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른 소리, 바른 마음
맑지 [막찌] 짧게 [짤게] 얇다 [얄따] 밟고 [밥꼬] 넓디넓은 [널띠널븐]
팥을 [파틀] 야속한 [야소칸] 꽃이 [꼬치] 금요일 [그묘일] 끊기다 [끈키다]
※ ‘넓-’에서 [넙]소리가 나는 것은 오직 넓둥글다[넙뚱글다], 넓죽하다[넙쭈카다] 뿐!!
| 전설모음 | 후설모음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고 | ㅣ | ㅟ | ㅡ | ㅜ |
중 | ㅔ | ㅚ | ㅓ | ㅗ |
저 | ㅐ | | ㅏ | |
음운 :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단위.
(자음19+자음21)
입술소리 : ㅂ ㅃ ㅁ ㅍ
센입천장소리 : ㅈ ㅉ ㅊ
여린입천장소리 : ㄱ ㄲ ㅋ ㅇ
잇몸소리 : ㄷ ㄸ ㅌ ㅅ ㅆ ㄴ ㄹ
키위를 주게되었소 내가
음운 변동 유형 | 음운 규칙 | 예 |
교체 | 음절․끝소리, 경음화 | 꽃[꼳] 국밥[국빱] |
동화 | 비․유음화,구개음화,모음조화 | 국물[궁물] 길눌[길룬] 해돋이[해도지] 깜깜 |
탈락 | ‘ㄹ’‘ㅏ,ㅓ’탈락 | 딸+님=따님 가+아서=가서 |
첨가 | 사잇소리 현상 | 깻잎[깬닙] |
축약 | ‘ㅎ’축약 | 맞히다[마치다] |
발음 노력의 경제성 원리 : 동화, 축약, 탈락
표현 명료화의 원리 : 경음화, ‘ㄴ’ 첨가
막히다[마키다] 뽑히다[뽀피다] 맞히다[마치다] ☞ ㄱ ㅂ ㅈ + ㅎ = ㅋ ㅍ ㅊ
밝히다[발키다] 좁히다[조피다] 꽂히다[고치다]
♣예
1-1 음절끝소리규칙 - ㄱ ㄴ ㄷ ㄹ ㅁ ㅂ ㅇ
박 [박] 닦다[닥따] 키읔[키윽] 웃다[욷따] 있다[읻따] 젖[젇] 빛[빋] 집[집] 앞[압] 넓다[널따]
옳은[오른] 낫다[낟따] 찾다가[찯따가] 많다[만타]
1-2 경음화 - ‘ㄱㄷㅂ’뒤//어간 받침‘ㄴㅁ’뒤//한자어‘ㄹ’뒤//관형사형 어미‘-ㄹ’뒤
국밥[국빱] 껴안다[껴안따] 갈등[갈뜽] 할 것을[할 꺼슬] 묻고[묻꼬] 있다[읻따] 결점[결쩜]
관건[관건]
2-1 비음화 - ( ) +ㄴ,ㅁ,ㄹ =[ㅇ,ㄴ,ㅁ]
맞는[만는] 읊는[음는] 담력[담녁] 막론[망논] 앞면[암면] 뒷면[뒨면] 협력[혐녁]
2-2 유음화 ㄴ+ㄹ/ㄹ+ㄴ → [ㄹ]
길눈[길룬] 관련[괄련] 간략[갈략] 논란[놀란] 칼날[칼랄]
☆예외 : 의견란[의견난], 임진란, 생산량, 결단력[결딴녁], 공권력[공꿘녁], 동원력, 상견례[상견녜], 횡단로[횡단노], 이원로, 입원료[이붠뇨], 구근류
3 사잇소리 현상 ‘ㄴ’첨가 ‘ㄷ’첨가
솜이불[솜니불] 부엌일[부엉닐] 나뭇가지[나무까지/나묻까지] 콧등[콛뜽/코뜽] 댓돌[댇똘/대똘] 낙숫물[낙숟물]→[낙쑫물]→[낙쑨물] 가랑잎[가랑닙] 식용유[시굥뉴] 서울역[서울력] 물약[물략] 휘발유[휘발류] 콧날[콛날/콘날] 툇마루[퇸마루]
☆ ‘ㄴㄴ’첨가 : 사잇소리 + ‘이’ = ㄴㄴ ……T.이현진:ㄴ,ㄷ첨가
깻잎[깬닙] 나뭇잎[나문닙] 베갯잇[베갣읻]→[베갣닏]→[베갠닏]
*구개음화 : ㄷㅌ+이,히=ㅈ,ㅊ
두음법칙 : 국어가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고 보는 중요한 근거
☆+예
꽃값이[꼳깝씨]
꽃 한 송이[꼳한송이]→[코탄송이]
식용유[시굥뉴]
검열[거멸/검녈]
늑막염[능망념]
내복약[내봉냑]
금융[금늉/그뮹]
관건[관건]
전략[절략]
해돋이[해도지]
대관련[대괄령]
가을날[가을랄]
숱한[수탄]
잎이며[이피며]
꽃이며[꼬치며]
찬란히[찰란히]
빛나는[빈나는]
핏빛[피삗/핃삗]
입김[입낌]
껍질[껍찔]
어젯날[어젠날]
묻는다[문는다]
이중모음 : 발음의 시작과 끝에서 입 모양이 달라지는 모음
ㅑ ㅕ ㅛ ㅠ ㅢ ㅒ ㅖ ㅘ ㅝ ㅙ ㅞ
유성음 - 비음&유음 : ㄴ ㄹ ㅇ ㅁ (노란양말)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파찰음,마찰음...)
음절 :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음절의 수는 모음의 수에 의해서 결정!
자립 형태소(N.대N,수사) 의존 형태소(조사,어간,어미) 실질 형태소(N.어간) 형식 형태소(조사)
겹받침
ㅄ․ㄳ․ㄽ․ㄾ․ㄵ : 첫째 자음 - ㅂ ㄱ ㄹ ㄴ
ㄻ․ㄿ : 둘째 자음 - ㅁ ㅍ
한자어는 사잇소리× BUT!! 6가지의 예외
곳간[곧깐/고깐] , 셋방[섿빵/세빵] , 숫자[숟짜/수짜] , 찻간[차깐/찯깐],
툇간[퉫깐/퇴깐] , 횟수[회쑤/휃쑤] +내과[내꽈], 치과[치꽈], 초점[초쩜]
※사잇소리 예외s
‘ㄷ'첨가 예외 : 개구멍, 노래방, 소가죽, 오리발 (←발음=표기)
‘ㄴ’첨가 예외 : 송별연[송벼련], 삼일절[사밀절], 김유신[기뮤신], 검열[거멸/검녈],
야금야금[야그마금/야금냐금], 이죽이죽[이주기죽/이죽니죽]
한자 사잇소리의 예외 : 가로등, 교과서,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