업체들에 그대로 이어질 판이다. 현대차 울산4공장 포터 생산라인이 1일부터 5일까지 임시휴업에 들어간다. 울산3공장 베뉴와 아이오닉 라인도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간 가동을 멈춘다. 앞서 지난달 6~8일에는 아반떼, 베뉴, i30 생산라인이 휴업했고 4월 13~17일에는 투싼 라인이 가동을 중단했다.
현재 울산공장에 자동차 부품을 조달하는 1차 협력업체는 29곳이다. 또 1차 업체에 납품하는 2차 업체는 약 300여 곳이다. 3차까지 포함하면 협력업체 수가 약 3천여 곳에 이른다. 그런데 주문생산 방식이라 현대차 울산공장 생산라인이 멈추면 연쇄적으로 이들 부품 협력사들도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구도다.
코로나 여파는 울산 조선업계도 예외가 아니다. 코로나가 세계경제 통로를 막는 바람에 해외 조선수주가 급감해 일부 협력업체들은 이미 일손을 놓은 상태다. 조선ㆍ해운 분석기관인 영국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세계 선박 발주량은 233만CGT로 작년 같은 기간(810만CGT)보다 71%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현대중공업은 같은 기간 9만CGT를 수주해 지난해23만CGT보다 60.8%나 줄었다.
수주액도 이전에 크게 못 미친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부문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을 합쳐 올해 총 178억달러(21조7천872억원) 수주를 목표로 세워두고 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수주 실적은 19척, 금액으로는 연간 목표치의 6.74%인 12억달러(1조4천688억원)에 불과하다.
한편 이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성이 제기돼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비전과 과제`포럼에서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은 "판이 흔들리는 위기상황에선 일단 생존이 중요하고, 그 이후엔 시장에서 탈락한 경쟁자들의 빈자리를 파고드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가 단기 생존자금을 지원하고 기업의 체질개선을 위한 각종 규제완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석주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상무는 이날 "지금 코로나와 중국의 추격으로 조선업이 정말 어렵다"며 "조선업은 정부가 얼마나 지원하느냐에 승패가 좌우되기 때문에 정부와 국회, 지자체가 적극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