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격국의 중요성
팔자의 격은 사람의 이름에 비유 되기도 한다.
사주팔자(四柱八字)의 명리학(命理學)에서는 격국이 생명이다. 고서(古書)에 이르데【격국호상인적구체(格局好像人的軀體)
용신호상(用神好像) 인적정신(人的精神)】이라 하여 사람에 비유하면 일간은 내몸과 같고 용신은 나의 정신과 같으며 격국은 나의
생활습성이나 나의직장과 같다. 격국을 모르고서는 운명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팔자의 격은 사람의 이름에 비유도 한다.
▶격의 구분
격국(格局)은 통상 두가지로 나누는데 내격(內格)과 외격(外格)이 있다. 내격을 다시 보통(普通)격국(格局) 또 정격(正格)이라고 하며 외격을 특별격국 또는 편격(偏格)이라고 한다.
▶내격(內格)
내격은 월지와 대조하여 해당되는 십신(十神)을 부쳐서 정해지는 격국(格局)을 말한다.
오준민(吳俊民)저 명리신론(命理新論)에 보면 월지의 본기(本氣)가 천간에 투간(透干)된 것으로 격을 정한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인월(寅月)에는 천간에 갑목(甲木)이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묘월(卯月)에는 천간에 을목(乙木)이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진월(辰月)에는 천간에 무토(戊土)가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사월(巳月)에는 천간에 병화(丙火)가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오월(午月)에는 천간에 정화(丁火)가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미월(未月)에는 천간에 기토(己土)가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신월(申月)에는 천간에 경금(庚金)이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유월(酉月)에는 천간에 신금(辛金)이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술월(戌月)에는 천간에 무토(戊土)가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해월(亥月)에는 천간에 임수(壬水)가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자월(子月)에는 천간에 계수(癸水)가 투간(透干)되어야 하고,
축월(丑月)에는 천간에 기토(己土)가 투간(透干)되어야 한다.
만약 월지의 본기(本氣)가 천간(天干)에 투간(透干)되지 않았으면 월지(月支)의 지장간(支藏干)에 있는 것이 천간(天干)에 투간된
것을 격국을 잡는다. 예를들면 인월(寅月)에 본기(本氣)인 갑목(甲木)이 없고 병화(丙火)나 무토(戊土)를 취하여 격국을
정하는데 병(丙)과 무(戊)중 사주전체의 영향력(影響力)이 큰 것을 격국으로 취용(取用)한다.
만약 월지(月支)본기와 지장간의 오행이 천간에 투간(透干)이 안된 경우는 월지(月支)지장간(支藏干)에 강약(强弱) 왕쇠(旺衰)를 비교하여 힘이 있는 자를 격국(格局)으로 정한다.
만약 월지(月支)가 일간의 비견(比肩), 겁재(劫財), 건록(建祿), 양인(羊刃)이 된 즉, 내격(內格)에 취하지 않는다.
▶ 내격(內格)정하는 예시(例示)
갑목(甲木)일간이 신월(申月)에 출생하여 천간(天干)에 경금(庚金)이 투출(透出)되면 칠살(七煞)격, 무토(戊土)가 투출되면
편재(偏財)격, 임수가 투출되면 편인(偏印)격이다. 만약 무임경(戊壬庚)이 없을 때는 역량(力量)이 큰 것으로 격국(格局)을
잡는다.
을목(乙木)일간이 유월(酉月)에 출생하여 천간(天干)에 금(申金)이 투출(透出)되면 칠살(七煞)격, 투출(透出)되지 않으면 편관격(偏官格)이다.
병화(丙火) 일간이 인월(寅月)에 출생하여 천간(天干)에 갑목(甲木)이 투출(透出)되면 편인(偏 印)격이 된다. 무토(土)출간시에는 식신(食神)격 병화(丙火)투출시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정화(丁火)일간이 오월(午月)에 출생하면 일간의 건록(建祿)이 되어 내격(內格)에 취하지 않는다.
정화(丁火)일간이 오월(午月)에 출생하여 천간에 기토(己土)가 투출하면 식신격 (食神格)이 된다. 을목(乙木)이 투출하면 편인격(偏印格)이고, 정화(丁火)는 투출되어도 격국을 취하지 않는다.
을목(乙木)일간이 묘월(卯月)에 출생하면 일간(日干)의 건록(建祿)이되어 격국(格局)을 취하지 않는다.
무토(戊土)일간이 오월(午月)에 출생하여 천간에 정화(丁火)가 투출하면 정인격(正印格)이 된다.
기토(己土)일간이 진월(辰月)에 출생하여 천간에 을목(乙木)이 투출하면 칠살격(七煞格)이 된다. 천간에 계수(癸水)가 투출시에는 편재격(偏財格)이 된다.
경금(庚金)일간이 해월(亥月)에 출생하여 천간에 임수(壬水)가 투출하면 식신격(食神格)이 되고, 천간에 갑목이 투출(透出)되면 편재격(偏財格)이 된다.
신금(辛金)일간이 유월(酉月)에 출생하면 일간(日干)의 건록(建祿)이 되어 내격(內格)의 격국(格局)을 취하지 않는다.
신금(辛金)일간이 축월(丑月)에 출생하여 천간(天干)에 기토(己土)가 투출하면 편인격(偏印格)되고 계수(癸水)가 투출되면 식신격(食神格)이 된다.
임수(壬水)일간이 자월(子月)에 출생하면 일간(日干)의 양인(羊刃)이 되어 내격의 격국(格局)을 취하지 않는다.
임수(壬水)일간이 해월(亥月)에 출생하면 일간(日干)의 건록(建祿)이 되어 내격의 격국(格局)을 취하지 않는다.
계수(癸水)일간이 사월(巳月)에 출생하여 천간(天干)에 병화가 투출하면 정재격(正財格), 무토(戊土)가 출간하면 정관격(正官格)이 된다. 경금(庚金)이 투출되면 정인격(正印格)이다.
계수(癸水)일간이 자월(子月)에 출생하면 일간(日干)의 건록(建祿)이 되어 내격의 격국(格局)을 취하지 않는다.
▷건록격(建祿格)
갑일간 인월(寅月), 을일간 묘월(卯月), 병·무일간 사월(巳月), 정·기일간 오월(午月), 경일간 신월(申月), 신일간 유월(酉月), 임일간 해월(亥月), 계일간 자월(子月) 모두 본기(本氣)에 해당되고 건록격(建祿格)이 된다.
▷양인격(羊刃格)
갑일간 묘월(卯月)
경일간 유월(酉月)
임일간 자월(子月)
병일간은 오월의 오중(午中)의 기토(己土)를 취하여 상관격(傷官格)이라고 하고,
무일간은 오월의 오중(午中)의 정화(丁火)를 취하여 정인격(正印格)이라고 한다.
사주의 격국이 좋은것과 나쁜 것이 있으며, 용신(用神)도 득시(得時)와 실시(失時)가 있다.
사주의 격국도 성격(成格)이고 용신(用神)도 득력(得力)을 하면 부귀(富貴)장수(長壽)는 틀림없다.
사주의 격국은 성격(成格)인데 용신(用神)은 실시(失時)하거나, 격국은 패격(敗格)인데 용신이 득력(得力)하면
부귀(富貴)장수(長壽)가 감소한다. 사주의 격국도 파격(破格)이고 용신도 실시(失時)하거나 격국이 혼탁(混濁)하고 기신(忌神)이
많은 것은 빈천(貧賤)하고 흉(凶)하며 요절(夭折)한다.
고서(古書)에 이르데【부귀정어명(富貴定於命), 궁통계어운(窮通繫於運)】부귀는 사주팔자에 의해서 정해지며 길흉(吉凶)과
궁통(窮通)은 대운(大運)에 달려있다고 했다. 사주는 나무에 비유하면 근본(根本)이 되고 대운은 가지와 잎이 된다.
만일 사주가 중화(中和)되고 용신(用神)이 분명하면 근본(根本)이 견고한 것이고 대운이 좋다면 가지와 잎이 무성한 것이니 부귀영화(富貴榮華)는 틀림없는 것이다.
사주가 중화(中和)되고 용신(用神)이 분명하면 대운에서 약간불리해도 일시적인 일진광풍(一陣狂風)이나 심한폭우로 가지가 부러지고
잎이 떨어지는 것과 같다. 만약, 사주와 용신이 배합이 좋지 않으면 근본(根本)이 확실하지 않은 것이니 좋은 대운이 와도
화이불실(華而不實)이라 하여 겉으로는 화려한 것같으나 내실은 견고하지 못하다.
이런사주가 나쁜 대운을 만난다면 뿌리가 약한 나무가 태풍을 만난 것이니 견디지 못하고 뿌리까지 뽑힐 것이다.
사주는 자동차와 같고 대운은 도로와 같은 것이니 차가 고급승용차면 비록 나쁜 길을 만나도 속도가 느려질 뿐 안전에는 이상이 없다.
그러나 낡은 자동차로 험한 길을 간다면 어찌 되겠는가? 사주가 약한 사람은 대운에서 좋은운을 만나야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되나
그 영화는 잠시이고 영구(永久)하지 않다.
이와같이 사주의 격국(格局)의 성패(成敗)와 대운의 득력(得力)과 불득력의 관계를 말했는데 사주를 보는데 가장 필요한 대목이다. 여기에 내격의 구분과 용신 및 대운, 실례(實例)를 설명하니 많이 참고하기 바란다.
이 격이 이루어지려면 반드시 일간과 합하는
자가 월일시간중에 있고 그 합화된 五行 월에
출생하여 사주 가운데 화신과 같은 오행이 간지에
많아야 한다.
예를들어 갑일주의 합은 기(己)인데 기토(己土)가
월간이나 시간에 있으면 갑기(甲己)가 합하여
화신은 토(土)이니 월령에 辰戌丑未의 土를 만나고
기타에 戊辰戌丑未의 土를 많이 만나면 이것이
화격이다.
정관격은 월지에 정관(正官)이 천간(天干)에 투출(透出)하여야 격국(格局)이 성립된다. 갑일간(甲日干)이 신유(辛酉)월에 생하고
천간에 신금(辛金)이 투출하니 정관격이다. 을목(乙木)일간이 신월(申月)에 생하고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중 정관인 경금이 천간에
투출하면 정관격이다.
월주(月柱)가 모두 정관이면 정관격(正官格)이 좋다. 정관은 음양(陰陽)배우(配偶)의 극(剋)이 되어 갑(甲)일간이 신금(辛金)을
보는 것과 같다. 음과 양의 극이 되니 마치 나무를 전정(剪定)가위로 전지(剪枝)해주는 것과도 같아 극이 되어도 피해가 없고
오히려 좋다.
여자에게는 정관이 남편이 된다. 정관은 나라를 다스리는 법률(法律)과 같고 가정을 다스리는 가법(家法)과 같다. 국가에는 대통령이 있고 가정에는 가장(家長)이 있는 것과 같다.
정관격은 형충파해(刑庶破害)를 크게 꺼린다. 대운(大運)세운(歲運)에 관성을 충(庶)하면 실직한다.
정관격(正官格)에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많으면 파격(破格)이 되어 가난하게 된다.
정관격(正官格)은 신약할 때는 인성(印星)을 좋아하고 신강할 때는 재성(財星)을 좋아한다.
정관격(正官格) 사주에 인성(印星)이 많아도 정관의 기운을 설기(洩氣)하니 좋지 않다.
정관격(正官格)은 십이운성(十二運星)이 생시(生時)에 인종(引從)하여 사절(死絶)되는 것을 꺼린다.
정관격(正官格)은 일간이 강하고 정관이 명랑하면 일생 부귀하고 발달한다.
정관격(正官格)은 정편관(正偏官)이 혼잡되지 않으면 고귀(高貴)하게 된다. 만약 혼잡(混雜)되면 남녀 불구하고 고생이 많은 운명이 된다.
정관격(正官格)은 일간(日干)이 강하고 정인이 있으면 국가의 관리(官吏)나 교육자(敎育者)로 승승장구 하여 귀하게 된다. 만약
관(官)이있고 인성(印星)이 없으면 명예를 얻기 힘들고 인수(印綬)가 있고 관(官)이 없으면 입신출세(立身出世)가 늦다.
정관격(正官格)은 일간이 강하고 재성(財星) 이 있으면 부귀(富貴)하게 된다. 정관격(正官格)은 간합(干合)을 꺼린다. 정관이
일간이외의 오행과 간합을 하면 귀(貴)를 잃어버리고 천하게 된다. 반대로 편관은 간합하면 오히려 귀(貴)하게 된다.
정관격(正官格)은 정관이 년간(年干)에 있으면 부모와 조상의 음덕으로 발달이 빠르다.
정관격(正官格)은 정관이 년지(年支)에 있으면 조상의 은덕과 비호(庇護)로 소년에 발복한다.
정관격(正官格)은 정관이 일지(日支)에 있으면 부부관계 가 좋으며 좋은 배우자를 만난다.
정관격(正官格)은 정관이 생시(生時)에 있으면 대기만성(大器晩成)형으로 늦게 발달하고 훌륭한 자식을 두게 된다.
정관격(正官格)에 대운이 십이운성(十二運星) 묘(墓)에 들면 재산이 소멸된다.
정관을 충(庶)하면 고향을 떠나거나 세운(歲運)에서 정관을 충하면 신변에 이상이 생긴다.
정관격(正官格)에 칠살운을 만나면 흉하고 의식(衣食)걱정을 하게 된다.
▶ 정관격 예시(例示)
丙 辛 壬 丁
申 巳 寅 酉
丁 丙 乙 甲 癸
未 午 巳 辰 卯
▶위의 사주는 여명(女命)인데 辛金 일주가 인월(寅月)에 출생하여 시간(時干)에 월지의 인중(寅中) 병화(丙火)가 투출하여
정관격이 되었다. 일간 신금이 사중(巳中) 무토(戊土)의 생을 받아 관인상생(官印相生)이 된다. 다시 년지(年支)유금(酉金)과
시지(時支)신금(申金)의 건록(建祿)과 양인(羊刃)이 되어 일간이 강하다.
년간(年干)에 정화(丁火)칠살(七煞)이 투간(透干)되었으나 상관과 정임(丁壬)합이 되어 칠살과 상관이 같이 제거 되었다. 격국이
순수하다고 할 수 있으며 대운(大運) 사오미(巳午未)남방(南方)화운(火運)에 관성이 힘을 얻어 귀하게 되었다.
가. 관성(官星)의 태과(太過)와 불급(不及)
관성태과 : 관성이 득령(得令)하고 관성(官星)이 많으며 일간이 약해 관성을 감당할 수 없을 때 관성이 강하고 신약(身弱)한데 재성(財星)이 관성을 도울 때 관성(官星)태과라고 한다.
관성불급 : 일간이 관성보다 강하고 재성이 없을 때 일간이 관성보다 강하고 인성(印星)이 있어 관성을 설기(洩氣)할 때 일간이 관성보다 강하고 식신(食神)상관(傷官)이 있어 관성을 극(剋)할 때 관성불급이라고 한다.
나. 정관격(正官格)의 대운
정관격(正官格)에 관성(官星)이 많아 신약(身弱)하여 인성(印星)이 용신일 때 비겁(比劫)과 인성(印星)운에 발복(發福)하고 재성(財星)운과 식상(食傷)운을 꺼리게 된다.
정관격(正官格)에 인성(印星)이 많아 신왕(身旺)한데 재성(財星)을 용신으로 할 때는 대운이 재성운이 좋고 가장꺼리는 운은 비겁(比劫)운이다.
정관격(正官格)에 인성(印星)이 많아 신왕(身旺)한데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이 약할 때는 대운이 재성과 관성운으로 흐를 때 발복하고 인성(印星)과 비겁(比劫)운 을 꺼린다.
정관격(正官格)에 일간이 신약(身弱)하고 재관(財官)이 강할 때 인성(印星)의 신왕(身旺)운이 좋고 식상(食傷)운을 꺼린다.
