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이 돌고 돌아 무상(無常)하니 인생의 길흉(吉凶)․화복(禍福)이란 항시 바뀌어 예측할 수 없는 것,
즉 어느 것이 참다운 복이 되고 화가 되는지 알 수 없는 세상일을 가리켜 ‘塞翁之馬’라고 말한다.
‘새옹’은 북쪽 변방에 사는 늙은이란 뜻이다.
《회남자(淮南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이 유명한 이야기의 줄거리는 이러하다.
북방의 국경 가까이에 점을 잘 치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말이 아무 까닭도 없이 도망쳐 오랑캐들이 사는 국경 너머로 들어가 버렸다.
마을 사람들이 찾아와 동정을 하며 위로를 하자, 이 집 주인 늙은이는,
“이것이 복이 될 지 누가 알겠소” 하고 조금도 걱정하는 기색이 없었다.
그럭저럭 몇 달이 지났는데, 하루는 뜻밖에 도망했던 말이 오랑캐의 좋은 말을 한 필 끌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몰려와서 횡재를 했다면서 축하를 했다. 그러자 그 영감은 또,
“그게 화가 될지 누가 알겠소” 하고 조금도 기뻐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집에 좋은 말이 하나 더 생기자, 전부터 말 타기를 좋아하던 주인의 아들이 데리고 온
호마를 타고 들판으로 마구 돌아다니다 그만 말에서 떨어져 넓적다리를 다치고 말았다.
사람들은 또 몰려와서 아들이 병신이 된 데 대해 안타까워하는 인사를 보냈다. 그러자 영감은,
“그것이 복이 될 줄 누가 알겠소” 하고 담담한 표정이었다.
그럭저럭 1년이 되자, 오랑캐들이 국경을 넘어 대규모로 침략해 들어왔다.
장정들은 일제히 활을 들고 나가 모두 죽었는데,
유독 이 영감의 아들만은 다리병신이라서 부자가 함께 무사할 수가 있었다.
그러므로 복이 화가 되고, 화가 복이 되어, 변화가 끝이 없고,
그 깊이를 헤아릴 수가 없다고 회남자는 결론을 맺고 있었다.
여기에서 예측할 수 없는 길흉화복을 비유해서, 눈앞의 이해득실(利害得失)에 웃었다
울었다 할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 <塞翁之馬>란 말을 쓰게 되었다.
또 이것을 가리켜 <인간만사 새옹마>라고 하는데,
이것은 원나라의 중 희회기(熙晦機)의 시에,
‘인간의 모든 일은 새옹의 말이다(人間萬事塞翁馬)
추침헌(툇마루)에서 빗소리를 들으며 잠이나 자세(推枕軒中聽雨眠)’라고 한데서 나온 말이다.
-《고사 성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