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7년4월7일 한보 청문회
한보특위가7일 구치소에서 한보 총회
장을 시작으로 한달 가까운 청문회 무
대의 막을 올렸다.
정 총회장을 상대로 한 이날 청문회에
서 여야 의원들은 세간의 관심을 모으
고 있는 ‘리스트’와 한보의 지난 92 년 대선자금 지원설,각종 특혜대출 및 정·
관계 커넥션 등 한보 비리의 ‘몸통’ 캐
기에 주력했다.
여야는 청문회에 앞서 구수회의를 갖고
‘공략’ 대책을 최종 점검하는 등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다.
청문회는 당초 9시 정각에 열릴 예정
이었으나 신 한국당이 국민회의 김원
길 의원의 자격문제를 제기하는 바람
에 지체돼 20분 늦게 시작됐다.
한보 대출 비리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특위의 구치소 청문회가 시작된 7일 시민들의 눈과 귀는 청문회를 생중계
하는 TV와 라디오에 쏠렸다.
이날 역과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등에
설치된TV 앞에는수십여명씩의 시민
들이 모여들었으며 각 회사 사무실에
도 직장인들이 잠시일손을 놓고 삼삼
오오 모여앉아 지난 88년의 5공(共) 청문회에 이어 9년 만에 생중계된 이
번 청문회를 지켜봤다.
시민들은 그러나 이날 증인으로 나선
한보그룹 정태수 (鄭泰守) 총 회장이
“모른다”거나 “기억 나지 않는다”,“현
재 재판중에 있으므로 답변을 거부한
다”는 등의 회피성 증언으로 일관하자 실망과 분노를 나타냈다.
이들은 또 여야 특위위원들이 진상규
명을 위한 ‘송곳’ 질문보다 자기 당 지
도부의 연루설을 부인 하는 장광설을 늘어놓으면서 의원들끼리 티격태격하
는 모습마저 보이자‘청문회 무용론(無用論)’까지 내놓았다.
한편 서울구치소측은 이날 1백여 명의
보도진에 몰려왔음에도불구하고 기자
들에게 편의시설을 거의 제공하지 않
는 등 무성의한 태도을 보였다.
구치소측은 기자들을 위해 전화 두 대
와 팩시밀리 한 대를 설치했으나 팩시
밀리가 자주 고장을 일으켜 보도진의 애를태우기도 했다.
▶ 2021년 4월 7일 성추행 사건으로 사퇴한 부산시장과 성추행 사건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서울시장을 뽑기 위한 보궐선거가 실시됐다.
선거 결과 야당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여당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누르고 서울시장에 당선됐으며, 야당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여당 더불어민주당 김영춘 후보를 누르고 부산시장에 당선됐다.
▶2012년 거침없던 전설의 리포터
마이크 월리스 별세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박연차 게이트 관련 대국민 사과문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9년 4월 7일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의 정관계 로비의혹에 자신의 친인척과 측근들이 연루된 데 대해 국민에게 사과했다.
노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공식 홈페이지에 대국민 사과문을 올렸다.
노 전 대통령은 '사과문'에서 정 전 비서관이 받았다는 10억원과 관련, "저의 집에서 부탁하고 그 돈을 받아서 사용한 것"이라며 "미처 갚지 못한 빚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측에 따르면 '저의 집'이란 표현은 노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를 지칭한다.
즉 권양숙 여사가 정 전 비서관에게 "빚을 갚기 위해 돈이 필요하다"고 요청했으며, 정 전 비서관이 박연차 회장에게 받은 10억원을 권 여사에게 건넸다는 것이다. 노 전 대통령은 자신이 이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부부 사이인 권 여사와는 법률적으로는 독립적인 관계이지만, 사실상 '특수한 관계'로 해석할 수 있고, 노 전 대통령이 사전에 알았다면 부하인 정씨를 통해 '빚 갚을 돈'을 받아오라고 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대통령의 직무는 특정한 이권뿐만 아니라 국정 전반을 아우르는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 구체적인 청탁이 없더라도 뇌물수수 혐의를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 법조계의 일반적인 의견이다. 그렇게 되면 권 여사나 정씨는 뇌물죄의 공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은 7일 브리핑에서 "(노 전 대통령 소환 문제는) 좀 더 봐야 한다"면서 신중한 태도를 보였지만, '시기 결정만 남았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검찰은 일단 이날 오전 체포한 정 전 비서관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입증 자료를 충분히 확보한 뒤, 우선 권양숙 여사를 소환조사하고, 노 전 대통령 본인을 직접 조사하는 단계를 밟을 것으로 관측된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에게 조카사위인 연철호(36)씨가 박연차 회장에게 받았다는 '500만달러'의 실소유주가 노 전 대통령이 아닌지도 확인할 예정이다.