정관격(正官格)에 일간이 신약(身弱)하고 식상(食傷)이있고 인성(印星)을 용신으로 할 때는 대운에서 인성(印星)과 관성(官星)운에 발복하고 재성(財星)운을 가장 꺼린다.
정관격(正官格)에 신왕(身旺)한데 식신(食神)으로 설기하여 용신이 될 때 대운에서 재성(財星)운일 때 발복한다.
정관격(正官格)은 일간이 신왕하면 재성(財星)운에 발전이 많이된다.
정관격(正官格)은 일간이 신약(身弱)하면 인성(印星)운이좋다.
정관격(正官格)은 일간이 신왕하고 정관이 약하면 재관(財官)운에 발복(發福)하게 된다.
정관격(正官格)은 대운에서 편관과 혼잡되는 것을 꺼린다.
정관격(正官格)은 대운에서 상관운이 들어와 정관을 극 하면 흉해(凶害)가 크다.
정관격(正官格)은 대운에서 정관을 형충파해(刑庶破害)하면 흉해(凶害)가 발생한다.
1. 관살혼잡
관살혼잡이란? 사주에 정관과 편관이 같이 섞여 있는 것을 말한다. 남녀모두 사주에 관살이 혼잡됨을 꺼린다. 고서(古書)에 이르데
관살혼잡(關煞混雜)불빈즉요(不貧則夭)라 하여 사주에 관살이 혼잡되면 가난하지 않으면 요절한다고 하였으니 관살혼잡 됨을 크게
꺼린다.
관살혼잡되면 사람됨이 호색(好色)하고 음란(淫亂)하며 잔꾀를 부리고 천박해진다라고 하였다. 계선편(繼善篇)에 이르데
세월시중(歲月時中) 대파관살혼잡(大 官煞混雜)이라하여 대운에서도 관살이 혼잡되는 것을 꺼린다. 또 이르데 관살혼잡이 되면 빈천하고
형제가 흩어진다.
관살혼잡에 비겁, 양인, 건록이 많으면 빈곤하고 천박하나 인성(印星)이 화살생신(化煞生身)하면 가히 문장(文章)으로 귀(貴)하게
된다. 만약 식신으로 칠살을 제거하면 무인(武人)으로 귀하게 된다. 관살이 혼잡되어도 인성(印星)이 있어 살인상생(煞印相生)이나
관인상생(官印相生)이 되면 흉화(凶禍)가 없다.
여명(女命)에는 관성이 남편이니 관살이 혼잡되면 삼각관계가 생기고 색난(色亂)을 일으켜 패가 망신한다.
1) 관살의 혼잡과 불혼잡
가. 사주에 용신이 정관인데 정관은 암장(暗藏)되고 칠살이 투간되고 재성(財星)이 칠살을 도울때와 사주에 용신이 편관(偏官)인데
칠살(七煞)은 암장(暗藏)되고 정관(正官)이 투간되고 재성(財星)이 정관을 도울 때 관살혼잡(關煞混雜)이라고 한다.
나. 사주에 정관은 약하고 칠살이 왕한데 대운에서 정관을 돕거나, 사주에 칠살은 약하고 정관이 왕한데 대운에서 칠살을 돕게되면 관살혼잡(關煞混雜)이라고 한다.
다. 사주에 관살(官煞)이 나란히 있고 지지에 통근(通根)이 되면 관살혼잡이 된다.
2) 관살(官煞)의 진혼(眞混)
가. 갑목일주(甲木日主)가 신월(申月)에 생하고 천간에 경신(庚辛)이 투출시
나. 갑목일주(甲木日主)가 유월(酉月)에 생하고 천간에 경신(庚辛)이 투출시
다. 갑목일주(甲木日主)가 신월(申月)에 생하고 천간에 경(庚)이 투출하고 지지에 유(酉)가 있을시
라. 갑목일주(甲木日主)가 유월(酉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辛)이 투출하고 지지에 신(申)이 있을시
마,갑목일주(甲木日主)가 천간에 경신(庚辛)이 투출하고 지지에 신유(申酉)가 있을시
3) 관살의 가혼(假混)
가. 갑일(甲日)생이 신월(申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辛)과 병(丙)이 합하고,
나. 갑일(甲日)생이 유월(酉月)에 생하고 천간에 을경(乙庚)이 합하고,
다. 갑일(甲日)생이 신월(申月)에 생하고 지지에 유금(酉金)을 오화(午火)가 극할 때,
라. 갑일(甲日)생이 유월(酉月)에 생하고 지지에 신금(申金)이 인신(寅申)충 될 때.
명통부(明通賦)에 이르데 관살양정(官煞兩停)에 희자존지(喜者存之), 증자거지(憎者去之)라하여 관살이 혼잡되면 희신(喜神)은 남고 기신(忌神)은 제거시켜야 된다는 말이다.
사주에 관살혼잡이 되면 식신(食神)으로서 칠살(七煞)을 제거하거나 양인(羊刃)으로서 칠살과 합(合)을 하여 정관을 보호하면 크게 발전한다.
장남(張楠)이 이르기를 년간관성 월간칠살혹은 년간칠살, 월간관성이 있으면 모두 칠살로 보라고 하였으며, 년간관성 시상칠살이나 년간칠살 시상정관이면 모두 혼잡이 된다고 하였다.
식신도 많으면 상관이 되고 정관도 많으면 칠살이 된다고 하였다. 천간에 칠살이고 지지에 정관이면 칠살로 보고, 천간에
정관(正官)이고 지지에 칠살(七煞)이면 정관으로 보라고 하였다. 일간이 강건(剛健)하면 관살이 있어도 청귀(淸貴)하게 되지만
일간이 신약하면 정관이 있어도 칠살과 같다. 관살은 혼잡(混雜)됨은 불가(不可)하다. 그래서 관살중 하나는 제거(除去)를 해야
한다.
칠살이 희신(喜神)이면 정관을 제거하면 무인(武人)으로 귀하게 되고 정관이 희신(喜神)이면 칠살을 제거해야 문인(文人)으로 귀하게 된다. 이 모두 신왕운에 대귀한다.
▶ 거류법
사주에 관살이 갈이 혼잡될때는 관살중 어떤 것을 제거하고 어떤 것을 유(留)할 것인가를 정한다. 만약 한 개를 제거하거나 합거(合去)하면 하나는 류(留)하면 되는 것이다.
천간에 관(官)이 있고 지지에 살(煞)이 있는데 살(煞)보다 관(官)이 왕하면 혼잡이 아니고 천간에 살(煞)이 있고 지지에 관(官)이 있는데 관(官)보다 살(煞)이 왕하면 혼잡이 아니다.
천간에 관살(官煞)이 같이 있고 지지에 살(煞)이 있으면 관살이 혼잡이니 마땅히 관(官)을 제거해야 한다.
천간에 관살(官煞)이 같이 있고 지지에 관(官)이 있으면 관살이 혼잡이니 마땅히 살(煞)을 제거해야 한다. 다만 관살이 약하고 일간이 강하면 관살혼잡을 두려워 하지 않고 오히려 관살(官煞)을 재성(財星)이 도와야 한다.
사주에 관살(官煞)이 같이 있을 때 상관(傷官)은 정관을 극제(剋制)하고 식신(食神)은 편관을 극제한다.
사주에 관살이 같이 있는데 식상(食傷)이 같이 있으면 관살(官煞) 둘 다 제거(除去)가 된다. 그런데 관(官)이 많고 식상(食傷)이 적거나, 살이 왕하고 식상이 쇠하면 제거가 안되고, 대운에서 식상을 도울 때 제거가 된다.
오양간(五陽干)은 겁재와 양인은 칠살과 합거(合去)하고 오음간(五陰干)은 비견과 건록이 정관을 합거(合去)하게 된다.
오양간(五陽干)은 식신이 정관과 합거(合去)하고 오음간(五陰干)은 상관과 칠살이 합거(合去)한다. 인성은 관살 모두를
통관(通關)하여 화(化)하게 된다.
갑일(甲日)이 유월(酉月)에 생하고 천간에 경신(庚辛)이 투출되고, 병화(丙火)가 경(庚)을 극하고 신(辛)과 합하면 합하는
힘보다 극하는 힘이 더 크다. 갑일(甲日)이 유월(酉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辛)이 투출되고, 지지에 인신(寅申)이 상충되면
거살유관(去煞留官)이 된다.
갑일(甲日)이 신월(申月)에 생하고 천간에 경신(庚辛)이 투출되고 정화(丁火)가 신금(辛金)을 극하거나, 갑일(甲日)이
신월(申月)에 생하고 천간에 경(庚)이 투출되고, 지지에 유금이 오화(午火)의 극을 받으면 거관유살(去官留煞)이라 한다.
갑일(甲日)이 유월(酉月)에 생하고 천간에 경(庚)이 투출되고, 을일(乙日)생이 신월(申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辛)이 있으면 관살중 왕한 것을 도와야 되며 관살혼잡이라고 하지 않는다.
거관유살이나 거살유관은 모두 신왕해야 하며 식상이 없으면 비겁(比劫)과 양인(羊刃), 건록(建祿)으로 관살을 합거(合去)해야
한다. 일간이 신약하면 식상, 비겁, 양인, 건록이 없을 경우에는 인성(印星)으로 화살(化煞)이나 화관(化官)생신함이 마땅하며
이때는 관살의 혼잡을 꺼리지 않는다.
일간이 강하고 관살이 약하면 재성(財星)으로 관살을 도와야 되니 이때도 관살혼잡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갑일(甲日)이 신유(申酉)를 보고 지지에 자진(子辰)이 있으면 신자진(申子辰) 수국이 되어 유금(酉金)이 남게 된다.
병정(丙丁)일이 지지에 해자(亥子)가 있고 묘미(卯未)가 있으면 해묘미(亥卯未)목국이 되어 자(子)만 남는다. 무기(戊己)일이 지지에 인묘(寅卯)를 보고 오술(午戌)을 만나면 인오술(寅午戌)화국 이 되어 묘(卯)만 남는다.
경신(庚申)일이 사오(巳午)가 있고 지지에 유축(酉丑)을 만나면 사유축(巳酉丑) 금국이 되고 오(午)만 남는다. 임계(壬癸)일이
지지에 진축(辰丑)이나 술미(戌未)가 있는데 지지에 다사 사유(巳酉)가 있으면 사유축(巳酉丑)이 되고 해묘(亥卯)가 있으면
해묘미(亥卯未)가 되고, 신자(申子)가 있으면 신자진(申子辰)이 되고, 인오(寅午)가 있으면 인오술(寅午戌)이 되어 관살중 하나가
남게 된다.
음일간 상관은 정관을 극하지만 칠살은 합거(合去)한다. 정관이 가까우면 거관(去官)이 되고 칠살(七煞)과 가까우면 합살(合煞)이라
한다. 양일간은 식신이 칠살을 제거하고 정관과는 합이 된다. 칠살이 가까우면 거살(去煞)이 되고 정관이 가까우면 합관(合官)이
된다.
실례
壬 丙 癸 戊
辰 戌 亥 午
巳 戊 丁 丙 乙 甲
巳 辰 卯 寅 丑 子
♠ 위의 사주는 병화일주가 해월(亥月)에 생하고 천간에 임계(壬癸)의 관살이 투출하였다. 다행히 년간의 무토(戊土)가 계수와 무계(戊癸)합을 하여 칠살격이 되었다. 대운이 동남으로 흐르니 평안하였으며 거관유살 용인격이 되었다.
己 壬 戊 癸
酉 午 午 亥
壬 癸 甲 乙 丙 丁
子 丑 寅 卯 辰 巳
♠위의 사주는 임수(壬水)일주가 오월(午月)에 생하고 무기(戊己)의 관살이 투출하였다. 다행히 년간 계수가 무토(戊土)와
무계(戊癸)합을하여 일간의 임수(壬水)는 해수(亥水)와 유금(酉金)에 통근(通根)이 되어 관성을 감당할만 함으로 대운이
수목(水木)운에 일간을 방신(幇身)함으로 청운에 뜻을 폈다. 이를 거살유관(去煞留官) 비견(比肩) 방신(幇身)격이라 한다.
정관과 편관은 비록 음양이 다르나 똑같이 일간을 극하는 신이다. 편관은 월령(月令)에 뿌리를 박고 천간에 편관이 투출(透出)되어
있으면 편관격이다. 갑일간(甲日干)이 신월(申月)에 신중(申中)의 경금(庚金)이 투출함을 보는 것과 같다. 을일간(乙日干)이
유월(酉月)에 생하고 신금(辛金)이 투출되면 편관격이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편관은 나를 극(剋)하는 신이니 노동자와 깡패에 비유한다. 적당히 통제(統制)를 하면 일간을 위하여 크게 이롭지만 통제를 못하면 일간(日干)에게 반항하며 괴롭힌다.
사주에 편관을 극(剋)하는 식신(食神)이나 편관을 화(化)하는 인성(印星)이 있으면 나에게 유용한 신이 된다. 전체적으로 편관격은 일간이 강해야 된다. 편관이 많으면 식신으로 제(制)하거나 인성으로 화(化)해야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편관을 극제(剋制)하는 식신(食神)이 있으면 편관(偏官)이라 하고 식신(食神) 이 없으면 칠살(七煞)이라고 한다. 편관격(偏官格)에는 일간이 강해야 편관을 제압할수 있으며 귀(貴)하게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이 약하면 인성(印星)이 있어 일간을 생조(生助)하면 살인상생(煞印相生)이라 하여 편관이 인성을 생하고 인성은 일간을 생하여 비록 가난한 집에 태어나도 성장하여 귀(貴)하게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이 강하면 식신(食神)으로 일간을 설기(洩氣)하고 편관을 극제(剋制)하니 귀(貴)하게 된다. 대운에서 식신을 극하는 편인이나 식신을 합하는 운에는 발복하기 어렵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이 강하고 편관이 약하면 재성(財星)이 있어야 재생관(財生官)으로 재관(財官)운에 발전한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이 약하고 편관이 강한데 극제하는 식신이나 인성이 없으면 편관격이 아니고 종살격(從煞格)이 된다. 이때
한점의 비견이나 겁재가 있어도 종살격이 어려우며 가난하지 않으면 단명하고 병약하다.
편관격(偏官格)에 편관이 간합(干合)하면 흉이 변하여 관성으로 변한다. 편관격(偏官格)에 정관이 있으면 정편관이 혼잡이라 하여 가난하고 고생하는 천명(天命)이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편관이 강하고 대운(大運)에서 편관(偏官)이 묘(墓)운에 들게 되면 위험(危險)하고 심하면 죽게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이 약하고 편관(偏官)이 강한데 대운(大運)에서 재관(財官)운을 만나면 재화(災禍)가 많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과 편관이 같이 강할 때 대운(大運)에서 식신(食神)운을 만나면 발복한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이 강하고 인성(印星)이 많을 때는 재성(財星)이 용신이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일간이 약하고 식상(食傷)이 많을 때는 인성(印星)이 용신이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양인(羊刃)이 없으면 권위가 없고 크게 현달하기 어렵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약하고 관살(官煞)이 강하면 안면(顔面)에 흉터가 생기고 성질은 흉포(凶暴)하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강하고 시상(時上)의 편관이 순수하면 좋은 운명이고 귀(貴)하게 되며 늦게 귀한 자식을 둔다.
시상편관격(時上偏官格)이 양인가살(羊刃加煞)되었으면 대귀격(大貴格)이되며 권위가 높고 자손이 귀하게 된다. 시상편관격(時上偏官格)은 의리를 중하게 여기고 애국지사, 군인, 경찰의 고위직이 된다.
▶ 예시(例示)
甲 戊 甲 戊
寅 午 寅 子
己 戊 丁 丙 乙
未 午 巳 辰 卯
▶ 위의 사주는 무토(戊土)일주가 인월(寅月)에 출생하여 인중(寅中)갑목의 칠살(七煞)이 양쪽에 투출(透出) 되었다. 다시 시지(時支)에 칠살이 건록을 맞아 칠살(七煞)의 기세(氣勢)가 왕성하다.
