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노가 (嘆老歌)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려
터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우탁 (1263~1343) 호는 역동,
고려 충숙왕때의 학자
하여가 (何如歌)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 누려보세
이방원(1371~1422) 조선 제3대 임금 태종
이 아직 임금이 되기전 정몽주가 이성계의
병문안을 왔을때 정적 정몽주의 의향을 떠
보며 회유를 하려는 '하여가' 노래다.
단심가(丹心歌)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 가실 줄이 있으랴
포은 정몽주 (1337~1392) 고려 공민왕때
벼슬은 문하시중 이방원의 '하여가' 에
대한 정몽주의 응답의 노래이다.
백설이 자자진 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서 갈 곳 몰라 하노라
목은 이색 (1328~1396) 고려말의 대유학자로
공민왕때 문하시중 우국충정을 담은 노래로
여기서 세 가지는
'구름: 이성계의 신흥세력
'매화: 우국지사
'석양: 고려 왕조를 의미.
첫댓글 김삿갓 오라버님 잊지 않고 좋은 글과
귀한 그림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늘 건승하시길 비옵니다.
훌륭하신 글 영상 고맙습니다
늘 건안하시옵고
즐거운 휴일 되십시요
겨울이
떠나 고 봄이 찾아 오는 주말 아침 시간 만 물 이.~
소생하는
춘삼월에 오늘도 하는 일 마다 모두 소원 이루시고.~
경쾌한 날 건강
한 삶 속 에 늘 좋은 일 만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서로 나누고 베푸는
인 생 품어 주는 사람 이 있어서 좋고 사랑하는.~
마음. 알아줘서 행복하고
소리 없 이 늘 그 자리 있어 그래서 주말 이 좋다
https://cafe.daum.net/1664URM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