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시작은 1965년 미국 버클리대학교의 교수 자데가 도입한 퍼지집합의 사고를 기초 탄생한 퍼지이론에서 시작됐다. 이후 인공지능(AI)은 소프트웨어 기술과 융합되면서 인간 지능을 훨씬 능가하는 수준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머지않아 인공지능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이 없을 것이다.
고도의 인공지능형 사회의 도래가 사회에 미칠 영향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만만찮을 것이라는 게 학자들과 전문가 대다수 의견이다. 무엇보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원가절감이 절실한 산업계가 비싼 인건비를 대신하고자 인공지능 기술 도입과 개발에 적극적일 수밖에 없다. 기업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줄여 원가절감을 통해 시장경쟁력 강화와 이윤을 보장받을 수 있어 좋겠지만 노동자 입장에서는 일자리를 잃게 되는 불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지난달 25일 에스케이(SK)와 울산상공회의소가 `2024년 울산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이날 에스케이 최태원 회장이 참석해 울산의 산업과 사회에 인공지능 활용이 필요하다는 말을 언급했다. 이는 대기업 총수로서 처음 있는 일인 만큼 울산시로서도 특별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최 회장은 "인공지능(AI)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잘 순화된 빅데이터로 인공지능을 훈련 시켜야 하는데, 대기업도 그렇게 하기 어렵다"며 "울산 산업단지 내 전체 데이터를 다 같이 공유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관련 기반 시설(인프라)을 만들고, 이를 울산의 제조업에 맞도록 반영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의 이 같은 제안은 울산의 산업구조와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서는 울산시가 주도하는 민관 협력(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최 회장의 제안에 대해 울산시도 깊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오히려 최 회장이 제안한 산업분야 에서만 맞춤형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분야와 더불어 경제ㆍ사회ㆍ문화ㆍ전반에 걸쳐 울산지역 실정에 맞는 인공지능을 구축한다면,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부정적인 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울산시가 분산형에너지 자급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청사진을 내놓은 만큼 인공지능형 에너지 융ㆍ복합도시건설을 이끌 울산시 차원의 분산에너지ㆍ인공지능 복합연구센터 건립도 고려해 봄 직하다. 최 회장은 또 "울산이 시도하면 여수, 대전 등 다른 도시도 다 시도하게 돼 결국은 제조업 관련 데이터를 총망라하는 거대한 인공지능 산업 기반 시설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도 했다.
최 회장의 제안이 전혀 실현 가능성이 없는 뜬금없는 제안이 아니다. 이차전지, 수소산업에 이어 분산에너지 선도도시가 되려면 인공지능과 융ㆍ복합이 효과를 극대화 시켜 줄 최고의 대안인 셈이다. 울산시가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