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덕화만발(德華滿發)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이언 김동수교수시문학 양자역학과 불교의 연기론과 중도
지리산 흑곰 추천 0 조회 358 24.05.10 07:53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5.10 15:21

    첫댓글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이는 마치 삼라만상을 ‘있다(色)’거나 ‘없다(空)’라고 결정적으로 보지 않고 색이 공으로, 공이 다시 색으로 이어지는 불교의 연기적(緣起的) 중도관(中道觀)과 다르지 않는 인연가합(因緣假合)의 세계다. 그러기에 중도(中道)는 가운데 길이 아니라 이러한 세상의 이치를 깨달아 열반(涅槃)에 이르는 수행자의 길이다.>

    <아인슈타인의 ‘등가성원리’는 유형·무형의 모양이 바뀐다 해서 그 본질이 없어지거나 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부처님이 말씀하신 ‘모든 것이 생(生)하지도 않고 멸(滅)하지도 않는다’는 불생불멸설(不生不滅說)과 결과적으로 같은 학설이다.>

    <‘세상 모든 것은 상호 의존적이고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연기(緣起)요 윤회다.
    그러기에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다. 이를 불교에서는 ’공(空)‘ 또는 ’공성(空性)‘이라 한다.>

    <보이지 않는 파장(에너지)의 힘이 가시적 물질(입자)로 전환되는 양자역학의 세계와 다르지 않다. 이 구절은 불교에서 마음(心:파장)과 경물(물질:입자)과 하나가 되는 심경일여(心境一如) 또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세계와 맥을 같이하고 있는 우주적 신비가 감지된 초월적 상상의 세계>

  • 24.05.10 15:31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이언 교수님!

    <양자역학과 불교의 연기론과 중도>
    그냥 글이 아닙니다.
    바로 聖人의 經典입니다.
    많이 배우고, 익히며, 가슴에 새기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 중생에겐 아주 귀한 가르침입니다.
    삼가 敬意를 표합니다.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 작성자 24.05.10 16:24

    저보다 항시 먼저 한 발 앞서 정문일침 그 본질을 꿰뚫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주시니 그저 감사하고 고마울 따름입니다.

  • 24.05.10 21:43

    파동에서 입자 중간에 의식이 꼭 필요합니다

    최초 의식 (관찰)에 의한 우주탄생

    그 우주의식 (사랑)에 의한 입자가 우리 사람입니다

    다시 우리 사람의 의식에 의하여 우주 의식이 되고

    그 우주의식(사랑)에 의한 생명력에 의하여 다시 우리 사람은

    사랑의 의식 (관찰)이 우주에 사랑을

    우리 의식 (기)가 우주의 파동(質料)를 입자화 하여 우리 의 삶 (生命力)을 이룹니다

    어줍잖은 글 용서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 다

  • 작성자 24.05.11 18:43

    의식도 하나의 파동으로서 이 의식을 집중하면 큰 힘이 생긴다고 보는데
    이가 곧 우주 의식(神?)이 아닐까 생각해 보기도 합니다만?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