그런데 기쁜 것은 지지(地支)가 인오(寅午)화국으로 반합(半合)되어 목생화(木生火)하고 다시 화생토(火生土)하니
살인상생(煞印相生)이 잘 되어 이것을 칠살용인격(七煞用印格)이라 한다. 대운(大運)이 남방(南方)화운(火運)에 소년
출사(出仕)하여 부귀(富貴)를 누렸다.
▶편관격(偏官格)의 대운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강하고 식신의 제복(制伏)이 있는데 식신이 강할 때 식신을 합하는 대운에는 흉화가 발생한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강하고 식신의 제복(制伏)이 있는데 식신이 약할 때 대운에서 식신운에 발복(發福)한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약하고 관살(官煞)이 강하면 인성(印星)운에 좋고 관살운(官煞運)에 사망(死亡)한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약하고 관살(官煞)이 강하면 인성(印星)운에 좋고 재성(財星)운에 파직하고 패망(敗亡)한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도 강하고 관살(官煞)도 강하면 인성(印星)운이나 비겁(比劫)운에 발달한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강하고 관살(官煞)이 약하면 재관(財官)운 에 좋고 인성(星)이나 식상(食傷)운은 나쁘다.
편관격(偏官格)이 일간이 강하고 양인이 있으면 일간과 편관을 비교하여 약한오행을 도와주는 운이 길하다.
편관격(偏官格)이 대운에서 관살(官煞)이 혼잡되면 흉화(凶禍)가 발생한다.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이 사주 천간에 재성(財星)이 투간(透干)되면 재격(財格)이라고 한다. 갑일간(甲日干)이 월지의 지장간에 있는 기토(己土)나 무토(戊土)가 천간에 투출하면 재격이 된다.
정재(正財)와 편재(偏財) 의 작용이 대동소이(大同小異)하므로 구분하지 않고 열거 한다.
재격(財格)은 일간이 신왕(身旺)함을 원칙으로 한다. 신왕하면 식신과 상관이 좋다. 재격(財格)은 재성(財星)을 극하는 겁재(劫財)와 형충(刑沖)을 꺼린다.
정재는 나의 재산이 되는 고로 사주 지지(地支)에 있음을 좋아하고 일간이 강해야 된다. 만약 신약하면 오히려 천간(天干)에 나온 것이 좋다. 정편재를 막론하고 일간이 약하다면 재물이 있어도 활용할 수 없다.
재격(財格)의 양일간(陽日干) 사주에 겁재를 보면 배우자를 극하게 되고 음일간(陰日干)사주에 겁재를 보면 아버지를 일찍 이별하게 된다. 재격(財格)의 사주에 재성이 공망(空亡)이라면 부모와 아내덕이 없고 재산이 모이지 않는다.
재격(財格)의 사주에 비견과 겁재가 많으면 군비쟁재(群比爭財)가 되어 재물을 놓고 여럿이 다투는 형상이니 가난하게 사는 운명이다.
재격(財格)의 사주에 재성(財星)이 많고 신약(身弱)하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라 하여 부옥빈인(富屋貧人)이라 하니 집은 커도 재물이 쌓이지 않는다. 유산(遺産)을 물려 받아도 지키기 어렵고 전부 탕진하여 곤궁해진다.
편재가 정재보다 재능이 있고 활동적이며 재물을 융통성 있게 잘 활용하니 정재보다 나으며 편재는 중인의 재물이므로 신왕하면 큰 재물을 모으게 되며 정재는 내가 노력하여 얻게 되는 봉급과 가정의 재산과 같다.
정재격(正財格)은 근면 성실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며 한가지 일에 집착하여 일을 하고 가정생활에 충실하다. 돈을 아껴쓰고 인색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신왕하면 자기노력으로 재산을 일으킨다. 조상의 유업(遺業)을 물려 받거나 전답을 물려받아 가업을 이어 나가게
된다. 성격이 완만하고 보수 적이며 개방된 것을 싫어 한다.
편재격(偏財格)은 재물을 가볍게 생각하고 요령이 좋고 융통성이 많아 여자관계가 복잡하다 고향을 떠나 타향에서 자수성가하며 신약하면
재물이 모이지 않는다 풍류를 즐기고 가정을 돌보지 않는 습성이 있다. 성격이 급하고 초조한 형상이고 운이 오면 발재(發財)가
빠르다.
편재격(偏財格)은 비견을 두려워 하고 정재격(正財格)은 겁재를 두려워 한다.
▶ 재격(財格)의 대운
재격(財格)에 일간이 약하고 재성(財星)이 많을 때 대운에서 재관운(財官運)을 만나면 모든 일에 화환(禍患)이 생기고
인패재패(人敗財敗)하여 되는 일이 없다. 중말년(中末年)에 비겁(比劫) 대운을 만나면 갑자기 발복하여 많은 재산을 모으게 된다.
재격(財格)에 일간이 강하고 관성(官星)이 있을 때 대운에서 재운(財運)을 만나면 크게 발달한다. 재격(財格)에 일간이 강하고 재성(財星)이 강할 때 대운(大運)에서 재운(財運)을 만나면 크게 발달한다.
재격(財格)에 일간이 강하(降下)고 식상이 있고 비겁(比劫)이 많을 때 대운에서 재운(財運)을 만나면 크게 발달한다. 대운에서 다시 비겁(比劫)운을 만난다면 가족이 흩어지거나 재산이 탕진되고 심하면 죽게 된다.
재격(財格)에 일간이 강하고 재성(財星)을 용신으로 할 때 대운에서 사주와 대운과 삼합되어 재국(財局)이 되면 크게 발달한다.
재격(財格)에 일간이 약하고 식상(食傷)의 설기(洩氣)와 관성(官星)이 있을 때는 인성(印星)이 용신인데 대운에서 인성(印星)을 만나면 그 기간에는 발달한다.
재격(財格)에 일간이 강하고 칠살(七煞) 있을 때 식신(食神) 제살(制煞)이 용신이고 일간이 약하면 양인(羊刃) 합살(合煞)이 좋다.
▶ 예시(例示)
丁 丁 癸 己
未 巳 酉 未
丁 戊 己 庚 申
卯 辰 巳 午 未
♠ 위의 사주는 정화(丁火)일간이 유월(酉月)에 생하여 사화(士禍)와 양쪽의 미토(未土)에 뿌리를 박고 시간(時干)의 정화가
도우니 일간이 강하다. 월간의 계수(癸水)칠살은 년간(年干)기토의 식신(食神)에게 극을 많이 받고 있다. 계수(癸水)를 용신으로
못잡고 식신생재(食神生財)가 용신이 된다. 대운 토(土)운에 권세가 하늘높이 올랐으며 대운 정묘(丁卯)운에
기토(己土)유금(酉金)이 모두 극(剋)과 충(庶)을 받아 운명을 달리하였다.
丁 戊 癸 癸
巳 子 亥 酉
丁 戊 己 庚 辛 壬
巳 午 未 申 酉 戌
♠ 위의 사주는 무토(戊土)일간이 해월(亥月)에 생하여 地支에 해(亥), 자(子)의 수(水)가 있고 酉金이 도우며 천간에 두 개의
계수(癸水)가 있으니 재성(財星)이 왕하다. 일간 무토(戊土)는 시지(時支)에서 생조(生助)를 받고 시간(時干)정화의 생을
받으나 약하다. 그래서「재성용인격(財星用印格)이 된다. 모름지기 재다신약(財多身弱)한 사주는 대운에서 인성(印星)과
비겁(比劫)운을 기다린다.
대운 신유(辛酉)경신(庚申)에 가난하고 어려움을 못 면하다가 기미(己未) 무오(戊午) 정사(丁巳) 30년간 많은 재물이 쌓여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득비리재(得比利財)의 사주다.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이 사주 천간에 인성(印星)이 투출(透出)하면 인성격(印星格)이 된다. 인성(印星)이란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인성(印星)은 생하는 정관이나 편관을 좋아한다. 가장 꺼리는 것은 인성을 극제(剋制)하는
재성(財星)이다.
인성격(印星格) 정인이 많으면 부모와 인연이 없어 일찍 고향을 떠나고 만년(晩年)이 외롭다. 인성격(印星格)은 문장 교육 계통으로 출세하고 명예를 드날린다.
인성격(印星格)에 생시 십이운성(十二運星)이 강하면 귀자(貴子)를 얻고 자식의 효양(孝養)을 받는다. 인성격(印星格)은 복력(福力)이 많고 어려서부터 부모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자라며 조상의 은덕(恩德)으로 유산도 물려 받는다.
인성격(印星格)은 인성(印星)이 많지 않아야 되고 가장 좋은 것은 관성(官星)을보고 재성(財星)을 만나지 말아야 한다. 인성(印星)이 식상(食傷)을 극제(剋制)하고 관성을 보호 해야 좋다.
인성격(印星格)은 일간이 약하고 인수만 있으면 생기(生氣)가 끊어지지 않으며 사람됨이 착하고 사주에 관성(官星)이 있다면 청렴하고 남에게 베프는 자비심이 많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많다면 재성(財星)으로 인성(印星)을 제거하거나 비겁(比劫)으로 일간을 돕는 것이 좋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강하고 인성(印星)이 많다면 식상(食傷)으로 설기(洩氣)해야 되고 재성(財星)을 도와야 한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용신인데 사주에 칠살(七煞)이 있다면 가살위권(假煞爲權)이라 하여 비록 칠살 이지만 관성이 된다. 또는 살인상생(煞印相生)이라고도 하여 순탄하게 발전한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용신인데 재성(財星)을 보지 않아야 격국(格局)이 순수하고 가히 성공이 가능하다. 만약 사주에 재성이 인성을 극제하면 한가지도 이루기 어렵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강하고 사주천간에 비겁(比劫)이 많다면 재성(財星)을 용신으로 인성을 극해야 좋다.
▶인성격(印星格)의 대운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강하고 인성이 많으며 사주 천간에 관성(官星)이 있다면 대운에서 재성(財星)운을 만나야 인성을 제거하고 좋고 식상(食傷)운도 재성을 생해주니 좋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허약한데 관성이 천간에 투출 되었다면 살인상생(煞印相生)이되고 대운에서 인성운이나 비겁(比劫)운을 좋아한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허약한데 관성 및 식상(食傷)인성이 천간에 투출되었다면 인성이 용신이 되고 대운에서 인성(印星)비겁(比劫)을 좋아하고 재성과 식상을 꺼린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강하고 인성이 많으며 사주에 재성이 있다면 재성이 용신이고 대운에서 식상운과 재성운에 발복한다. 관성과 비겁운은 꺼린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허약한데 관성이천간에 투출되었다면 대운에서 재성(財星)을 만난다면 재성이 관성을 생하고 관성이 일간을 공격하니 반드시 죽게 된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허약한데 사주에서 재성이 인성을 극할 때 대운에서 비겁(比劫)운을 만나면 병이 되는 재성을 극(剋)하니 발복(發福)하게 된다.
인성격(印星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허약한데 관성이 천간에 투출되었다면 관인상생(官印相生)하여 인성이 용신인데 만약 관성(官星)이 많게 되면 오히려 일간을 극하니 인성운이 아니면 발복이 어렵다.
▶ 예시(例示)
丙 乙 己 丙
子 亥 亥 子
乙 甲 癸 壬 辛 庚
巳 辰 卯 寅 丑 子
♠ 위의 사주는 을목(乙木)일간이 해월(亥月)에 생하여 해중(亥中)에 임수(壬水)와 갑목(甲木)이 천간에 투출 되지 않았으나 해중(亥中)임수가 득시(得時)하고 득지(得地)하여 마땅히 인성격이 되었다.
일간인 을목은 지지(地支)의 네 개의 물로 생을 받고 두 개의 해중(亥中)갑목의 도움을 받으
니 일간이 왕하다. 년간과 시간(時干)의 두 개의 병화가 투출하고 월상(月上)의 편재가 인성을 제압한다. 추운 나무가 태양을
향하고자 하니 편재가 용신이다. 격국이 순수하고 좋으나 병화(丙火)와 기토(己土)가 뿌리가 없다. 용신이 허약하니 대운(大運)에서
수목운으로 흐르니 뜻은있었으나 펴지를 못하였다.
癸 丙 辛 辛
巳 子 卯 丑
丁 丙 乙 甲 癸 壬
酉 申 未 午 巳 辰
♠ 위의 사주는 여자의 명조(命造)이다 병화(丙火)일간이 묘월(卯月)에 생하여 시지(時支)에 건록(建祿)이되어 목화(木火)가
왕성하다. 그러나 재관이 천간에 세 개가 있고 지지(地支)에 통근(通根)이되니 일간이 오히려 약해졌다. 그런고로 월령의
묘목(苗木)이 용신이 된다. 사주에 관살의 혼잡이 없고 식상과 재성, 관성, 인성이 서로 순환상생이 되니 격국이 순수하고
복록(祿)이 있는 사주이다.
대운 갑오(甲午)운에 부군(夫君)이 연속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을미(乙未)운에 승승장구하고 사람됨이 검소하고 충직하여 부모에게
효순하며 병신(丙申)운에 향리에서 후학을 가르키다 정유(丁酉)대운에 용신을 충(庶)하니 세상을 하직하였다.
상관은 월지(月支)의 지장간(支藏干)의 오행이 천간에 투출되어 상관이 되는 것을 말한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강하면 재성(財星)을 용신으로 하여 식상(食傷)생재(生財)하는 것이 좋다. 이때 비겁(比劫)과 인수는 꺼린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약하면 인성(印星)을 용신으로 하며 관인상생(官印相生)이 좋고 재성(財星)은 꺼린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없으면 비겁(比劫)을 취하여 용신을 잡고 인성(印星)과 비겁운이 좋고 재관(財官)운을 꺼린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강하고 재관(財官)이 없을때는 식상이 용신이 된다. 관성(官星)과 인성(印星)을 꺼린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강하고 비겁(比劫)이 많으며 재성(財星)과 상관이 약하면 관성(官星)을 용신으로 하는데 상관(傷官)을
꺼리는데「상관견관(傷官見官) 위화백단(爲禍百端)이라하여 상관이 정관을 보면 흉화(凶禍)가 많이 생긴다는 말이다.
화토상관의상진(火土傷官宜傷盡)
금수상관희견관(金水傷官喜見官)
목화상관관요왕(木火傷官官要旺)
토금상관거반성관(土金傷官去反成官)
수목상관재관양견시위환(水木傷官財官兩見始爲歡)始爲歡)이라 하니 참고하기 바람.
▶ 상관격(傷官格)의 대운
상관격(傷官格)이 일간이 강하면 재성이 용신인데 대운에서 식상(食傷)과 재성(財星)운에 크게 발복한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약하면 인성(印星)이 용신인데 대운(大運)에서 비겁(比劫)운과 인성(印星)운에 발복한다. 식상(食傷) 및 재성(財星)운에 용신을 극제(剋制)하니 가난하지 않으면 요절(夭折)한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강하고 재관이 없을 때는 신왕하여 의지할데가 없다고 하였다. 대운에서 재성(財星)을 보지 않으면
발복한다. 다시 대운(大運)비겁 식상운을 만나면 오행이 막혀 고독하고 어렵게 생활한다. 육친의 정이 없고 종교인이 되거나 스님,
수녀, 도사, 예술가가 된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강하고 사주에 재관이 없으면 상관(傷官)이 용신인데 대운에서 식상운과 재성운을 좋아한다. 인성(印星)운을 만나면 용신이 극제(剋制)를 받아 흉화(凶禍)가 발생한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약하고 상관(傷官)이 많고 사주에 인성이 없으면 대운에서 상관(傷官)운을 만나면 일간(日干)이 설기(洩氣)가 태과(太過)하여 사망하게 된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이 없으면 비겁(比劫)이 용신인데 대운(大運)에서 비겁(比劫)운과 인성(印星)운을 좋아하고 재관운을 꺼린다.
