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신세계를 열었다…국내 첫 미국도서관협회 국제혁신
서울대총동창신문 제548호(2023.11.15)
관정관 8층 대형 열람실에서 재학생들.
2015년 관정관 개관과 함께 관정미디어플렉스∙관정마루∙관정갤러리 등 맞춤형 공간이 조성돼 도서관은 학술문화예술 공간으로 거듭났다.
변화하는 중앙 도서관
도서 대출 이력 활용 Like SNU
인물 중심 아카이브 설치 추진
일찍이 문화 예술 공간 탈바꿈
중앙도서관의 다양한 학술문화예술 공간.
위부터 중앙도서관 전경, 도서관 별빛 영화제, XR 익스페리언스센터, 창의미디어 스페이스 스튜디오, 북카페, 멀티미디어 자료실.
지식 전달의 매체가 물리적 책에서 영상, 플랫폼, 유튜브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는 시대. 도서관이 책을 보관하고 빌려주는 전통적 역할에 멈춰선 ‘쓸모’를 증명하지 못할 수도 있다. 장덕진 중앙도서관 관장은 “지식정보자원의 다각화 시대를 맞아 변화를 따라가기보단 혁신을 주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LikeSNU 사업은 중앙도서관이 추진하고 있는 혁신의 한 단면이다. 최근 10년간 축적된 도서 및 멀티미디어 자료 대출 이력 약 250만 건을 바탕으로 나에게 딱 맞는 책과 학문 분야를 추천해 준다. 3년 동안 추진되는 사업 중 올해 2 월 1차 사업이 완료됐을 뿐인데, 미국도서관협회의 국제혁신상을 받았다. 전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도서관 프로젝트에 주는 상이다. LikeSNU 서비스는 중앙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도서관 소장 자료의 활용을 지식 세계를 조망하고 탐험하는 여정에 빗대어 지식 지도, 지식 나침반, 지식 망원경으로 메뉴를 구성했다. 중앙도서관의 도서대출 이력에 기반해 서울대 구성원은 ‘서울대 답게’, 외부인도 ‘서울대처럼’ 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맞춤형 독서 로드맵과 학문 분야 간 연관 지도를 제공한다. 나침반은 자신이 읽은 책의 분야와 권수를, 망원경은 이를 바탕으로 한 추천 서적을 안내해주는데, 개인의 독서 이력만이 아닌 관심 분야와 독서 수준이 비슷한 서울대 구성원의 독서 패턴을 종합적으로 반영한다. 모교 구성원의 도서대출 이력이라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식 탐구의 이정표를 제시하는 셈. △컴퓨터 과학·정보·총류 △사회과학 △문학 △역사∙지리 △예술∙장식예술 △종교 △언어 △자연과학∙수학 △ 기술과학∙응용과학 △철학∙심리학 등 10개 분야에서 가장 많이 빌려본 책 500 권을 추린 지식 지도는 책 하나에 점 하나를 대응시키고 대출 이력을 책과 책 사이의 선으로 이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별들을 거미줄처럼 엮은 듯한 인 상을 풍긴다. 지식 지도엔 500선 지도외 연관도서 지도, 연관 분야 지도가 더 있다. 연관도서 지도는 500선 지도를 통해 책을 고르면 그 책을 읽은 사람들이 이전에 읽은 책과 이후에 읽은 책이 무엇인지, 또 몇 명이나 그 책을 읽었는지 표시하며, 연관 분야 지도는 자기가 관심 있게 읽었던 책의 분야와 연관이 깊은 학문 분야의 책을 추천해준다. 내년 2월 LikeSNU 2차 사업이 완료되면 도서뿐아니라 학술 및 학위논문, 강의계획서, 학사 데이터까지 포괄할 예정이며 10개 분야로 나뉜 경계마저도 뛰어넘을 전망이다. 장 관장은 “중앙도서관에서 독자적으로 구축한 통합토픽모델링을 적용해 정형화돼 있지 않은 새로운 연구 결과물들(논문)에서 파생된 새로운 분야가 머신러닝을 통해 유동적으로 나올 예정”이라며 “이로써 토픽과 토픽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볼 수 있고, 그 사이를 넘 나드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통찰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령 인문대 재학생이 인문학적 콘텐츠를 갖고 인공지능과 융합하고픈 욕구를 느꼈다면 과거엔 전공 간 벽에 부딪혀 현실적으로 좌절할 수밖에 없었지만, 향후엔 타학부 전공 지식을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끔 촘촘한 징검다리를 놔줄 수 있다는 뜻. 