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가 지역 교구종회를 민주적 의견수렴 기구로 활용하며 지역불교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정착된 지방자치화 시대에 걸맞게 교구본사도 말사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를 유발하는 ‘자치화 전략’의 전형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해인사 교구종회의 민주적 운영이 갖는 역사적 의의는 지중하다. 조계종단은 지난 1994년 종단개혁의 기치를 내걸고, 종단내부에 숨어있는 비민주적인 법과 제도를 정비한 적이 있다. 개혁의 큰 흐름에는 총무원 중심으로 종권이 경도되어 있는 종단을 입법, 행정, 사법으로 나누고 총무원장의 권한도 축소시켰다. 교육원과 포교원도 총무원으로부터 별원화되면서 종단은 대내외적으로 안정된 기반 속에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1994년 종단개혁에는 교구본사를 민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교구종회 운영에 대한 제도적 장치마련에는 눈길을 돌릴 수 없었다.
종단에서는 교구본사의 민주적 운영에 대한 목소리는 높았지만 제도적 장치마련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교구본사의 자율적인 운영기조에 대해 종단법의 잣대를 갖다대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래서 교구종회는 대부분 자율적 운영이라는 이름 하에 교구본사 중심으로 업무하달 수준이었다. 이러한 풍토에서 해인사는 말사를 권역별로 나누고, 예산도 책정해 지역사찰이 중점적으로 추진할 사업을 자율적으로 기획해 교구종회에 상정했다. 사업내용도 폐교를 활용한 복지시설 건립, 지역 불교대학 운영, 장학기금 전달과 이웃돕기 등 건설적이다. 해인사의 민주적 교구종회 운영에 박수를 보내고 여타 교구본사도 적극 벤치마킹 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