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본존(御本尊) ☞음성으로듣기☜
어본존은 니치렌 대성인 불법에서 신앙의 대상입니다.
‘어(御)’는 ‘임금 어’ 자로서 극존칭을 나타내며, ‘본존’은 근본적으로 존경하는 대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는 신앙과 예배의 대상을 도상화(圖像化)한 것을 본존이라고 합니다. 불교의 많은 종파는 석존과 그 밖의 불보살의 상(像)을 본존으로 합니다. 이에 비해, 우리가 신봉하는 니치렌 대성인 불법에서는 십계(十界)의 문자 만다라(曼茶羅)를 ‘근본 존경’의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참고로 만다라는 산스크리트어의 만다라를 음역한 것으로 공덕취(功德聚), 윤원구족(輪圓具足) 등이라고 의역합니다.
니치렌 대성인은 생명과 우주를 관통하는 근원의 법을 ‘남묘호렌게쿄’라고 하였으며, 그 근원의 법을 ‘만다라’라는 형태로서 나타내셨습니다.
니치렌 대성인은 한자와 산스크리트어로 표현된 어본존 속에 모든 사람이 갖추고 있는 불계의 생명 상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신 것이지요.
신앙심을 갖고 남묘호렌게쿄라고 부를 때 어본존은 우리들의 생명 속에 내재한 불계의 생명 상태가 약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의 생명 상태는 사람이나 날씨, 음악, 색깔 등 우리를 둘러싼 다양한 외부의 연(緣)에 접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그림을 보고 우리는 환희나 고요함, 혐오감을 느낄 수도 있으며, 편지 한 통이 기쁨이나 충격 또는 불안을 가져다줄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들이 불계라고 하는 최고의 생명 상태를 끄집어내기 위해서도 역시 연(緣)이 필요합니다.
이 묘법의 본존을 깊이 믿어나간다면 청정하고도 강한 불계의 생명이 솟아오르게 되며, 부처의 용기와 부처의 지혜 그리고 부처의 자비가 한없이 솟아나게 되는 것이지요.
어본존이 가까운 곳에 없거나, 어본존을 볼 수 없는 경우라도 '남묘호렌게쿄'라고 부르면 공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불계를 끄집어내는 데 있어 니치렌 대성인 불법의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강한 신(信)입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공덕취·윤원구족(功德聚·輪圓具足)
공덕취는 공덕의 모임이라는 뜻. 윤원구족은 제불·제법의 모든 공덕이 완전하게 구족되어 있다는 것을 수레바퀴 모양에 비유한 것. 공덕취도 윤원구족도 범어의 만다라를 풀이한 것이다.
***만다라(曼陀羅)
범어(梵語)의‘만다라’의 음사(音寫)이며 만다라(漫茶羅), 만다라(曼茶羅)라고도 쓴다. 윤원구족(輪圓具足─ 모든 것이 원만하게 갖춰져 있다는 의미)이라고 번역하듯이 만법(萬法)을 빠짐없이 갖추고 있는 부처의 깨달음의 경지(境地)를 나타낸 본존(本尊)을 뜻한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