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인트로메딕/NHN벅스/한글과컴퓨터/CBI | 싸이월드 구글·애플에 심사 제출 예정 소식에 급등 |
▷언론에 따르면, 싸이월드제트가 싸이월드 앱의 새 버전을 오는 16일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 심사용으로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이는 앞서 구글과 애플의 '일촌차단' 기능 구현 여부 확인 가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수렴한 것으로, 이와 함께 싸이월드제트는 구글과 애플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 정책 관련 소명 요구에 대응하는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싸이월드제트의 최대주주인 인트로메딕과 싸이월드제트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메타버스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글과컴퓨터, 싸이월드 BGM 콘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 NHN벅스, 싸이월드얼라이언스조합 대상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 발행을 결정한 바 있는 CBI 등이 시장에서 부각. ▷한편, CBI는 美 관계사 키네타의 7월 코스닥 예비심사 청구 및 나스닥 동시상장 추친 소식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종목] : CBI, 한글과컴퓨터, NHN벅스, 인트로메딕 |
삼화네트웍스 (046390) 3,775원 (+10.87%) | 지난해 흑자 전환에 급등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329.24억원(전년대비 +12.38%), 영업이익 67.50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64.08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보라티알 (250000) 12,500원 (+9.65%) | 지난해 실적 호조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611.76억원(전년대비 +21.32%), 영업이익 70.03억원(전년대비 +87.87%), 순이익 65.27억원(전년대비 +329.46%). |
파세코 (037070) 25,350원 (+8.57%) | 지난해 호실적 및 주당 약 0.429주 무상증자 결정 등에 급등 |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2,268.88억원(전년대비 +14.52%), 영업이익 226.12억원(전년대비 +34.00%), 순이익 191.78억원(전년대비 +35.31%).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율1.37%)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보통주 1주당 0.429165946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2-03-02, 상장예정:2022-03-24) 공시. |
알에스오토메이션 (140670) 13,050원 (+8.30%) | 지난해 흑자전환 모멘텀 지속 및 세계 최초 25비트급 인코더 개발 소식 등에 급등 |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최근 세계 최초로 ‘25비트급’ 인코더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강덕현 대표는 “25비트급 인코더는 2의25제곱(3,355만)분의 1도까지 쪼개서 인식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모션제어기 강국인 독일과 일본 기업들이 개발한 22비트급보다 기술력이 한 수 위”라고 설명. ▷전일 장중 21년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134.29억원(전년대비 +14.86%), 영업이익 28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5.28 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씨티케이 (260930) 10,650원 (+7.14%) | 계열사 개발 직구 플랫폼 '팝인보더' 거래액 440억 돌파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직구 이커머스 플랫폼 '팝인보더'가 론칭 1년만에 총 거래액 440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힘. 팝인보더는 계열사 씨티케이 이비전이 자체 개발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판매를 돕는 솔루션 플랫폼으로, 지난해 2월 플랫폼 론칭 후 이베이코리아, 11번가 등 국내대표 이커머스 플랫폼과 영업대행 계약을 맺고, 아이허브, 구찌, 발렌시아가 등을 공급하는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기업 'MXN 홀딩스', 중국의대표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뱅굿' 등 글로벌공급사들을 유치하며 빠르게 확장해온 바 있음. ▷씨티케이 이비전 김민식 대표는 "유수의 글로벌 공급자들을 유치한 것인 데다 또한 이베이코리아, 11번가 등 국내 대표적인 이커머스 채널 12곳과 성공적으로 연동한 것 역시 괄목할 만한 성과였다"며, "국내 기업들의 해외 이커머스 채널 입점을 돕는 역직구 서비스도 론칭할 계획"이라고 밝힘. |
비디아이 (148140) 1,615원 (+6.95%) | 美 자회사 엘리슨, 나스닥 상장절차 순항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자회사 엘리슨파마슈티컬스( 엘리슨)는 지난달 신청한 IPO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밝힘. 엘리슨은 IPO를 통해 최대 4,200만 달러(약 479억원)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항암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라고 밝힘. 이어 엘리슨의 기업가치는 최대 7,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상장 후 각 파이프라인의 임상 결과에 따라 조 단위 기업가치를 인정받을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고 언급. |
한국맥널티 (222980) 6,270원 (+5.91%) | 커피 가격 인상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상승 |
▷지난달부터 스타벅스를 시작으로 투썸, 커피빈 등 유명 커피 전문점들이 커피 가격을 100~400원 가량 인상한 가운데, 커피 가격에 부담을 느껴 홈카페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마켓컬리에 따르면, 주요 커피 전문점의 가격 인상 전인 12월과 비교해 1월 홈카페 카테고리 상품 팜매량은 46% 증가했고, 이달 9일까지는 전월대비 55%까지 증가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생두에서부터 원두커피 가공제품까지 커피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업 전체를 영위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하이로닉 (149980) 8,620원 (+4.87%) |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217.81억원(전년대비 +67.72%), 영업이익 46.37억원(전년대비 +275.36%), 순이익 68.30억원(전년대비 +112.34%). |