▶ 예시(例示)
辛 戊 丁 辛
酉 午 酉 酉
壬 癸 甲 乙 丙
辰 巳 午 未 申
♠ 위의 사주는 무토(戊土)일주가 유월(酉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금(辛金)이 둘이 투출되고 지지(地支)에 유금(酉金)이 셋이
있으니 금의 상관(傷官) 세력이 왕성하다. 월간(月干)과 일지(日支)오화(午火)가 용신(用神)이 되어 상관 을 극(剋)하고 일간 을
돕는다. 이것이 토금상관(土金傷官)에 인수(印綬)가 용신이 된다는 말이다.
대운 을미(未), 갑오(甲午), 목화(木火)의 운에 소년 등과(登科)하고 자기의 뜻을 펴며, 관운이 형통하였다. 대운
계사(癸巳), 임진(壬辰)에 금의 세력이 커지고 용신인 정화가 극제(剋制)를 받아 어려움을 격고 세상을 하직하였다.
己 庚 壬 壬
卯 辰 子 戌
戊 丁 丙 乙 甲 癸
午 巳 辰 卯 寅 丑
♠ 위의 사주는 경금(庚金)일주가 자월(子月)에 생하여 금수상관(金水傷官)격이 되었다. 천간에 임수(壬水)가 둘이 투출되고 지지에
상관이 두 개가 암장되었다. 또 자진(子辰) 반합으로 수국(水局)을 이루니 상관의 세력이 극히 왕성하다. 시간(時干)에
기토(己土)는 그 세력이 약하고 일간이 신약(身弱)하다. 금수상관(金水傷官)격에는 희견관(喜見官)이라하여 간성을 보아야 되는데
술중(戌中) 정화가 미약하다.
대운 상관과 재성운에 용신을 극제하니 큰뜻을 펴지 못하였고 병(丙)운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진(辰)운에 잠시 운이 막히고
정사(丁巳) 무(戊)운에 관직이 높이 오르고 오(午)운에 충(庶)을 만나 파직(罷職)당하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이 식신이 되고 사주 천간에 투출되면 식신격(食神格)이 된다. 식신격이 파격이 안되면 수복(壽福)이
겸비된다고 하여 수성(壽星)이라고도 한다. 식신격은 일간과 식신이 모두 강함을 좋아한다. 그리되면 재성(財星)을 보거나
재성(財星)대운에 크게 발전한다.
설령 대운에서 칠살(七煞)을 만나더라도 식신(食神)으로 살을 제거(除去)하게 되니 두려워 하지 않는다. 식신격은 일간이 약한 것을 제일 두려워한다. 식신은 재성(財星)을 생해주니 일간의 기운을 과다하게 설기(洩氣)한다.
그래서 일간이 무력(無力)해져 복(福)을 누릴 수 없다. 식신격이 일간이 강하고 비겁(比劫)이 많을 때 식신이 설기(洩氣)용신이 되는데 재성(財星)을 보게 되면 크게 발전하나 편인을 보면 가장 두려워한다.
식신격은 일간이 약한 것을 제일 두려워한다. 식상(食傷)이 왕하면 인성을 보아야 한다. 사주에 관성도 꺼리지는 않는다. 이 때는
재성이 인성을 극파하는 것이 제일 두렵다. 식신격이 일간이 약하고 관살(官煞)이 많은 즉, 살인상생(煞印相生)하여 인성이 용신이
된다. 이때도 재성(財星)을 제일 두려워 한다.
식신격이 일간이 약하고 재성(財星)이 많은즉 비겁(比劫)이 용신인데 이때 관살(官煞)은 기신(忌神)이 된다. 식신격이 일간이
강하고 재성(財星)이 많은즉 관성(官星)이 용신이 되는데 이때 인성은 기신(忌神)이 된다. 식신격에 식신이 하나나 둘까지도 좋은데
그이상은 오히려 상관으로 변하니 흉의 작용을 한다.
식신격은 비겁(比劫)의 생조(生助)함을 기뻐한다. 식신은 건왕(健旺)함을 좋아하고 편인을 꺼린다.
▶ 식신격의 대운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강하고 비견(比肩)겁재(劫財)가 많으면 식신생재(食神生財)가 용신인데 대운에서 식신운을 만나면 크게
발복한다. 단 사주에 편인(偏印)이 있으면 아주흉하여 일명 신왕무의(身旺無依) 즉, 너무 신왕하여 의지할데가 없다는 뜻으로
걸인(乞人)이되거나 요절하게 된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강하고 인성(印星)이 많으면 재성(財星)이 용신인데 대운에서 식상(食傷)이나 재성(財星)운에 발복하게
된다. 만약 대운에서 비겁(比劫)운을 만나 재성을 극제하면 용신이 깨어지니 재물이 흩어지고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약하고 식신(食神)이 많거나 상관과 혼잡되어 있으면 인성(印星)이 용신인데 대운에서 인성운을 만나면 가히 발복하고 만약 식상(食傷)운이나 재성(財星)운으로 향한다면 가난치 않으면 일찍 죽게 된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태약(太弱)하고관살이 많은데 사주에 인성(印星)이 없으면 식신(食神)으로 제살(制煞)함이 용신인데 대운에서 편인(偏印)을 만나면 가난치 않으면 일찍 죽게 된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강하고 사주에 재성(財星)이 없는데 대운에서 재성운을 만나도 크게 발복하지 못한다 그러나 사주에
재성(財星)이 있으면 크게 발전한다. 이때 대운에서 편인(偏印)운과 비겁운에는 재산이 탕진되고 흉화가 발생한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강하고 재성(財星)은 많은데 식상이 약할 때 대운은 식상과 재성운이 좋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약하고 사주에 인성(印星)과 편관이 같이 있으면 식신은 용신이 안되니 인성으로 살인상생(煞印相生)이 용신이 된다. 대운애서 가장 꺼리는 것은 재성(財星)운이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약하고 편관이 있고 사주에 인성이 없을 때 일간이 자동적으로 약하게 되니 대운에서 인성으로 화살생신(化煞生身)하면 좋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강하고 사주에 인성(印星)이 있고 식신(食神)이 태왕하면 대운 인성(印星) 운에 오행(五行)이 유통이 안되어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식신격(食神格)이 일간이 강하고 사주에 인성(印星)이 있고 식신(食神)이 태왕한데 사주 천간에 재성(財星)이 있으면 용신이 되는데 대운에서 식상(食傷)운과 재성운에 발복하고 인성운을 가장 두려워한다.
금수식신(金水食神)은 희견관(喜見官)이라 병정(丙丁)화(火)를 좋아하고,
목화식신(木火食神)은 희견인(喜見印)이라 임계(壬癸)수(水)를 좋아하고,
수목식신(水木食神)은 희견재(喜見財)라 병정(丙丁)화(火)를 좋아한다.
▶ 예시(例示)
乙 甲 庚 丙
丑 申 寅 寅
丙 乙 甲 癸 壬 辛
申 未 午 巳 辰 卯
♠ 위의 사주는 甲木일간이 인월(寅月)에 생하여 건록격이 되었다. 년지에 건록이되고 시간(時干)에 겁재가 돕고 있으니
일간(日干)이 강하다. 편관(偏官)이 월상(月上)과 일지(日支)에 있고 그 힘이 약하지 않다. 다행한 것은 년간에 식신이 투출하여
경금(庚金)칠살(七煞)을 제거하니 식신이 용신이 되었다.
대운에서 신(辛)운에 식신과 간합(干合)이 되어 식신이 극(剋)을 받아 어렵게 공부하였으며 많은 고생을 하였다 대운이
남방(南方)계사(癸巳) 대운에 고시에 합격하고 갑오(甲午)을 미(未)운에 목화통명(木火通明)되어 순탄하게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신(申)운에 인신(寅申)양충 하여 마침내 사망하였다.
己 乙 丁 丁
卯 亥 未 亥
辛 壬 癸 甲 乙 丙
丑 寅 卯 辰 巳 午
♠ 위의 사주는 乙木 일간이 미월(未月)에 생하여 월령(月令)을 얻지 못했다. 천간에 두 개의 정화(丁火)가 투출되고 식신의 힘이
강하다. 다행한 것은 지지(地支)에 해묘미(亥卯未)삼합 목국(木局)이 되어 일간을 도우니 일간과 식신이 모두 강하다. 고로
해중(亥中)에 임수(壬水)를 조후용신(調候用神)으로 사용한다.
대운에서 갑진(甲辰)운에 물이많은 창고가 들어오니 과거급제를 하고 대운 수목(水木)운에 자기의 뜻을 펴고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인생말년을 편안하게 보냈다.
종격은 내격이 아닌 외격에 속한다.
외격은 대개 강한 자를 누르고 약한 자를 돕는
억부법 용신을 쓰지만 종격은 이와 정반대다.
즉, 사주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재, 관살, 인성,
비겁 등이 차지하고 있어 그 세력이 심히 왕성해서
다른 오행으로 도저히 그것을 억제할 수 없을 경우
그 왕강한 세력에 고분고분 따르게 되는 것을
종격이라고 한다.
외격을 특별격이라고도 한다. 외격은 그 수가 상당히 많은데,
종격(從格) : 종관살격(從官煞格), 종재격(從財格), 종아격(從兒格:종 식상격), 종왕격(從旺格), 종강격(從强格:종세격)
화격(化格) : 갑기(甲己)합화토(合化土)격, 을경(乙庚)합화금(合化金)격, 병신(丙申)합화수(合化水)격, 정임(丁壬)합화목(合化木)격, 무계(戊癸)합화화(合化火)격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을 종왕(從旺), 전왕(專旺)이라고도 한다. 곡직(曲直)격, 염상(炎上)격, 종혁(從革)격, 윤하(潤下)격, 가색(稼穡)격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 : 목화상생격, 수목상생격, 화토상생격, 토금상생격, 금수상생격, 토목 상성(相成)격, 토수상성격, 수화상성격, 화금상성격, 금목상성격
암충격(暗庶格) : 경일생(庚日生)지지(地支)에 신자진(申子辰)이 전부 있을 때
병오(丙午)일생이 오(午)가 많을 때 충(沖)자(子)
정사(丁巳)일생이 사(巳)가 많을 때충(沖)해(亥)
경자(庚子)일생이 자(子)가 가 많을 때 충(沖)오(午)
임자(壬子)일생이 자(子)가 가 많을 때 충(沖)오(午)
신해(辛亥)일생이 해(亥)가 가 많을 때 충(沖)사(巳)
계해(癸亥)일생이 해(亥)가 가 많을 때 충(沖)사(巳)
암합격(暗合格) : 갑진(甲辰)일 진(辰)이 많을 때 유(酉)와 합하여 암합격(暗合格)이 된다.
무술(戊戌)일 술(戌)이 많을 때 묘(卯)와 합하여 암합격(暗合格)이 된다.
계묘(癸卯)일 묘(卯)가 많을 때 술(戌)과 합하여 암합격(暗合格)이 된다.
계유(癸酉)일 유(酉)가 많을 때 진(辰)과 합하여 암합격(暗合格)이 된다.
건록격(建祿格) : 갑일(甲日)인월생, 을일(乙日)묘월(卯月)생, 병일(丙日)무일(戊日)사월(巳月)생,
정일(丁日)기일(己日)오월(午月)생, 경일(庚日)신월(申月)생, 신일(辛日)유월(酉月)생, 임일(壬日)해월(亥月)생,
계일(癸日)자월(子月)생
양인격(羊刃格) : 갑일(甲日)묘월(卯月)생, 경일(庚日)유월(酉月)생, 임일(壬日)자월(子月)생
잡기(雜氣)격 : 잡기 재관격, 잡기 인수격, 잡기 상관격
금신격(金神格)
비천록마격(飛天祿馬格)또는 암충격(暗庶格)또는 정란차격(井欄叉格)
도충격(倒庶格)또 암충격(暗庶格)
자요사격(子遙巳格)
축요사격(丑遙巳格)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
육을서귀격(六乙鼠貴格)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
형합격(刑合格)
합록격(合祿格)
일덕격(日德格)
일귀격(日貴格)
괴강격(魁 格)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
육갑추건격(六甲趨乾格)
청룡복형격(靑龍伏形格)
백호지세격(白虎持勢格)
주작승풍격(朱雀乘風格)
구진득위격(勾陳得位格)
현무당권격(玄武當權格)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
공록격(拱祿格)
공귀격(拱貴格)
일록귀시격(一祿歸時格)
사위순전격(四位純全格)
천원일기격(天元一氣格)
복덕격(福德格)
일덕수기격(日德秀氣格)
양간불잡격(兩干不雜格)
오행구족격(五行俱足格)
지진일자격(支辰一字格)
일인격(日刃格)
자오쌍포격(子午雙包格)
금백수청격(金白水淸格)
목화교휘격(木火交輝格)
화금주인격(火金鑄印格)
화토협잡격(火土夾雜格)
종관살이라 하는 것은 일간이 극히 신약(身弱)하고 지지(地支)에 일체의 뿌리가 없어야 한다. 사주가 일간(日干)을 제외하고 거의
관살(官煞)로만 이루어 져야 이 격에 속한다. 사주에 인성(印星)과 비겁(比劫) 건록과 양인(羊刃)의 도움이 없어야 된다.
사주에 재성이 있어 관살을 생해 주는 것은 좋다. 만약 식상(食傷)이 있으면 파격이 된다. 음일간은 생하는게 하나쯤 있어도 쉽게 종(從)을 하지만 양(陽)일간은 생하는게 하나만 있어도 종(從)을 하지 않는다.
대운에서는 재성과 관성운을 좋아하고 식상운을 두려워한다. 만약 사주에 재성이 있으면 식상운도 꺼리지 않는다. 대운 인성(印星)운과
비겁 건록(建祿) 양인(羊刃)운은 관살을 설기(洩氣)하고 일간을 도우며 재성을 극하니 두려워 하고 위험하며 패망하게 된다.
예시
丙 庚 壬 丁
戌 午 寅 卯
♠ 위의 사주는 경금(庚金)일주가 인월(寅月)에 생하여 실령(失令)하고 지지(地支)에 인오술(寅午戌)화국(火局)을 이루고 천간에
병화(丙火)칠살이 투출하였다. 년간(年干)과 월간(月干)에 정임(丁壬)이 합화목(合化木)되어 년지(年支)월지(月支)에 뿌리를 두고
칠살(七煞)을 돕는다.
일간 경금이 생(生)을 전혀 받지 못하고 극제(剋制)만 받고 있으니 자기의 세력을 버리고 칠살에게 항복하고 칠살에 생살여부를 의지하게 되니 칠살이 강해져야 나도 좋은 법이니 칠살인 병화가 용신(用神)이 된다.
대운에서도 일간을 도와주는 인성(印星)과 비겁(比劫)운이 가장 나쁘다. 힘이 없어 항거불능 상태에서 원조자가 오니 칠살을 피해
원조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나 원조자도 힘이 없어 둘다 크게 흉운을 만나는 형상이다. 그러니 대운에서도 목화(木火)운에 크게 발전하며
무관(武官) 즉 군인, 경찰, 법관계자, 의사, 스포츠맨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종재격이란 일간이 극히 신약(身弱)하고 지지(地支)에 일간을 생조하는 일체의 뿌리가 없어야 한다. 사주가 일간(日干)을 제외하고
거의 정재(正財)나 편재(偏財)로만 이루어 져야 이 종재격에 속한다. 한점의 인성과 비겁(比劫)건록(建祿)양인이 없어야 된다.
음(陰)일간은 쉽게 종(從)을 하나 양(陽)일간은 생하는 오행이 하나만 있어도 종(從)하지 않는다. 종재격은 대운에서 식상운과 재성(財星)운을 좋아하고 비겁, 건록, 양인은 중도에서 의지가 변하고 크게 두려워하는 운이다.
己 丙 乙 庚
丑 申 酉 戌
♠ 위의 사주는 丙火일주가 유월(酉月)의 금(金)이 왕성한 계절에 생하여 실령(失令)하고 천간에 을경(乙庚) 합화금(合化金)이 되었고, 지지(地支)에 신유술(申酉戌)금(金)의 방합(方合)이 되었다.
