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욕정이풍부지(樹欲靜而風不止)
나무 수 · 하고자 할 욕 · 고요할 정 · 어조사 이 · 바람 풍 · 아니 부 · 그칠 지 |
[뜻]
나무는 조용하고 싶지만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효도를 다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공자(孔子)가 길을 가고 있는데 어디선가 몹시 슬피 우는 소리가 들렸다.
공자가 말했다. “말을 달려 가 보자. 앞에 현자가 있구나.” 울음소리를 따라가 보니,
고어(皐魚)가 베옷을 입고 낫을 껴안고 길가에서 울고 있었다. 공자가 수레에서 내려와
그 까닭을 물었다. “상을 당한 것도 아닌데 어찌 그리 슬피 우는가?” 고어가 대답했다.
“저에게는 세 가지 잃은 것이 있습니다.
어려서 공부를 하여 제후에게 유세하느라고 부모를 뒤로 했습니다.
이것이 잃은 첫 번째 것입니다. 내 뜻을 고상하게 하느라 임금을
섬기는 일을 등한히 했습니다. 이것이 잃은 두 번째 것입니다.
친구와 사이가 두터웠으나 젊어서 멀어졌습니다.
이것이 잃은 것의 세 번째입니다.
나무가 조용히 있고 싶어도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을 하려 하지만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한번 가면 쫓아갈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떠나가면 다시는 볼 수 없는 것이 부모님입니다.
이제 여기서 작별을 할까 합니다.” 그러고는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다. 공자가 말했다.
“제자들이여, 이 말을 훈계로 삼아라. 명심할 만하지 않은가.”
제자 중에 고향으로 돌아가 부모를 봉양한 자가 열에 세 명이나 되었다.
(孔子行, 聞哭聲甚悲. 孔子曰, 驅驅, 前有賢者. 至, 則皐魚也. 被褐擁镰, 哭於道傍.
孔子辟車與言曰, 子非有喪, 何哭之悲也. 皐魚曰,
吾失之三矣. 少而學, 遊諸侯, 以後吾親, 失之一也. 高尙吾志, 閑吾事君, 失之二也.
與友厚而少絶之, 失之三也.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也. 往而不可追者,
年也. 去而不可得見者, 親也. 吾請從此辭矣. 立槁而死. 孔子曰, 弟子誡之,
足以識矣. 於是門人辭歸而養親者十有三人.)」
이 이야기는 《한시외전(韓詩外傳)》에 나온다.
같은 내용의 이야기가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에도 나오는데,
기록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공자가어》에서는 ‘공자가 제나라로 갈 때’로 되어 있으며, ‘고어’가 아닌
‘구오자(丘吾子)’로 되어 있고,구오자가 죽은 방법도 물에 뛰어들어 죽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수욕정이풍부지’는 ‘풍수지탄(風樹之嘆)’, ‘풍목지비(風木之悲)’라고도 한다.
[용례]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직전까지도 봉양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두고두고 마음에 걸린다. 이제 잘 모실 수 있는 경제력이 생겼는데 아버지는
계시지 않구나.
‘수욕정이풍부지’라,이미 가신 분은 다시 오지 못하는 것을.
[글]
김성일
김성일(金聖日)은 문학박사. 전라북도 도청에서 국제정책전문위원으로서 중국과의
국제교류 업무를 담당하는 한편, 단국대학교, 전남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백석대학교 등에서 중국어문학을 가르쳤다..펼쳐보기
[출처]
고사성어대사전 | 김성일 | 시대의창 전체항목
선인의 경험이 깃들어 있고, 지혜와 지식의 보고인 고사성어.
우리 생활과 밀접한 일상의 언어이기도 하다.
고사성어에 얽힌 역사적 사실과 문화적 배경을 철저한 조사와 고..펼쳐보기
첫댓글 노가리 님 감사합니다 ^*^
늘 저의 글에 댓글 다시는 지기님 감사 합니자
저는 애구 매니아로 매일밤 야구 보고 늦게사 카페에 들런단답니다
나무 수 · 하고자 할 욕 · 고요할 정 · 어조사 이 · 바람 풍 · 아니 부 · 그칠 지
배움 하고 갑니다
건강 하세요~
아이구 닉이 참 아름답네요
저의 글에 댓글 감사 합니다
감사 합니다 샬롬 !!
화사한 화요일 맛과 멋 향기로 보람 되시고...
항상 건강 하시고 편안 하시며 웃는 삶 행복 하세요~
덕룡님도 항상 감사 합니다
편안한 밤 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