苦恩第二十四 제24장,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는 임금이 베푸는) 고통스러운 은혜로움에 대해 논한다.
企者不立, (비유컨대, 일부러 일삼아) 나아가는 사람은 (그 몸을) 세움이 오래 가지 못하게 되고,
企, 進也. 謂貪權慕名, 進取功榮, 則不可久立身行道也. “기企”는 (일부러 일삼아) 나아간다는 말이다. 이른바, (이 문장은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재빠르게 대처하는 실용적·작용적 방편인) ‘권權’을 탐하고,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부른) 이름을 바란 채, 공功에 (일부러 일삼아) 나아가고, 영화로움을 (일부러 일삼아) 취하면, (그) 몸을 “세움”과 도道를 일삼음이 오래 가지 못하게 된다는 뜻이다.
跨者不行, (일부러 일삼아 다른 사람을) 넘어서는 바를 일삼는 사람은 (세상 사람들이 다 함께 그러한 바를) 일삼지 못하게 하며,
自以爲貴而跨於人, 衆共蔽之, 使不得行. (이 문장은) “일부러 일삼아” 다른 사람보다 귀하게 여겨지거나 다른 사람을 “넘어서는 바”를 일삼으면, 세상 사람들이 다 함께 그러한 사람을 가로막음으로써, (그러한 사람으로 하여금 그러한) 행위를 일삼지 못하게 한다(는 뜻이다).
自見者不明, 일부러 일삼아 (다른 사람의 얼굴과 행위를) 살피는 사람은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얼굴과 행위에) 밝지 못하게 되고,
人自見其形容以爲好, 自見其所行以爲應道, 殊不知其形醜, 操行之鄙. (이 문장은) “일부러 일삼아” 그 (다른 사람의) 얼굴을 “살핌”으로써, (그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얼굴을) 보기 좋게 일삼고, “일부러 일삼아” 그 (다른 사람의) 행위를 “살핌”으로써, (그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도(道; 性·命)와 어우러짐을 일삼는 사람은 이른바 그렇게 (일부러 일삼아 꾸며낸) 얼굴이 추한 것이고, (그렇게 일부러 일삼아) 붙잡은 행위가 비루한 것임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된다(는 뜻이다).
自是者不彰, 일부러 일삼아 (자신을) 옳다고 하는 사람은 (세상 사람들이 다 함께 그러한 사람으로 하여금 세상에) 그림자를 드리우지 못하게 하며,
自以爲是而非人, 衆共蔽之, 使不得影明. (이 문장은) “일부러 일삼아” (자신을) “옳다”고 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그르다고 하면, 세상 사람들이 다 함께 그러한 사람을 덮어가림으로써, (그러한 사람으로 하여금 세상에) “그림자를 드리우거나” (세상을) 밝히지 못하게 한다(는 뜻이다).
自伐者無功, 일부러 일삼아 (자신의 공功을) 취하는 사람은 (세상 사람들로부터 가지게 되는 자신의) 공功을 없애게 되고,
所謂輒自伐取其功美, 即失有功於人也. (“벌伐”은 취한다取는 말이다) 이른바, (이 문장은) 번번이 “일부러 일삼아” 그 “공功”을 “취하고”, (그 “공功”의) 아름다움을 취하면, 이내 세상 사람들로부터 가지게 되는 (그) “공功”(과 그 “공功”의 아름다움)을 잃어버리게 된다는 뜻이다.
自矜者不長. 일부러 일삼아 우쭐하는 사람은 오래 갈 수 없다.
好自矜大者, 不可以長久.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우쭐하거나” 크게 (“우쭐”)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오래 가거나” 오래 보여질 수 없다.
其在道也, 曰 : 餘食贅行. 이러한 (일부러 일삼아 우쭐하고 취하는) 사람이 (나라를 다스리는) 자리道에 머물면, 이른바 (날마다 조세를 징수하여 자신이 먹을) 음식으로 남기는, (그러한) 행위를 탐하게 된다.
贅, 貪也. 使此自矜伐之人, 在治國之道, 日賦歛餘祿食以爲貪行. “췌贅”는 탐한다는 말이다. (이른바) 그러한 “일부러 일삼아” “우쭐하고” “취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나라를 다스리는 “자리道에 머물게 하면”, 날마다 조세를 징수하여 (자신이 받을) 봉록과 (자신이 먹을) “음식으로 남기는”, (그러한) “행위”를 탐하고 일삼게 된다.
物或惡之.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다 함께 그것을 싫어하게 된다.
此人在位, 動欲傷害, 故物無有不畏惡之者. (이른바) 그러한 사람이 (그러한) 지위에 자리하면, 일부러 일삼거나 일부러 일삼고자 함으로써, (세상 사람들을) 다치게 하거나 해롭게 하게 되는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그것을 두려워하지 않거나 “싫어하지” 않는 경우가 없게 된다.
故有道者不處. 따라서 도(道; 自然)를 가진 사람은 (그러한 나라에) 머물지 않는다.
言有道之人不居其國也. 이른바, 도(道; 自然)를 가진 사람은 그러한 나라에 머물지 않는다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