시주(時柱)의 기축(己丑)은 습한 흙으로서 토생금(土生金)하여 금(金)을 생하니 일간의 병화(丙火)가 생하는 오행이 하나도 없고
전부 금(金)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니 나의 병화 세력을 버리고 재성(財星)인 금에게 의지하니 종재격(從財格)이라 한다. 이런고로
대운에서 식상(食傷)과 재성(財星)운 가장 좋고 관성(官星)운까지도 좋으나 인성(印星)운과 비겁(比劫)운은 가장 두려워한다.
종아격이란 종식상격(從食傷格)이라고도 한다. 일간이 극히 신약(身弱)하고 지지(地支)에 일간을 생조하는 일체의 뿌리가 없어야
한다. 사주가 일간(日干)을 제외하고 거의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으로만 이루어 져야 이 종아격(從兒格)에 속한다.
사주에 인성(印星)비겁, 건록, 양인이 없어야 된다. 사주에 재성(財星)이 있어도 꺼리지 않으며 관성(官星)을 보면 파격(破格)이
되어 꺼린다. 대운에서는 식상(食傷)운, 비겁(比劫)운, 재성(財星)운을 좋아하고 인성운과 관살운을 가장 두려워한다.
丙 癸 壬 丁
辰 卯 寅 卯
♠ 위의 사주는 계수(癸水)일주가 인월(寅月)에 생하여 실령(失令)하고 지지(地支)에 인묘진(寅卯辰) 목의 방합이 되었다.
년간(年干)과 월간(月干)에 정임(丁壬)이 합화목(合化木)되어 년지(年支)월지(月支) 일지(日支)에 뿌리를 두고 나무의 기운으로만
뭉쳐있다.
일간 계수(癸水)가 설기(洩氣)만 되고 전혀 생(生)을 받지 못한다. 그리고 나무의 세력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어 부득이(不得已)
나의 일간세력을 버리고 식상(食傷)을 따라가게 되었다. 그래서 용신(用神)은 식상(食傷)이 된다. 대운에 식신(食神)운이 가장
좋고 인성(印星)운이 가장 나쁘다.
종강격이란 일간이 너무나 강하고 사주가 나를 돕는 오행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인성(印星)이나 비겁(比劫)만으로 구성된 사주가 종강격이다. 사주에 재관(財官)이 하나도 없어야 된다.
대운에서 비겁운 건록, 양인운이 제일좋고 인성운도 좋다. 식상운은 강한 인성과 충극(庶剋)이 되니 반드시 두려워하고 재성운이 가장 나쁘다. 관성운은 살인상생(煞印相生)이 되니 흉하지는 않다.
甲 丙 甲 丙
午 午 午 午
♠ 위의 사주는 丙火일주가 오월(午月)의 불이 왕성한 계절에 생하여 득령(得令)하고 천간에 병화와 갑목(甲木)이 일간을 도우며 지지(地支)에 네 개의 양인(羊刃)이 일간을 도우니 일간인 병화가 지극하게 왕성하다.
그 왕성한 불의 세력을 거스릴 수가 없어 일간의 성질인 불로서 세력이 모이니 종강격(從强格)이라고 한다. 용신은 목화(木火)가 되고 대운에서도 목화(木火)운이 제일 좋고 금수(金水)운을 싫어 한다.
종왕격이란 일간이 극히 왕성하고 사주가 비겁(比劫)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건록(建祿)이나 양인(羊刃) 혹시(或是) 인성이 있는 사주가 종왕격(從旺格)이다. 관살의 극제(剋制)가 없어야 된다.
대운은 비겁운과 인성운에 좋고 사주에 인성(印星)이 약하면 식상(食傷)운도 좋다. 관살(官煞)운은 흉화(凶禍)가 생기며 재성(財星)운도 군비쟁재(群比爭財)되어 죽을 고비를 넘기게 된다.
乙 甲 乙 癸
亥 寅 卯 卯
♠ 위의 사주는 갑목(甲木)일주가 묘월(卯月)의 목(木)이 왕성한 양인(羊刃) 계절에 생하여 득령(得令)하고 천간에 을(乙)계(癸)가 투출하였다. 그러니 일간(日干)이 지극히 왕성하여 그 왕성한 세력을 따르니 목이 용신이 된다.
종세격이란 일간이 지지(地支)에 뿌리가 없고 인성이나 비겁, 건록, 양인 등이 힘이 없고 사주에 관살(官煞)이나 식상(食傷)이
강해서 일간이 이를 감당할 수 없을 때 그 세력을 비교하여 오직 재성 비겁,식상중에서 그 강한세력을 따른다.
대운에서는 재성운이 제일 좋고 간성운이 그 다음이고 식상운이 그 다음이다. 대운 비겁, 건록, 양인운은 반드시 흉하게 된다.
甲 癸 壬 丙
寅 巳 辰 戌
♠ 위의 사주는 계수(癸水)일주가 진월(辰月)에 생하여 실령(失令)하고 지지(地支)에 진술(辰戌)이 상충(相庶)되어 있고 천간의
임계(壬癸)가 뿌리가 없다. 나머지는 지지(地支)에 재성(財星)과 관성(官星)과 식상(食傷)이 모두가 왕성하다.
식상은 생재(生財)하고 재성은 생관(生官)하니 일간 계수가 무근(無根)하고 다만 왕성한 것을 쫓아 종(從)을 하니 재성(財星)이
모두 의 오행을 풀어주니 용신(用神)이 된다. 대운은 식상운인 목(木)운과 재성운인 화(火)운 관성운인 토(土)가 좋다.
가종격이란 사주의 구성이 일간이 극히 약하고 약간의 일간을 돕는 오행이 있을 때 이것을 가종이라 하는데 이는 대운에서 나를 생하는 오행을 제거할 때 가종(假從)이 변하여 진종(眞從)이 된다.
▶ 예시
癸 戊 己 乙
亥 辰 卯 卯
甲 乙 丙 丁 戊
戌 亥 子 丑 寅
♠ 위의 사주는 무토(戊土)일주가 묘월(卯月)에 생하여 실령(失令)하고 지지(地支)에 묘(卯)가 두 개가 있고 해(亥)가
묘(卯)를 돕고 천간에 계수가 을목을 돕고 있으니 나무의 세력이 강하다. 일간이 쉽게 관살로 종(從)할 것 같으나 일간 무토가
일지(日支)진에 뿌리가 되고 월간 기토(己土)가 도우나 비록 기토(己土)를 을목 관성이 극하니 일간이 미약하다.
월간 기토와 진토가 종(從)하는데 방해가 되어 진종(眞從)이 아니고 가종(假從)이라 한다. 대운 병자(丙子)운에 병화는 사주원국의
계수가 극제하고 자(子)의 재성이 득지(得地)하니 갑자기 공무원 채용에 합격하고 을해(乙亥)운에 을목이 기토, 무토 를 극제하니
용신이 힘을 얻었다. 연속으로 승진하고 고급관리가 되었다. 계유(癸酉)대운에 묘유(卯酉)상충으로 파직되고 낙향 하였으며
패망하였다.
▶가종격(假從格)의 주의할 사항
일간이 태약하고 관살이 강하며 사주에 비겁이 약하게 있을 때 종살(從煞)이 진종(眞從)이 안되고 가종이 된다. 대운에서 관살운에 발복한다.
일간이 태약하고 관살이 강하며 사주에 식상(食傷)이 있을 식상으로 인하여 진종(眞從)이 안되니 대운에서 재성(財星)운에 식상을 설기하고 관성을 도우니 가히 발복을 할 것이다.
일간이 태약하고 관살이 강하며 사주에 인성(印星)이 약하게 있을 때 인성이 일간을 돕고 관성을 설기(洩氣)하니 병이 되었다
이로인해 종살(從煞)이 진종(眞從)이 안되고 가종(假從)이 된다. 대운에서 재성(財星)운에 약한 인성을 극제하니 발복한다.
일간이 태약하고 재성이 강해서 일간이 감당할수 없을 때 사주에 비록 인성이 약하게 있어도 강한 재성(財星)이 인성을 극제한다해도 진종(眞從)은 안된다. 대운에서 재성을 만나면 크게 발복한다.
일간이 태약하고 재성(財星)이 강하며 사주에 비겁이 약하게 있을 때 약한 비겁이 있어서 종재가 진종(眞從)이 안되고 가종이 된다. 대운에서 식상운과 관살운에 발복한다.
일간이 태약하고 재성(財星)이 강하며 사주에 관살이 설기(洩氣)하니 종재(財)가 진종(眞從)이 안되고 가종이 된다. 대운에서 식상(食傷)운에 크게 발복한다.
일간이 태약하고 식상(食傷)이 강하며 사주에 인성(印星)이 약하게 있을 때 인성이 약하게 일간을 생조하고 재성이 극하니 종아(從兒)가 진종(眞從)이 안되고 가종이 된다. 대운에서 재성운에 발복한다.
일간이 태약하고 식상(食傷)이 강하며 사주에 관살(官煞)이 약하게 있을 때 종아(從兒)가 진종(眞從)이 안되고 가종이 된다. 대운에서 식상운에 발복한다.
▶ 예시
乙 己 丁 壬
亥 卯 未 寅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申
♠ 위의 사주는 기토(己土)일주가 미월(未月)에 생하여 득령(得令)하고 지지(地支)에 해묘미(亥卯未)목국(木局)을 이루고
인목(寅木)이 있어 모두 나무로 되어 있다. 시간(時干)에 을목칠살이 투출되고 년간(年干)과 월간(月干)의 정임(丁壬)이
합화목(合化木)하여 사주가 일간을 제외하고 전부 나무인 칠살(七煞) 목(木) 기운으로 이루어 졌다. 그 강함을 가히 거역할 수가
없다. 반대로 일간은 지극히 쇠약하니 편관으로 종(從)을 해야 된다.
이것을 진종(眞從) 종살격이라고 한다. 대운 신(辛)운까지 금극목하여 용신을 극제(剋制)하니 어려움이 말로 다하지 못하였으나
해(亥)운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해 임자(壬子)운에 재성(財星)이 관성을 생조하니 큰 뜻을 얻었고 계축, 갑인, 을묘 30년동안
재성이 칠살을 생하여 직급이 승승장구하며 외무부 장관을 지낸 모 장관의 사주다.
대운 임술년에 81세로 경신(庚申) 신유(辛酉)년에 왕성한 금(金)이 목(木)을 극제하니 종살격에는 식상(食傷)운을 가장 두려워 하는바 투병 생활을 하다 세상을 하직하였다.
* 위의 사주는 진종(眞從)인 종살격(從煞格)의 사주다. 아래의 가종(假從) 가종살격(假從煞格)사주와 비교하여 무슨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기 바란다.
甲 乙 癸 己
申 丑 酉 巳
丙 丁 戊 己 庚 辛 壬
寅 卯 辰 巳 午 未 申
♠ 위의 사주는 을목(乙木)일주가 유월(酉月)에 생하여 실령(失令)하고 지지(地支)에 사유축(巳酉丑) 삼합 금국(金局)이 되고
시지에 신금(申金)이 있어 지지(地支)가 모두 관성으로 되어있다 천간에는 년간의 편재가 지지의 관성을 돕고 계수(癸水)를
극제한다.
시간(時干)에 갑목(甲木)겁재가 일간을 돕고 월상 계수가 시지(時支)에 통근하고 일간을 생하나 기토 의 극을 받으니 용신으로 하지
못하고 시상(時上) 갑목인 겁재가 뿌리가 없다. 그래서 오히려 종(從)을 하는데 갑목과 계수가 격(格)의 병(病)이 되었다.
그래서 진종(眞從)이 안되고 가종(假從)이 되었다.
대운(大運)에 남방(南方)사오미(巳午未)운에 대운 천간에 금(金)이 개두(蓋頭)되어 재산상 손해를 보았고 무(戊)운에
토생금(土生金)으로 살을 생하니 재산을 수만금을 모았다. 정묘(丁卯)운에 왕한 것을 충극(沖剋)하니 망신을 당하고 인생을
마감하였다.
*위의 사주는 가종(假從)인데 일간을 돕는 약한 겁재와 편인이 있어 종(從)하는데 방해신이 있어 가종(假從)이 된 것이다.
이 격이 이루어지려면 반드시 일간과 합하는
자가 월일시간중에 있고 그 합화된 五行 월에
출생하여 사주 가운데 화신과 같은 오행이 간지에
많아야 한다.
예를들어 갑일주의 합은 기(己)인데 기토(己土)가
월간이나 시간에 있으면 갑기(甲己)가 합하여
화신은 토(土)이니 월령에 辰戌丑未의 土를 만나고
기타에 戊辰戌丑未의 土를 많이 만나면 이것이
화격이다.
갑일(甲日) 생이 기시(己時)나 기월(己月)에 태어나고 혹은 기일(己日)생이 갑시(甲時)나 갑월(甲月)에 생하고 토(土)계절인 진술축미(辰戌丑未)월에 태어나고 지지(地支)가 모두 토(土)의 기운이 강해야 된다.
간지(干支)에 갑을(甲乙)이나 인묘(寅卯)목의 극제(剋制)가 없어야 되고 년간(年干) 월간에 일간과 쟁합(爭合) 투합(妬合)이 없어야 된다.
예시
己 甲 壬 戊
巳 辰 戌 辰
을일(乙日)경시(庚時)나 경월(庚月)에 태어나고 혹은 경일(庚日)에 을(乙)시 나 을(乙)월에 생하고 생월 지지(地支)에
사유축(巳酉丑)이나 신(申)월에 생하고 간지(干支)에 화(火)의 오행이 없어야 된다. 혹은 년간(年干)이나 월간(月干)에
화(火)가 없어야 하며 일간(日干)에 쟁합(爭合)이나 투합(妬合)이 되면 안된다.
예시
庚 乙 癸 甲
辰 丑 酉 申
♠ 위의 사주는 을일(乙日)간이 時干에 경금(庚金)과 합하여 을경(乙庚)합화금(合化金)이 되었고 지지(地支)가 유월(酉月)에
생하여 유축(酉丑)반합(半合)금국(金局) 이되고 진유(辰酉)합금(合金)이 되며 년지에 신금(申金)이 있어 모두 금으로 구성되었다.
사주간지에 사주를 극(剋)하는 화(火)가 한점도 없고 천간에 쟁합(爭合)과 투합(妬合)이 없으므로 화금격(化金格)진격(眞格)이 되었다.
병일(丙日)신(辛)시나 신(辛)월에 태어나고 혹은 신일(辛日)에 병(丙)시 나 병(丙)월에 생하고 생월 지지(地支)에
신자진(申子辰)이나 해(亥)월에 생하고 수(水)를 극하는 토(土)의 오행이 없어야 된다. 혹은 년간(年干)이나 월간(月干)에
토(土)가 없어야 하며 일간(日干)에 쟁합(爭合)이나 투합(妬合)이 되면 안된다.
예시
壬 辛 丙 甲
辰 丑 子 辰
♠ 위의 사주는 신일(辛日)간이 월간(月干)병화(丙火)와 합하여 병신(丙辛) 합화수(合化水)가 되었고 지지(地支)가 자월(子月)에 생하여 신자진(申子辰)삼합 수국(水局)이 되고 천간에 임수(壬水)가 투출되어 모두 물로 구성되었다.
사주간지에 사주를 극(剋)하는토(土)가 한점도 없고 지지(地)에 두 개의 진토(辰土)는 합하여 수국이 되었고 설령 합이 안되어도 진토(辰土)는 습토(濕土)이며 진흙이 잔뜩 있는 니토(泥土)이기에 토극수(土剋水) 가 어렵다.
천간에 쟁합(爭合)과 투합(妬合)이 없으므로 화수격(化水格)진격(眞格)이 되었다.
정일(丁日)임(壬)시나 임(壬)월에 태어나고 혹은 임일(壬日)에정(丁)시나 정(丁)월에 생하고 생월 지지(地支)에
해묘미(亥卯未)목국(木局)이나 인월(寅月) 에 생하고 목(木)을 극하는 금(金)의 오행이 없어야 된다. 혹은 년간(年干)이나
월간(月干)에 금(金)이 없어야하며 일간(日干)에 쟁합(爭合)이나 투합(妬合)이 되면 진격(眞格)이 안된다.