개인별 도서 컬렉션을 생성, 이용자 간 컬렉션을 팔로우하거나 추천할 수 있는 ‘SNU컬렉션’도 2차 사업 완료 후 기대되는 서비스. 교수∙학생∙직원 등 학교 구성원들의 독서 및 멀티미디어 자료 이용 이력을 본인이 원할 경우 멜 론이나 유튜브 뮤직의 플레이리스트처럼 공개함으로써 서울대의 지식 자원을 학내뿐아니라 일반인이나 학외 연구자에게도 공유할 예정. 서울대인 셀럽의 독서 이력을 좇아가면 책 읽는 재미가 더욱 쏠쏠할 듯하다. 서울대 중앙도서관 혁신의 또 다른 단면은 라키비움(Larchiveum)이다. 장 관장은 “비 도서자료를 수집, 전시하는 박물관적 기능의 복원과 동시에 서울대인에 대한 도서 및 비 도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는 아카이브적 기능을 더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대 박물관을 고려해 비 도서 자료를 수집, 전시하되 제작 연도를 근현대로 제한했고 서울대 기록관을 고려해 서울대 ‘조직’에 대한 기록물보단 서울대 출신 ‘인물’에 초점을 두고 자료를 수집한다. 장 관장은 기본적으로 박물관, 기록관, 미술관, 규장각 등 다른 기관과 겹치지 않도록 하겠지만, 기관 간 칸막이를 넘나드는 협업도 꾸준히 시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첫 아카이브로 고 박완서(국문50입) 작가의 서재가 2024 상반기 설치된다. 중앙도서관 2층에 약 99㎡ 규모로, 박 동문이 말년을 보낸 경기도 구리시의 ‘아치울 노란집’ 서재를 재현하고 가족에게 기증받은 도서 및 비 도서 자료로 꾸밀 예정. 아카이브 대상 동문은 △다양성 지수 △대출지수 △학문적 수요 등 3 가지를 주요 기준으로 선정되는데, 소속 단과대학이나 신분(교수·직원·학생 등)에 상관없이 가장 많이 대출되는 분야가 문학인 점, 박완서 동문이 생전에는 물론 사후에도 대중의 폭넓은 사랑을 받는 한국 대표 작가였던 점 등이 고려됐다. 장 관장은 “아카이브 사업 추진의 합 리성 제고를 위해 전문가 자문을 거쳐 2023 8월 ‘아카이브 설치 지침’을 마련했다”며 “특정 동문에 대한 서울대인의 관심이나 축적된 연구물, 그분이 가진 가치 등이 독보적으로 인정되는 경우 아카이브 대상으로 논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앙도서관은 다음 아카이브 설치 대상을 누구로 할지 동문을 포함한 학내외 의견을 신중히 듣고 있다고. 애초에 서울대 중앙도서관은 책을 빌려 읽거나 앉아서 공부하는 곳이란 이미지를 탈피한 지 오래다. 2015년 2월 관정관이 개관하면서 기존 중앙도서관은 본관으로서 국내 최대 규모의 학술 자료 이용 공간으로 거듭났고 관정관은 대형 열람실, 그룹스터디룸, 미디어서비스 센터, 관정미디어플렉스 등 이용자 맞 춤형 공간의 역할을 주로 맡아 중앙도서관 전체가 학술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관정관 1층 로비 한편엔 관정갤러리가 있다. 이곳에서 신진 작가 및 단체, 모교 학생 동아리 등 구성원이 참여한 미술, 공예, 사진 등을 전시하는 ‘중앙도서관 작은 전시회’가 정기적으로 열린다. 김덕기(동양화93졸)·신수진(서양화95 졸) 동문 등 굵직한 작가의 전시회가 개 최됐었다. 1층 로비에서 2층으로 올라 가는 길의 관정마루엔 권영민(국문71 졸) 모교 국문과 명예교수가 평생 수집한 문헌 1654점을 2023. 12. 15까지 전시하며, 관정관 3층 양두석 홀에선 저자와 함께하는 북콘서트가 연 3회, 관정관 5층 옥상정원에선 도서관 별빛 영화제가 학기마다 한 번씩 개최된다. 나경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