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씨에게
여성국극을 알고 계신지요?
여성국극은 여성으로만 구성되어
창, 춤, 전통음악 등 우리 전통예술 형식들과
설화, 전래동화들과의 椄木을 통해
연기가 함께 어우러져
우리의 전통연희문화가 담겨져
대중적인 공연양식으로 발전해 온
독창적인 우리나라의 극예술입니다
여성국극의 기원은
20세기초에
중국의 경극(京劇)이나, 일본의 가부키에 영향을 받아
전통음악인 판소리에 歌·舞·樂이 결합된
무대음악극으로 재창조된
창극에 기원을 두고 있으나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국극은
1948년 10월
박녹주·김소희·박귀희 등 명창들에 의하여 결성된
‘여성국악동우회(女性國樂同友會)’의 창립공연으로
서울 ‘시공관’에서 공연된
‘옥중화(獄中花)’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여성국극이 배출한 주연급 배우로는
박녹주·김소희·박귀희·임춘앵·김진진·
조금앵·박옥진·김경수·조영자·홍성덕·
이옥천씨 등이 있습니다.
창(唱)과 춤, 연기가 접목된 여성국극은
1950-1960년대 수많은 단체들이 난립하여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지만
1986년 서라벌국악예술단에서 출발하여
1993년에 사단법인으로 등록된
홍성덕씨가 이끄는 한국여성국극예술협회가
유일한 여성국극단체로서
여성국극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근 중국과 일본에서
여성국극과 유사한 장르의 성공사례를 든다면
중국의 '경극(京劇)'고 일본의 ‘가부키(歌舞伎)’가 있습니다.
중국의 '경극(京劇)'은
중국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하며
인물·언어·노래·연기·화장(化粧)·무술 등
중국 전통 문화의 다양한 특징을 표현해
'국극(國劇)'으로 불리고 있으며
중국의 대표적 명품 관광 공연상품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일본의 ‘가부키(歌舞伎)’는
일본의 대표적 전통극예술로서
에도 시대에 집대성되었으며
歌舞樂과 연기가 결합된 대중적 극양식으로
중국의 경극처럼
일본의 대표적 명품 관광 공연상품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여성국극은
전통예술의 원형질에 기반을 둔
소중한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브랜드 관광 문화상품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큰 종합무대예술입니다.
이제 여성국은
공연예술로서의 여성국극이 이룩한 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와 평가가 필요한 시기이며
여성국극의 保存․계승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여성국극의 진흥 및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국회 차원의 여성국극의 활성화 및
육성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국내 유일의 여성국극 단체인
한국여성국극예술협회의 지원을 강화하며
정부차원의 여성국극 공연제작 지원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는
국립여성국극단을 창단함은 물론
여성국극을 상시 관람할 수 있는
여성국극 전용극장 구축을 지원해야 합니다.
여성국극의 부흥을 기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