예시
癸 壬 丁 己
卯 午 卯 卯
♠ 위의 사주는 임일(壬日)간이 월간(月干)정화(丁火)와 합하여 정임(丁壬)합화목(合化木)이 되었고 지지(地支)가 묘월(卯月)에
생하여 묘(卯)가 세 개가되고 사주간지에 사주를 극(剋)하는 금(金)이 한점도 없고, 천간에 쟁합(爭合)과 투합(妬合)이 없으므로
화수격(化水格)진격(眞格)이 되었다.
무일(戊日)생이 계(癸)시나 계(癸)월에 태어나고 혹은 계일(癸日)생이무(戊)시나 무(戊)월에 생하고 생월 지지(地支)에
인오술(寅午戌)화국(火局)이나 사월(巳月)에 생하고 간지(干支)에 화(火)를 극하는 수(水)의 오행이 없어야 된다. 혹은
년간(年干)이나 월간(月干)에 수(水)가 없어야 하며 일간(日干)에 쟁합(爭合)이나 투합(妬合)이 되면 진격(眞格)이 안된다.
예시
甲 癸 戊 丙
寅 巳 戌 戌
♠ 위의 사주는 계수(癸水)일간이 월간(月干)무토(戊土)와 합하여 무계(戊癸) 합화화(合化火)가 되었고 지지(地支)가
술월(戌月)에 생하여 인술(戌)반합이 되었고 사화(巳火)가 있으며 천간에 목화(木火)가 투출하였다. 사주간지에 사주를
극(剋)하는수(水)가 한점도 없고 천간에 쟁합(爭合)과 투합(妬合)이 없으므로 화화격(化火格)의 진격(眞格)이 되었다.
명리학(命理學)에서는 격국이 생명이다.
고서(古書)에 "격국호상인적구체(格局好像人
的軀體), 용신호상인적정신(用神好像人的精神)"
이라 하여 격국은 사람의 몸과 같고, 용신은 사람
의 정신과 같다고 했다.
격국은 나의 생활습성이나 나의 직장과 같아서
격국을 모르고서는 운명을 판단하기가 어렵다.
팔자의 격은 사람의 이름에 비유 되기도 한다.
다음은 외격에 해당되는 것들이다.
월지가 일간의 건록이 되면 건록격이 된다. 건록격은 신왕(身旺)하기 때문에 사주 천간에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을 제일
기뻐한다. 재관(財官)이 강하면 용신으로 사용하면 극히 부귀하게 된다. 재관이 너무 많아 일간 보다 강하면 재관(財官)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대운에서 인성과 비겁운에 발복하게 된다. 그러므로 건록격은 재성, 관성, 인성이 구비되면 최상격이 된다.
1. 건록격 용신잡는 법
건록격이 인성이 많으면 재성이 용신이 된다. 이 때 재성은 극제를 받으면 안되고 건왕해야 함.
건록격이 비겁이 많으면 관성이 용신이 된다.
건록격이 관성이 많고 일간이 관성보다 강할 때는 재성이 용신이 된다. 만약 일간보다 관성이 강할 때는 인성이 용신이 된다.
건록격이 식상(食傷)이 많으면 재성이 용신이 된다. 이 때 식상이 일간보다 강하면 인성이 용신이 된다.
건록격이 재성(財星)이 많고 재성이 일간보다 강하면 비겁(比劫)이 용신이 된다. 만약 일간이 재성보다 강하면 식상(食傷)으로 통관(通關)하여 용신을 정한다.
건록격이 관성(官星), 식상(食傷), 재성(財星)이 일간보다 상대적으로 많으면 인성이 용신이 된다.
2. 건록격과 대운(大運)
건록격이 일간이 강하면 조상의 유업을 받기가 어렵다. 평생 재물을 보아도 모이기가 어렵다. 그 대신 병은 적고 수명은 길다
대운에서 비겁운을 만나면 재물은 흩어지고 아내를 극한다. 만약 재성이 용신이라면 대운 관성운에 발귀(發貴)하게 된다. 대운
재성운에는 발재(發財)하게 된다. 재성과 관성이 건왕(健旺)한 즉, 부귀쌍전(富貴雙全)하게 된다. 사주에 재관이 없고 대운에서만
만난다면 그 역량이 크지 않다.
건록격이 재관이 태왕(太旺)하면 상대적으로 일간이 약해지니 마땅히 인성과 비겁(比劫)이 용신이 된다.
건록격이 사주에 재관이 없으면 조업(祖業)을 이어받지 못하나 대운에서 재관운에는 자수성가(自手成家) 하게 된다.
건록격이 사주에 관성이 있으면 일간이 강할 때 관성이 용신이 되고 대운에서 재성(財星)을 만나면 발복한다.
마,건록격에 칠살이 일간보다 강할 때 식신 제살(制煞)이 용신이다. 식상이 강하고 칠살이 약할 때는 대운에서 재성운을 만나야 통관(通關)이 되어 발복하게 된다. 만약 칠살이 강하고 식상이 약하면 대운에서 식상운에 발복한다.
건록격이 일간이 강하면 사주에서 재관을 보지 않았다면 식상이 용신이다. 대운에서 재성(財星)운에 발복한다.
종합적으로 건록격은 인성이 많으면 재성이 용신이고 식상운과 재운에 좋다. 인성과 비겁운은 꺼린다.
건록격에 비겁이 많으면 관성이 용신이니 재관운이 좋고 인성과 비겁운을 꺼린다.
건록격에 식상이 많고 일간이 약하면 인성(印星)이 용신이니 인성, 비겁운이 좋고 식상과 재성운을 꺼린다. 일간이 강하면 재성이 용신인 즉, 식상운을 좋아하고 인성과 비겁운을 꺼린다.
건록격에 재성이 많고일간이 약하면 비겁이 용신이니 인성 비겁운이 좋고 재관운을 꺼린다. 건록격에 재성이 많고 일간이 강하면 관성이 용신이니 재관운이 좋고 인성과 비겁운을 꺼린다.
건록격(建祿格)실례(實例)
庚 甲 壬 壬
午 寅 寅 辰
戊 丁 丙 乙 甲 癸
申 未 午 巳 辰 卯
♠ 위의 사주는 갑목(甲木)일간이 월령(月令)에 건록(建祿)이 되고 일지에 좌록(坐祿)이 되며 천간에 두 개의 임수가 일간을
생조(生助)하니 임수는 진토(辰土)에 뿌리가 된다. 시상(時上)경금칠살이 시지(時支)의 오화(午火)에 극을 받고 인오(寅午)반합
화국(火局)으로 불의 세력이 강하니 경금 칠살이 월령에 실령하고 극제(剋制)를 받아 무력하다.
시지(時支)오화(午火)가 칠살(七煞)을 제거하고 일간을 설기(洩氣)하는 용신이 된다. 이것을 「왕자의설(旺者宜洩) 불의극(不宜剋) 」이라 하여 왕성한자는 마땅히 설기하는게 좋고 극(剋)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는 말이다.
대운 계묘, 갑진운에 용신을 극하니 공부는 많이 하였으나 뜻대로 이루지는 못햇고 사오미(巳午未)남방(南方)운에 상업을 하여 수백억을 벌었으며, 신(申)운에 건록을 충(沖)하니 이 세상을 하직하였다.
일행득기격은 일간에 강왕한 세력을 말하는데 일명 전왕(專旺)이라고도 한다. 지지(地支)에 회합(會合)을 하거나 방향의 합인
방국(方局)이 되거나 하고 일간이 강왕되어야 한다. 사주에 관성(官星), 식상(食傷), 재성(財星)을 보지 말아야 하고 그 세력이
오로지 전왕(專旺)해야 이 격에 속한다.
일행득기격은 인성(印星)과 비겁(比劫), 건록(建祿), 양인(羊刃)을 좋아한다.
▷ 일행득기격의 좋고 나쁨을 논해보자.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은 일간이 월령(月令)을 얻는게 가장 좋고 일간의 기운이 생시에 인종(引從)하여 사절(死絶)되지 않아야 하며 사주가 충극(庶剋)이 없어야 좋고 인성이 일간을 생해주어야 좋다.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은 일간이 월령(月令)을 얻는게 좋고 일간의 기운이 지지(地支)에 삼합(三合)이나 방합(方合)을 하는게
좋다. 이때 삼합보다는 방합이 더 좋다. 일간이 월령(月令)을 얻지 못해도 지지(地支)에 본기(本氣)가 삼합되거나 방합이 되고
일간을 극제하는 오행이 없으면 격이 성립된다.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은 일간이 월령(月令)을 얻는게 가장 좋고 일간의 기운이 생시에 인종(引從)하여 사절(死絶)되지 않아야 하며 사주가 충극(庶剋)이 없어야 좋고 인성이 일간을 생해주어야 좋다.
가. 가색(稼穡)격
:무토(戊土), 기토(己土)의 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진술축미(辰戌丑未)월에 생하여야 한다. 지지(地支)에
진술축미(辰戌丑未)가 전부 있거나 전부 토(土)로 구성되며 갑을 (甲乙)과 인묘(寅卯)의 극을 받지 않아야 가색격이 된다.
화토(火土)의 생조(生助)함을 좋아하고 목의 극을 꺼린다. 사람됨이 신용이 있고 성실하며 경거망동 하지 않는다.
나. 곡직(曲直)격
:갑목(甲木), 을목(乙木)이 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인묘진(寅卯辰)월에 생하여야 한다. 지지(地支)에 인묘진(寅卯辰)이나
해묘미(亥卯未)가 있어야 되며 전부 목(木)으로 구성되며 경신(庚辛)과 신유(申酉)의 극을 받지 않아야 곡직격이 된다. 사주에
식상(食傷)이 있으면 식상이 용신이 된다. 사람됨이 남에게 많이 베플고 사람이 인자하다.
다. 종혁(從革)격
:경신(庚辛)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신유술(申酉戌)월에 생하여야 되고 지지(地支)에 신유술(申酉戌)의 기운과
사유축(巳酉丑)삼합 금국(金局)이 되어야 하고 사주에 병정(丙丁)이나 오미(午未)의 극을 받지 않아야 종혁(從革)격이 성립된다.
사람됨이 정의롭고 의리가 많으며 약한자를 돕는다.
라. 윤하(潤下)격
:임계(壬癸)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해자축(亥子丑)월에 생하여야 되고 지지(地支)에 해자축(亥子丑) 기운과 신자진(申子辰)삼합
수국(水局)이 되어야 하고 천간에 경신(庚辛)의 생조가 있으면 좋다. 사주(四柱)에 무기(戊己)나 술미(戌未)의 극을 받지
않아야 윤하(潤下)격이 성립된다. 사람됨이 두뇌가 좋고 꾀가 많다.
마. 염상(炎上)격
:병정(丙丁)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사오미(巳午未)월에 생하여야 되고 지지(地支)에 사오미(巳午未)의 기운과
인오술(寅午戌)삼합 화국(火局)이 되어야 하고 사주(四柱)에 임계(壬癸)나 해자(亥子)의 극을 받지 않아야 염상(炎上)격이
성립된다. 사람됨이 예의가 바르고 대인관계를 중요시한다.
양인격은 갑일(甲日)간에 묘월(卯月)생, 경일(庚日)간에 유월(酉月)생, 임일(壬日)간에 자월(子月)생이 된다.
* 병일(丙日)과 무일(戊日)의 오월(午月)생은 오중(午中)기토가 있어 상관격(傷官格)과 인수(印綬)격으로 분류한다.
양인격은 월령에 왕(旺)한 기운이 있으므로 일간이 강하다. 양인인 겁재(劫財)를 관성이 충하니 관성을 좋아한다. 양인(羊刃)은
강하기 때문에 칠살(七煞)이 합하여 관성이 된다면 흉이 변하여 복을 얻게 된다. 다만 양인격에 칠살을 용신으로 한다. 이때
식상으로 칠살을 극제(剋制)하면 흉하다.
양인격에 칠살이나 시강이 강할 때는 일간이 오히려 약해지니 이때는 인성으로 도와야 한다. 양인이라고 모두 나쁜 것은 아니다.
서(書)에 이르데「물위양인시흉물(勿謂羊刃是凶物) 재다살당역위귀(財多煞黨亦爲貴)라 하여 재성과 살성이 있으면 귀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 이르데【양인위병기(羊刃爲兵器), 무살난존(無煞難存), 살위군령(煞爲軍令), 무인불존(無刃不存)이라 하여, 양인(羊刃)은
강하여 병기(兵器)가 되고 양인은 칠살(七煞)이 없으면 존재하기가 어렵다고 하여 양인가살(羊刃加煞)이라한다.
칠살(七煞)은 군령(軍令)이니 양인(羊刃)이 없으면 존재하기 어렵다고 하여 양인은 강하기 때문에 칠살의 극제(剋制)를 받아야 흉포(凶暴)함이 약해져 중화(中和)됨이니 귀하게 된다고 한다.
또【살무인불위(煞無刃不威), 인무살불현(刃無煞不顯)】칠살격(七煞格)이 양인이 없으면 위엄이 없고 양인이 칠살(七煞)이 없으면
현달하지 못한다고 하여 양인과 칠살의 긴밀한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사주에 양인가살(羊刃加煞)이 되면 명장(名將)이 된다
1. 양인격(羊刃格) 용신잡는 법
양인격에 인성이 많으면 일간이 지극히 왕(旺)하므로 재성(財星)이 용신이 된다.
양인격에 비겁(比劫)이 많으면 일간이 지극히 왕(旺)하므로 관성(官星)이 용신이 된다.
양인격에 관살(官煞)이 많으면 재성(財星)이 용신이 된다.
양인격에 식상(食傷)이 많으면 재성(財星)이 용신이 되어 식신생재(食神生財)가 좋다.
양인격에 재성(財星)이 많으면 관살(官煞)로서 비겁을 제거해야 좋고 사주에 관성(官星)이 없을 때에는 식신으로 통관(通關)용신이 좋다.
양인격에 양인이 많으면 식상으로 설기(洩氣)용신이 좋고 간살은 사주에 인성이 없으면 쓰지 못한다.
2. 양인격의 대운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대운에서 양인을 삼합이나 방합을하면 일간이 더욱 강해져 아주 흉하다.
양인격이 일간이 중화(中和)되고 사주가 인성과 양인이 용신일 때 대운에서 양인을 합하거나 충(沖)하면 용신이 극을 받아 흉하게 된다.
양인격이 양인이 거듭 있고 사주에 관성이 있으면 대운에서 재성운을 만나면 부귀하게 된다.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대운에서 양인이나 비겁운을 다시 만나면 아내와 자식을 극하게 된다.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사주에 칠살과 양인이 있으면 양인합살(羊刃合煞)이라 하여 칠살과 양인을 동시에 제거하게 되니 좋으나 대운에서 야인이나 칠살을 다시 만나면 크게 흉하다.
만약 사주에 양인은 있고 칠살이 없으면 대운에서 칠살운을 만나고, 인성이 사주에 있으면 살인상생(煞印相生)으로 통관이 되나 인성이 없으면 큰 재해(災害)가 생긴다.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관성이나 재성을 용신으로 하는데 대운에서 칠살을 만나면 관살(官煞)이 혼잡되어 형제간에 떨어져 살고 부인과 이별하며 관재(官災)구설(口舌)을 심히 겪게 된다.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사주에 양인이 많은데 대운에서 양인을 다시 만나거나 양인을 충(沖)하게 되면 재물손실이 많게 되며 심하면 처참하게 사고를 당하거나 죽게 된다.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관성이 용신인데 대운에서 재관운을 만나면 발복(發福)하게 된다.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칠살이 용신인데 칠살이 약할 때는 대운에서 재성운이나 칠살운에 발복한다.
양인격이 일간이 강하고 사주에서 양인과 재성이 동등할 때 대운에서 식상운을 만나면 통관이 되어 오행이 유통되니 중화(中和)를 이루어 부귀하게 된다.