핑거 (163730) 18,900원 (+3.85%) |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947.87억원(전년대비 +58.63%), 영업이익 76.34억원(전년대비 +131.68%), 순이익 11.06억원(전년대비 -68.19%). ▷동사는 마이데이터 및 음식주문중개 O2O플랫폼등 대규모 금융권 프로젝트 수주 증가 등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했으나 2021년 1분기 기발행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에 따른 파생상품평가손실 52억원 반영으로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 |
팬스타엔터프라이즈 (054300) 840원 (+3.45%) | 지난해 흑자전환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533.30억원(전년대비 +66.45%), 영업이익 10.50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2.54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디케이락 (105740) 9,830원 (+3.26%) | 지난해 호실적 등에 상승 |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855.47억원(전년대비 +20.16%), 영업이익 83.56억원(전년대비 +233.09%), 순이익 83.06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보통주 1주당 200원(시가배당율1.9%)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공시. |
삼목에스폼 (018310) 15,100원 (+3.07%) | 알루미늄폼 가격 폭등 소식 속 알루미늄폼 국내 1위업체 부각 등에 상승 |
▷금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폼(알폼) 가격이 전년대비 50% 이상 오른 가운데, 알루미늄 공급망 불안으로 연내 추가 가격 폭등 조짐을보이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지난해 ㎥당 4만3,000원에 임대되던 알폼 가격(아파트 20층 규격 기준)이 올해 초 6만5,000원으로 51.5% 뛰어올랐고, 이는 지난해 1월만 해도 런던금속거래소(LME) 기준 t당 2,000달러 미만에 거래되던 알루미늄 가격이 10월 3,200달러까지 뛰어오르며국내 알루미늄 제조사들이 알폼 업체에 판매하는 자재가격을 2배 가까이 올렸기 때문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알루미늄폼 국내 1위업체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리노공업 (058470) 178,700원 (+3.00%) | 지난해 4분기 양호한 실적 등에 상승 |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 561억원(전년동기대비 +34.7%), 영업이익 228억원(전년동기대비 +37.5%)을 기록해 양호한 실적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밝힘.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전기대비 실적은 감소했으나, 4개 분기 내내 영업이익률이 40%를 상회한 점이 인상적이었다고 밝힘. 지난해 실적 특이사항으로는 스마트폰향 제품 비중감소, 양산용 제품 비중 증가라며 웨어러블, 전장, AR/VR 기기향 매출 증가 및 대량 양산 물량 고객사향 납품이 증가했다고 밝힘. ▷올해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216억원(전년대비 +14.8%), 1,315억원(전년대비 +12.3%)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스마트폰을 통한 중기적 성장,신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중장기적 성장, 공급망 차질에 대한 내성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33,000원→ 245,000원[상향] ▷한편, 동사는 전일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2,801.66억원(전년대비 +39.15%), 영업이익 1,171.04억원(전년대비 +50.36%), 순이익 1,038.06억원(전년대비 +87.44%). 아울러, 보통주 1주당 2,500원(시가배당율1.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
나인테크 (267320) 3,130원 (-5.01%)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602.39억원(전년대비 -8.54%), 영업손실 72.85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53.1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상지카일룸 (042940) 1,155원 (-5.71%)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223.52억원(전년대비 +2.13%), 영업손실 77.4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97.8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기산텔레콤 (035460) 2,740원 (-5.84%)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618.75억원(전년대비 -10.08%), 영업손실 7.66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9.4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아이티아이즈 (372800) 13,500원 (-8.16%) | 지난해 적자 전환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669.21억원(전년대비 +30.38%), 영업손실 13.5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30.15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지나인제약 (078650) 2,995원 (-9.24%) | 50.48억원(자기자본대비 247.54%) 규모 대출원리금 연체사실 발생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50.48억원(자기자본대비 247.54%) 규모 대출원리금 연체사실 발생 공시. 동사는 운영자금 부족으로 대출원리금 연체사실이 발생했으며, 자금조달을 통해 연체사실을 해소할 예정이라고 설명. |
마인즈랩 (377480) 18,100원 (-13.81%) | 지난해 매출액 및 영업이익 부진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82.18억원(전년대비 -27.22%), 영업손실 68.43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이익 14.09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디와이디 (219550) 2,000원 (-23.37%) | 128.54억원(자기자본대비 40.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급락 |
▷128.54억원(자기자본대비 40.9%)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
원풍물산 (008290) 631원 (-29.97%) |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 하한가 |
▷전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공시. 이와 관련, 최근 4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이 추후 감사보고서에 의해 확인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밝힘.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실적 발표,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309.64억원(전년대비 +6.47%), 영업손실 9.0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54.9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