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망(健忘)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총 12건)
조제용법
분말을 내어 한번에 3.75g씩 술에 복용한다. 1일 3번씩 복용한다.
효능
대능안신(大能安神)
주치병증
기억력이 감퇴하여 겪은 일을 쉽게 잊어버리는 병증. 대부분 심(心), 신(腎), 뇌수(腦髓)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의림개착(醫林改錯)] <뇌수설(腦髓說)>에서 "소아가 기억력이 없는 것은 뇌수가 아직 차지 않았기 때문이고, 고령자의 경우는 뇌수가 점차 비기 때문이다. 이시진(李時珍)은 뇌(腦)는 원신(元神)의 부(府)라 하였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놀라는 것이 심하여 정신이 황홀한 것
원통하고 답답하여 마음이 상함으로써 발생한 정신 이상. [증치요결(證治要訣)] 제9권에서 "실지는 하고자 하는 것을 이루지 못하거나 잘못을 자기 탓으로 돌려서 생기니, 후회하고 원망하며 한탄함을 그치지 못하며 마치 제정신을 잃은 듯 혼자 말하고 허공에 글씨를 쓰는 것이다.(失志者, 由所求不遂, 或過誤自咎, 懊恨嗟嘆不已, 獨語書空...
(1) 일종의 정신 착란 질병. [영추(靈樞)] <전광(癲狂)>에 나옴. [난경(難經)] <이십난(二十難)>에서 "중양(重陽)의 맥(脈)인 경우는 광(狂)이 되고, 중음(重陰)의 맥(脈)인 경우는 전(癲)이 된다.(重陽者狂, 重陰者癲)"라고 하였다. (2) [영추(靈樞)]의 편명. 이 편에서는 전광(癲狂)의 원인과 각종 유형 및...
(1) 심계(心悸)의 중증(重證). 심종(心忪), 종계(忪悸)라고도 함. [의편(醫碥)] 제4권에서 "계(悸)는 정충(怔忡)이다. 계(悸)란 가슴이 두근두근 뛰어 편하지 않은 것인데 속칭 심도(心跳)라 한다.(悸卽怔忡. 悸者, 心筑筑惕惕然動而不安, 俗名心跳.)"라고 하였다. (2) 가슴이 뛰면서 두려움을 느끼는 병증. [적수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