양인격(羊刃格)실례(實例)
丙 庚 丁 辛
子 午 酉 卯
辛 壬 癸 甲 乙 丙
卯 辰 巳 午 未 申
♠ 위의 사주는 庚金일주가 유월(酉月)에 생하여 천간(天干)신금이 투출되고 일간이 득령(得令)되고 겁재가 도우니 일간이 지극히 왕(旺)하다. 일지(日支)오화(午火)와 시간(時干)병화가 관살혼잡(關煞混雜)이 되었다.
이때 시상의 병화를 용신으로 삼아 일간이 강할 때는 극제를 하는게 용신이나 년지묘는 묘유(卯酉)상충으로 제거되고 월간 정화는 힘이
무력하고 자오(子午)상충으로 오화가 약하니 대운에서 사오미(巳午未)남방운과 동방 목운에 용신이 힘을 얻으니 왕위(王位)를 얻어
60년간 재위(在位)하였다.
庚 庚 己 壬
辰 子 酉 申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巳 辰 卯 寅 丑 子 亥 戌
♠ 위의 사주는 庚金일주가 유월(酉月)에 생하여 천간(天干)경금(庚金)이 두 개나 투출되고 일간이 득령(得令)되고 정인(正印)이 도우니 일간이 지극히 왕(旺)하다. 사주에 나를 극하는 관성(官星)이 없으니 식신이 용신이 된다.
대운에서 해(亥)운에 용신이 힘을 얻으니 공부를 많이 하였으며 임자운에 연속적으로 과거에 급제하고 소년기에 자기의 뜻을 폈다.
축운에 용신이 합하니 재산이 흩어지고 상처(喪妻)를 하였다. 갑인, 을묘운에 재성이 생발(發)하니 20년간 부귀를 누리다가
정사(丁巳)대운에 왕신(旺神)을 범하니 세상을 하직하고 말았다.
양신성상격은 사주가 두가지 오행으로 구성되어 이간(二干)과 이지(二支)같이 붙어 서로 상생(相生)하거나 서로 상극(相剋)이 되는 것을 말한다.
1. 서로 상생하는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서로 상생하되 서로 균형이 맞아야 되며 균형이 맞지 않으면 일간보다 인성이 강하면 종강격으로 잡아야
되고 일간이 인성(印星)이나 식상보다 강하면 종왕격으로 보아야 되고, 식상이 일간보다 강하면 종아(從兒)격으로 보아야 되니 균형을
이루었나 살펴야 된다.
수목(水木)상생
:일간이 생해주거나 일간이 생을 받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수목으로 구성되고 수목의 세력 균형이 비슷하고 토금(土金)을 보지 않아야 격이 성립된다.
목화(木火)상생
:일간이 생해주거나 일간이 생을 받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화목으로 구성되고 화목의 세력 균형이 비슷하고 금수(金水)를 보지 않아야 격이 성립된다.
화토(火土)상생
:일간이 생해주거나 일간이 생을 받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화토(火土)로 구성되고 화토의 세력 균형이 비슷하고 수목(水木)을 보지 않아야 격이 성립된다.
토금(土金)상생
:일간이 생해주거나 일간이 생을 받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토금(土金)으로 구성되고 토목의 세력 균형이 비슷하고 목화(木火)를 보지 않아야 격이 성립된다.
금수(金水)상생
:일간이 생해주거나 일간이 생을 받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금수(金水)로 구성되고 금수의 세력 균형이 비슷하고 화토(火土)를 보지 않아야 격이 성립된다.
2. 서로 상극(相剋)하는 양신성상격(兩神成象格)
만약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상극이 되는데 붙어 있지 않거나 세력균형이 맞지 않으면 마땅히 관살격이나 양인 건록격으로 보아야 된다.
일간의 극하는 힘이 재성(財星)보다 강하면 건록(建祿)이나 양인(羊刃)격으로 보아야 되고 일간의 극하는 힘이 재성(財星)보다 약하면 재성격(財星格)으로 보아야 되니 균형이 되었나 잘 살펴야 된다.
수화(水火)상극
:일간을 극제(剋制)하거나 일간이 다른 오행을 극하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붙어있고 양신(兩神)이 비슷할 때 토(土)를 보지 않아야 이 격이 성립된다.
금목(金木)상극
:일간을 극제(剋制)하거나 일간이 다른 오행을 극하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붙어있고 양신(兩神)이 비슷할 때 화(火)를 보지 않아야 이 격이 성립된다.
수토(水土)상극
:일간을 극제(剋制)하거나 일간이 다른 오행을 극하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붙어있고 양신(兩神)이 비슷할 때 목(木)을 보지 않아야 이 격이 성립된다.
화금(火金)상극
:일간을 극제(剋制)하거나 일간이 다른 오행을 극하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붙어있고 양신(兩神)이 비슷할 때 수(水)를 보지 않아야 이 격이 성립된다.
목토(木土)상극
:일간을 극제(剋制)하거나 일간이 다른 오행을 극하는 것. 이간(二干), 이지(二支)가 붙어있고 양신(兩神)이 비슷할 때 금(金)을 보지 않아야 이 격이 성립된다.
3. 양신성상격의 대운
가. 상생(相生)되는양신성상격의 대운
나를 생해주는격은
일간이 득령(得令)하고 인성이 실령(失令)하니 종왕격(從旺格)과 유사하니 비겁, 건록, 양인이 용신이 된다. 대운에서 재관(財官)운을 꺼린다.
만약 일간이 실령(失令)하고 인성이 득령(得令)하면 종강과 유사하니 인성이 용신이고 비겁과 건록, 양인을 좋아한다. 대운에서 재관운을 꺼린다.
내가 생해주는 격은
일간이 득령(得令)을 하거나 실령(失令)을 하거나 종아격(從兒格)과 유사하니 대운에서 재성, 비겁, 건록, 양인, 식상은 좋고 관살은 꺼린다.
나. 상극(相剋)되는 양신 성상격의 대운
내가 극을하든 극을받든 모두 인성(印星)과 식상(食傷)중 사주의 구성을 보고 정하게 된다. 나를 극하는격은 인성이 통관이 되어 용신이 되고 비견, 건록, 양인도 좋아하고 가장 꺼리는 것은 식상과 관살이다.
내가 극하는 격은 식상으로 설기하고 재성을 생하는 통관 용신이 된다. 가장 꺼리는 운은 관살과 비겁, 양인이 된다. 대운에서 통관, 식상을 극하는 인성운에는 대흉하다.
내가 생하는 격의 실례(實例)
辛 戊 辛 戊
酉 戌 酉 戌
丙 乙 甲 癸 壬
寅 丑 子 亥 戌
♠ 위의 사주는 무토(戊土)일주가 유월(酉月)에 생하여 이간(二干)이지(二支)가 서로 대치되어 양신성상격이 되었다. 신금(辛金)이
설기(洩氣)용신이 된다. 대운 계해운에 고시에 합격하고 갑자, 을축운에 관직이 순탄하고 병인운에 왕성한 병화가 용신을 합하니
젊은 나이에 세상을 하직하였다.
나를 생하는 격의 실례(實例)
乙 丁 乙 丁
巳 卯 巳 卯
庚 辛 壬 癸 甲
子 丑 寅 卯 辰
♠ 위의 사주는 정화(丁火)일주가 사월(巳月)에 생하여 이간(二干)이지(二支)가 서로 대치되어 양신성상격이 되었다. 마땅히 인성이 용신이 되며 염상(炎上)격이 되었다.
대운 계묘운에 살인상생(煞印相生)이 되어 크게 꺼리지는 않았으나 묘(卯)운에 용신이 힘을 얻어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고 임인운에
임수가 정화와 합하여 합화목(合化木)하니 나쁘지 않고 인(寅)운에 용신이 힘을 얻으니 벼슬길이 순탄(順坦)하였다. 신축운에 용신을
극하니 세상을 하직하였다.
내가 극하는 격의 실례(實例)
癸 戊 癸 戊
亥 戌 亥 戌
戊 丁 丙 乙 甲
辰 卯 寅 丑 子
♠ 위의 사주는 무토(戊土)일주가 해월(亥月)에 생하여 이간(二干)이지(二支)가 서로 대치되어 양신성상격이 되었다. 재성이
득지(得地), 득시(得時) 또 득세를 하고 일간은 득지(得地)는 하였으나 시(時)를 얻지 못하였으니 재성이 일간보다 강하여
술중(戌中)정화(丁火)가 용신이 된다.
대운 갑자, 을축운에 용신을 극하니 뜻을 얻지를 못하였으나 대운 병인(丙寅)운에 용신이 힘을 얻으니 연속적으로 고시에 합격하니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정묘운에 관인상생(官印相生)되어 무(戊)운까지 관직에서 순탄하게 부귀와 명예를 얻었으며 진(辰)운에는
진술(辰戌)상충(相沖)으로 어려움이 다소 있었으며 기움에 득비리재(得比利財)로 순탄하다가 사(巳)운에 왕신을 범하니 세상을
하직하였다.
나를 극하는격의 실례(實例)
己 癸 己 己
未 亥 未 亥
癸 甲 乙 丙 丁 戊
丑 寅 卯 辰 巳 午
♠ 위의 사주는 계수(癸水)일주가 미월(未月)에 생하여 이간(二干)이지(二支)가 서로 대치되어 양신성상격이 되었다. 그런데 사주에
칠살이 득시(得時), 득지(得地), 득세(得勢)를 하여 칠살이 극히 왕(旺)하다. 일간은 득시(得時) 및 득세는 하였으나 득지
하지는 못했다.
반면 칠살이 일간보다 강하고 일간을 생하는 금(金)이 없으니 해미(亥未) 반합(半合) 목국(木局)이 되어 미중(未中) 을목이
제살(制煞)이 용신이다. 대운 무오, 정사, 병진운에 천신만고(千辛萬苦)의 어려움을 겪고 대운 을묘(乙卯)운에 용신이 힘을 얻어
관직을 얻고 갑인(甲寅)운까지 순탄하다가 축(丑)운에 용신이 충(沖)을 당해 세상을 하직 하였다.
비천록마격은 경자(庚子)일, 임자(壬子)일, 이 자월(子月)에 생하고 자(子)가 세 개 이상이면 오(午)의 관성(官星)을 암(暗)으로 충(沖)하여 온다고 한다.
신해(辛亥)일, 계해(癸亥)일생이 해월(亥月)에 생하여야 되고 사주에 해(亥)가 세 개 이상이어야 하고 사(巳)를 암(暗)으로 충(沖)하여 온다고 한다.
병오(丙午)일생이 오(午)가 세 개 이상이면 자(子)를 암(暗)으로 충(沖)하여 온다고 한다.
정사(丁巳)일생이 사(巳)가 많으면 해(亥)를 암(暗)으로 충(沖)하여 온다고 한다.
사주에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이 없어야 격이 성립된다.
지지(地支)에 삼합(三合)이나 육합(六合)이 있어서는 안된다.
지지(地支)에 인(寅)이나 술(戌) 한자만 있으면 격이 좋고 현달한다.
대운에서 금수운을 좋아하고 남방운은 크게 꺼린다.
▷ 종합하여 보면 비천록마격(飛天祿馬格)과 암충격(暗沖格)등은 옛날의 학설이고 계해(癸亥),임자(壬子), 병오(丙午),
정사(丁巳)일 등이 지지(地支)에 해(亥), 자(子), 오(午), 사(巳) 등이 많으면 신왕한 것은 의심할 필요가 없다. 사주에
관성이 없다면 종강격(從强格)이나 종왕격(從旺格)이나 식상, 재격으로 보는게 맞을 것이다.
경자(庚子)일, 신해(辛亥)일 생이 지지(地支)에 자(子)와 해(亥)가 많으면 사주가 신약하고 식상이 강해 종아격(從兒格)이나
금백수청(金白水淸)격 이 될 수 있으며 관성(官星)이 없어야 된다고 하나 어떤 때는 관성이 조후(調候)로서 필요한 때가 많다.
대운에서는 관성이 들어오면 쇠신(衰神)이 왕신(旺神)을 범(犯)하니 왕신(旺神)이 격노(激怒)하여 모두 꺼리게 되는 것이다.
▶ 정란차격(井欄叉格)
경자(庚子)일, 경신(庚申)일, 경진(庚辰)일, 신월(申月)에 생하고 지지(地支)에 신자진(申子辰)삼합수국이 되는 것을
정란차격(井欄叉格)이라고 한다. 신자진(申子辰)이 인오술(寅午戌)의 관성을 암(暗)충하여 경금의 관성에 해당된다.
만약 병정(丙丁)의 관성이 투출(透出)되었거나 지지(地支)에 사오(巳午)가 있으면 관성이 나타나 있는 것이므로 충(沖) 을 기대(期待)할 수 없기 때문에 정란차격(井欄叉格)이 성립 안된다.
▷ 종합해보면 경신(庚申), 경자(庚子), 경진(庚辰)삼일이 신월(申月)이나 진월(辰月), 자월(子月)에 생하여 지지(地支)에
신자진(申子辰)이 전부있으며 관성을 보지 않아야 격이 성립된다고 하는데, 경일(庚日)이 신월(申月)에 나면 금왕(金旺)하기 때문에
사주에 화토(火土)를 보지 않으면 금백수청격(金白水淸格)이나 건록격인가를 살펴야 한다.
경일(庚日)이 자월(子月)에 생하면 일간보다 식상(食傷)이 강하기 때문에 상관격(傷官格)이나 종아격(從兒格)인가를 살펴야 되며,
경일(庚日)이 진월(辰月)에 생하면 천간에 을목(乙木)이나 계수(癸水)가 나오면 내격(內格)인가를 살펴야 된다.
금백수청격(金白水淸格)을 제외하고는 양신생성격, 종아격, 식상격,모두 재성(財星)을 좋아하고 재성(財星)운에 발복한다. 그러나
관성은 좋아하지 않는다. 일간이 강해서 관성을 얻어 조후로 삼거나 또는 용신으로 삼으면 귀하게 된다. 위의 삼일은 내격(內格)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이 된다.
잡기격이란 진술축미(辰戌丑未)의 네자를 말하는데 계절(季節)에 생하여야 된다. 실제로 이것은 하나의 격국이 아니고 사주를 보는
추명(推命)법에 불과한 것이다. 종화격(從化格)을 제외 하고는 모두 월지(月支)에 소장된 재성(財星), 관성(官星),
인성(印星), 상관(傷官)이 천간에 투출 되어야 바야흐로 격이 성립되는 것이니,
예를들면,
갑일(甲日)생이 진월(辰月)에 생하여 천간에 무토(戊土)가 투출하면 편재격(偏財格)이되고 계수(癸水)가 투출하면 정인격(正印格)이 되고 을목(乙木)이 투출되면 정관격(正官格)이 된다.
만약 무토(戊土)와 계수(癸水)가 같이 투출하면 월령(月令)의 본기(本氣)가 되는 무토(戊土)를 취하여 편관격(偏官格)으로 삼는 것이다.
만약 무토(戊土)와 계수(癸水)가 같이 투출하지 못하면 무토와 계수의 역량을 비교하여역량이 큰 것을 격으로 정하는 것이다.
무토(戊土)일주가 술월(戌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금(辛金)이 투출하면 상관격(傷官格)이 되고 무토(戊土)일주가 술월(戌月)에
생하고 천간에 정화(丁火)가 투출하면 정인격(正印格)이 되고, 무토(戊土)일주가 술월(戌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금(辛金)정화(丁火)가 투출하지 못하거나 둘다 투출하였다면 역량이 큰 것을 선택하여 격을 정한다.
신금(辛金)일주가 미월(未月)에 생하고 천간에 정화(丁火)가 투출하면 편관격(偏官格)이 되고, 신금(辛金)일주가 미월(未月)에
생하고 천간에 을목(乙木)이 투출하면 편재격(偏財格)이 되고, 신금(辛金)일주가 미월(未月)에 생하고 천간에 기토(己土)가
투출하면 편인격(偏印格)이 되고, 천간에 정화, 을목, 기토가 투출하지 못하거나 다 투출하였다면 역량이 큰 것을 선택하여 격을
정한다.
계수(癸水)일주가 축월(丑月)에 생하고 천간에 신금(辛金)이 투출하면 편인격(偏印格)이 되고, 계수(癸水)일주가 축월(丑月)에
생하고 천간에 기토(己土)가 투출하면 편관격(偏官格)이 되고, 만약 천간에 신금, 기토가 투출하지 못하거나 다 투출하였다면 역량이
큰 것을 선택하여 격을 정한다.
이와같이 월령 지장간에서 있는 것이 아니면 격을 정하기 어려우니 사주를 보는 방법의 하나로 생각하면 모르되 여기에서는 잡기, 재관, 인수, 상관격을 인정하지 않으니 많은 연구를 하기 바란다.
자요사란 자(子)가 사(巳)를 요동(搖動)하여 병화가 신금을 요동(搖動)하여 관성이 된다고 한다. 자요사격이란 갑자일생이 갑자시를
만나면 자중(子中)의 계수(癸水)가 사중(巳中)의 무토(戊土)를 요동(搖動)시키고 무토(戊土)가 사중(巳中)의 병화를
요동(搖動)하여 병화(丙火)가 신금(辛金)을 합해오므로 갑목(甲木)이 신금 관성을 취하는격을 말한다.
자요사격은 천간에 경금(庚金)칠살이 있거나 간합이 있거나 지지(地支)에 오(午)가 있어도 충(沖)을 하기 때문에 파격(破格)이
된다. 자요사격은 대운의 서방(西方)신유술(申酉戌)운을 꺼린다. 축요사격(丑遙巳格)은 계축(癸丑)일 이 축(丑)자가 많으면
사중(巳中)의 무토(戊土)를 요동(搖動)하여 관성(官星)으로 삼는격을 말한다.
신축(辛丑)일이 사중(巳中)병화(丙火)를 요동(搖動)하여 관성(官星)으로 삼는 격을 말한다. 축요사격(丑遙巳格)은 사(巳)가
사주에 있는 것을 두려워하고 자(子)가 자축(子丑)합 되는 것을 두려워해 파격(破格)이 된다. 축요사격(丑遙巳格)은 사주에 관성이
없어야 되고 대운에서도 자(子)와 사(巳)를 꺼린다.
자요사격(子遙巳格) 실례(實例)
甲 甲 壬 丙
子 子 辰 寅
戊 丁 丙 乙 甲 癸
戌 酉 申 未 午 巳
♠ 위의 사주는 甲木일간이 진월(辰月)에 생하여 일시(日時)의 지지(地支)에 자(子)가 있고 천간에 임수(壬水)가 투출하여
인성(印星)이 강하다. 갑일간은 인(寅)과 진(辰)에 뿌리가 되고 시간(時干)에 갑목이 도우니 일간도 심히 왕(旺)하다.
사주에 관살을 보지 않았으니 마땅히 년간 병화를 용신으로 한다. 대운 남방(南方) 사오미(巳午未)운에 일찍 벼슬길에 올라
순탄했으나 사주에서 병화가 임수에게 극제(剋制)를 받고 있으니 중년이후 대운이 서북으로 행하니 벼슬길이 순탄하지 못했고 현달하지
못했다.
丑遙巳格의 實例
庚 辛 辛 壬
寅 丑 丑 寅
丙 乙 甲 癸 壬
午 巳 辰 卯 寅
♠ 위의 사주는 신금(辛金)일간이 축월(丑月)에 생하여 토생금(土生金)하여 금(金)이 왕하다 인중(寅中)병화가 임수로부터 극을
받으니 년간임수는 축에 뿌리가 되어 다시 수생목(水生木)하니 대운 인묘진(寅卯辰)운에 일찍 벼슬길에 올라 순탄하였다.
위의 내용을 보면 가히 자요사격(子遙巳格)과 축요사격(丑遙巳格)이 되겠는가 아니면 내격에 속해 추명을 해야 하는가 판단하기 바란다.
형합격(刑合格)은 계해(癸亥), 계묘(癸卯), 계유(癸酉)의 삼일생이 갑인(甲寅)시를 만나고 사주에 무기(戊己)의 관살이 없을 때 격이 성립된다.
인(寅)이 사(巳)를 형(刑)하고 사중(巳中)무토(戊土)를 취하여 관성을 삼는다.
이때 관성(官星)인 무토(戊土)일간인 계수(癸水)와 합하여 형합격(刑合格)이 된다.
계사(癸巳)는 사중(巳中)에 무토(戊土)의 관성이 있어 파격(破格)이 되고, 계축(癸丑)일은 축중(丑中)에 기토(己土)인 칠살이
있어 파격(破格)이 되고, 계미(癸未)일은 미중(未中)에 기토(己土)인 칠살이 있어 파격(破格)이 된다. 만약 사주에 사(巳)와
신(申)이 있어도 인사신(寅巳申) 삼형(三刑)이 진실되니 파격이 된다.
형합격(刑合格) 실례(實例)
甲 癸 癸 乙
寅 卯 未 未
♠ 위의 사주는 癸卯일주가 지지(地支)에 모두 목(木)으로 구성되고 천간에 갑을(甲乙)이 투출되어 일간 계수는 허약하여 힘을 쓸 수가 없다. 마땅히 종아격(從兒格)으로 보아야 하며 대운 동방(東方) 목운에 절도사가 되었다.
▶ 금신격(金神格)
금신격(金神格)은 갑진(甲辰)일이나 갑자(甲子)일생이 계유(癸酉)시, 을축(乙丑)시, 기사(己巳)시의 세 개의 시(時)를 만남을
말한다. 금신격(金神格)은 시지(時支)에 사유축(巳酉丑)이 암합(暗合)으로 관성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일간이 월령에 기운이
있어야 되고 지지에 화국을 이루면 격이 성립된다.
금신격(金神格)은 대운에서 남방 사오미(巳午未)운에서 크게 발복한다. 만약 수(水)운을 만나면 많은 재화(災禍)가 생긴다.
▶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은 임일(壬日)생이 오위(午位)를 만나면 록마동향(祿馬同鄕)이라고한다.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은 오(午)의
기토 를 관성으로 삼고 정화를 재성으로 삼아 관성을 록(祿), 재성을 마(馬)가 같이 있다고 하여 록마동향(祿馬同鄕)이라고 한다.
계사(癸巳)일생은 사중(巳中) 무토(戊土)를 관성으로 삼고 병화(丙火)를 재성(財星)으로 삼아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이라고 한다.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은 가을에 생함을 좋아하고 목(木)이 많음을 꺼려한다. 겨울에 생하고 격을 갖추면 왕후의 권력을 갖는다.
임오(壬午), 계사(癸巳)일생이 사주에 재관(財官)이 있고 신왕하면 부귀(富貴)는 틀림없다.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도 일종의 간명법(看命法)에 불과한 것이니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예시
庚 壬 乙 己
子 午 亥 卯
.♠ 위의 사주는 임수일주가 亥월에 생하여 시주(時柱)경자(庚子) 이니 일간(日干)이 득시(得時), 득지(得地)를 하여 극왕하다.
오중(午中)의 기토가 년상에 투출되고 을목(乙木)과 묘목(苗木)이 극제(剋制)하니 상관생재(傷官生財)가 용신이 되고 화(火)가
조후용신이 된다. 대운 남방 사오미(巳午未)운에 부귀(富貴)현달(顯達)하였다.
합록격이란 무토(戊土)일주가 경신(庚申)시를 만나야 이 격이 성립된다.
합록격(合祿格)은 사주에 관성(官星)과 인성(印星)이 없어야 된다.
합록격(合祿格)은 시상(時上)의 경금이 을목(乙木)을 합하여 무토(戊土)일간의 관성을 삼는 것이다.
합록격(合祿格)은 갑목(甲木)이 무토를 극제(剋制)함을 두려워하고 병화(丙火)가 경금(庚金)을 극제(剋制)함을 꺼린다.
합록격(合祿格)은 인(寅)이 시지(時支)를 충(沖)함을 꺼리고 묘(卯)가 신(申)과 암합(暗合)을 두려워 한다.
합록격(合祿格)은 추동(秋冬)절에 생함을 좋아한다.
합록격(合祿格)실례(實例)
庚 戊 丙 甲
申 戌 寅 辰
辛 庚 己 戊 丁
未 午 巳 辰 卯
♠ 위의 사주(四柱)는 무토(戊土)일주가 추동(秋冬)에 생하지 못하고인월에 생하였다 천간에 갑목(甲木)의 칠살(七煞))이
투출(透出)되어 득시하고 진토(辰土)에 뿌리를 두고 있다. 마땅히 살인상생(煞印相生)이 용신이니 월상(月上) 병화가 용신이 된다.
대운 무진, 기사, 경오, 신미,에 화토가 힘을 얻으니 부귀가 극(極)에 달하고 순탄하였다.
* 형합격과 합록격을 종합해보면,
사주에 관성이 없고 식상이 득지(得地), 득세(得勢)하고 일간이 강하면 식상(食傷)으로 용신을 잡아 용신이 천간과, 지지에 힘을 얻으니 귀하게 된다.
만약 일간이 약하고 인성(印星)을 보지 못한 즉, 종아격(從兒格)으로 보아야 될 것이다. 위의 둘다 모두 재성을 보면 크게 발복하는바 위의 실례(禮)와 비교하여 격을 취할것인지 참고하고 연구(硏究)정진(精進)을 바란다.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은 임진(壬辰)일이 사주에 진(辰)이 많은 즉 술중(戌中)의 정화를 충(沖)하여 재성(財星)으로 삼는바
진(辰)과 인(寅)이 많음을 요한다. 인(寅)은 술(戌)을 합하여 오므로 술중(戌中)정화를 재성으로 삼는 것이다.
사주에 내격(內格)에 들지 않아야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으로 취한다.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은 사주에 진(辰)이 많으면 귀(貴)한 명(命)이고 인(寅)이 많으면 부자가 된다.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의 실례(實例)
壬 壬 壬 壬
寅 辰 寅 寅
丁 丙 乙 甲 癸
未 午 巳 辰 卯
♠ 위의 사주(四柱)는 임수(壬水)일주가 인월(寅月)에 생하여 천간에 세 개의 임수(壬水)가있고 일지(日支)진토(辰土)에 뿌리를
두고 일간을 돕고 편관인 무토(戊土)가 투출되지 않고 일간이 약하지 않다. 식신인 인목(寅木)이 득시(得時)하고 그 살을 제거할 수
있으니 용신이 된다.
천간에 용신이 투출되지 않아 큰 귀(貴)를 누리지 못하고 부자가 되었다. 대운 동남 목화운에 용신이 힘을 얻어 큰 부자가 되었다.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 을 종합해보면,
사주 지지(地支)에 진(辰)이 많고 일간이 강하고 관성이 없으면 인중(寅中)의 갑목(甲木)으로 일간을 설기(洩氣)하고 재성을
생하며 칠살을 제거하는 것이 용신이 된다. 만약 천간에 갑(甲)과 무(戊)가 모두 투출 되었다면 일간은 약해진다.
이때는 인성이 용신이 되어 일간을 생하고 살을 화(化)하고 식상을 제하는 것이다. 만약 지지에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이 모두 왕(旺)하면 임수가 신약(身弱)하니 인성(印星)과 비겁(比劫)이 용신이다.
위의 내용도 보통격국과 다를바가 없으니 구태어 임기용배격(壬騎龍背格)이라 이름할 필요가 있는가 생각하고 연구해 보기 바란다.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은 신해(辛亥)일, 신축(辛丑)일, 신유(辛酉)일 생이 무자(戊子)시를 만나고 사주에 관살(官煞)이 없으면 격이 성립된다.
신일(辛日)간이 병화로서 관성(官星)을 삼는데 시지(時支)의 자(子)가 사(巳)를 요동(搖動)하여 사중(巳中)병화를 얻는 것이다.
신사(辛巳)일은 사중(巳中)병화가 있고, 신미(辛未)일은 미중(未中)정화가 있어 칠살(七煞)이 되고, 신묘(辛卯)일은 묘가
자(子)와 형(刑)하므로 전부 파격(破格)이 된다.
신일생은 대운이 남방(南方)사오미(巳午未)운을 꺼리고 서북(西北)운을 좋아한다.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의 실례(實例)
戊 辛 己 戊
子 亥 未 子
甲 癸 壬 辛 庚
子 亥 戌 酉 申
♠ 위의 사주는 신해(辛亥)일주가 미월(未月)에 생하여 무자(戊子)시를 만나고 사주에 병화(丙火)와 오화(午火)를 보지 않았으며 육음조양격(六陰朝陽格)이 되었다.
▶육갑추건격(六甲趨乾格) 및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
육갑추건격(六甲趨乾格)은 갑일(甲日)생이 지지에 해(亥)가 많아야 격이 성립된다.
갑목이 해(亥)에서는 장생(長生)하는 자리이다. 사주에 사(巳)와 인(寅)을 꺼린다.
해(亥)는 천문(天門)의 문호(門戶)니 추건격이라 한다.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은 임일(壬日)생이 임인(壬寅)시에 생하고, 인(寅)이 많은 것을 말하며 합록격(合祿格)이라고도 한다.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은 임수(壬水)가 해(亥)에 건록(建祿)이 되며 인(寅)이 해(亥)를 합하여 오기 때문이다.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은 형충파해(亥)를 싫어하고 격을 이루면 대권을 장악한다고 한다.
임인(壬寅)일, 임진(壬辰)일이 인(寅)이 많고 격을 이루면 부자가 틀림없다. 이는 인중(寅中)의 갑목이 식신(食神)생재하여 병화(丙火)를 생하고 병화는 인(寅)에서 장생(長生)이 되니 재성이 튼튼하기 때문이다.
육임추간격(六壬趨艮格)은 칠살(七煞)을 꺼리는바 경금(庚金)과 신금(申金)이 일간과 재성(財星)을 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 일덕격(日德格)
일덕은 오일이 있으니 갑인(甲寅)일, 병진(丙辰)일, 경진(庚辰)일, 무진(戊辰)일, 임술(壬戌)일이다. 일덕은 복이 많고 형충파해(刑庶破害)와 재성과 관성을 꺼리고 괴강을 싫어한다.
일덕은 성격이 착하고 자비(慈悲)스러우며 대운이 신왕(身旺)에 복록(祿)이 풍후(豊厚)하다. 갑(甲)에 인(寅)이 좌록(坐祿)이
되고 병(丙)은 진중(辰中)의 계수(癸水)가 관성의 창고이고 무(戊)의 진(辰)은 재성의 창고이고 경(庚)의 진(辰)은 재성과
인성이 같이 있으며 임(壬)의 술(戌)은 재, 살, 인이 모두 있다.
▶ 일귀격(日貴格)
일귀격은 일간지에 천을귀인(天乙貴人)이 임하는 일주(日柱)이니 4일이 있다. 일귀격(日貴格)은 정유(丁酉)일, 정해(丁亥)일,
계사(癸巳)일, 계묘(癸卯)일이며 사람됨이 순수하고 자태가 아름다우며 착하고 덕이 있으며 오만하지 않는다. 일귀격(日貴格)은
형충파해(刑庶破害) 및 공망(空亡)을 꺼린다.
▶ 괴강격
괴강격은 4일이 있으니 경진(庚辰)일, 임진(壬辰)일, 무술(戊戌)일, 경술(庚戌)일이다. 진(辰)은 천강(天 ), 술(戌)은
하괴(河魁)가 되어 음양 절멸(絶滅)의 땅이다. 괴강격은 사주에 다시 괴강이 있으면 대권(大權)을 장악하는 운명이다.
경(經)에 이르데 괴강격은 무리중에서 남보다 뛰어나며 발복(發福)이 빠르다. 괴강격은 사람이 총명(聰明)하고 문장(文章)력이 있고 일에 임(臨)하여 과단성(果斷性)이 있고 권세를 잡고, 살생(殺生)을 좋아한다.
괴강격이 대운에서 신왕(身旺)운을 만나면 발복이 크다. 그러나 재관(財官)을 보면 흉화(凶禍)가 크다.
첫댓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