권양숙 여사가 정 전 비서관을 통해 박연차 회장에게 받았다는 10억원의 성격이 어떤 식으로 규정되느냐에 따라, 노 전 대통령이 퇴임 직후인 지난해 3월 박 회장에게 차용증을 쓰고 빌렸다는 15억원의 성격 역시 '단순한 채권·채무'로 끝나지 않을 공산이 크다.
▶2004년 ‘의사-간호사 상호존중 선언식’,
프라자호텔에서 개최
▶2004년 일본 후쿠오카법원,
고이즈미총리 야스쿠니참배 첫 위헌 판결
▶2000년 고 최석채 선생, `언론자유영웅
(Press Freedom Heroes)` 선정
▶1999년 한나라당 서상목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
▶1998년 규제개혁위원회 설치
▶1996년 박찬호 메이저리그 첫 승
'코리아 특급' 박찬호가 1996년 4월 7일 메이저리그 첫 승리를 기록했다. 도미 3년째를 맞는 박찬호는 이날 시카고 리글리구장서 벌어진 시카고 커브스와의 원정경기서 2회 구원등판, 4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면서 승리투수가 됐다. 이 경기서 다저스는 박의 구원 역투에 힘입어 3대1로 승리, 최근 4연패의 늪에서 헤어났다.
다저스 선발투수진이 부진을 보이며 선발진 합류가 기대됐던 박은 이날 갑작스럽게 등판했다. 선발투수인 에이스 라몬 마르티네스가 2회초 공격서 예기치 않은 부상을 당해 채 몸을 풀 시간도 없이 2회말부터 마운드를 지킨 것.
박찬호는 이날 18명의 타자를 맞아 삼진7개 볼넷4개 피안타3개를 각각 기록했으며 96시즌 3게임(6이닝)에 나서 1승무패에 방어율 1.50을 마크했다.
▶1990년미국의 흑인 목사.
민권운동가 애버내시 사망
▶1982년 영국 포클랜드 주변을 전쟁구역으로 선포
▶1982년 미국 베일러의대,
인간유전자 복제성공 발표
▶1980년 미국 이란과 단교 선언
▶1980년경찰, `수사권 독립`으로
검찰과 마찰
▶1979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중국 가맹을 승인
▶1976년 독립운동가 오광심 별세
▶1976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수상에 화국봉 임명
▶1976년 등소평 `천안문 사태`의
배후자로 지목돼 세번째 실각
▶1973년 핀란드, 남북한 동시승인 발표
▶1969년 시인 신동엽 사망
▶1965년 미국, 위험천만 파워보트 경주
▶1961년 미국 유엔(UN) 감시하
총선 통한원칙을 재확인
▶1961년 유엔(UN) 총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비난의안 채택
▶1957년 한국신문편집인협회 발족,
한국신문윤리강령 선포
▶1957년 제1회 신문의 날
▶1957년 캄보디아 시아누크 내각 성립
▶1956년 스페인 프랑코 정부, 모로코 독립 승인
▶1956년 이집트-이스라엘 가자지구서 교전
▶1953년 하마슐드 유엔 사무총장에 피선
▶1949년 뮤지컬 `남태평양` 초연
▶1948년 세계보건기구(WHO) 발족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유엔의 전문기구다. 2020년 기준으로 194개 회원국이 가맹되었으며, 그 목적은 세계 인류가 가능한 한 최고의 건강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다.
WHO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으며, 세계 각지에 6개 지역 기구로 분산되어 있다. 지역 기구마다 지역위원회와 지역사무국이 구성되어 있다.
▶1947년 미국 자동차왕 헨리 포드 사망
▶1945년 일본전함 `대화` 오키나와 근해서 침몰
1945년, 태평양 전쟁이 끝나갈 무렵...
오키나와 인근 해역에서, 미군기들의 집중 폭격에 도망가는 #야마토_전함..
도망가다가, 결국엔 집중 폭격의 영향으로 인해...
선체 내부의 화약고가 연쇄 폭발하는 바람에 침몰...
▶1939년 미국 영화감독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출생
https://youtu.be/xLcYbQW3vgY
▶1939년 알바니아의 국왕 조구 1세(Zogu I, 1895 ~ 1961)가 퇴위했다.
조구 1세는 알바니아의 국왕(재위 1928~1939)으로 총리(재임 1922~1924)와 대통령(재임 1925~1928)을 역임했다.
오스만 알바니아의 대공 가문에서 태어난 조구는 어릴 때부터 알바니아 정치판에서 활동했으며, 제1차 세계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 편에서 싸웠다.
그는 1924년 6월 망명 전에 알바니아 정부에서 여러 장관직을 맡았으며, 그해 말 유고슬라비아와 백러시아의 군사지원을 받아 돌아와 다시 총리로 선출되었다.
1925년 1월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독재권을 부여 받았으며, 이로써 주요 국내 개혁을 추진하면서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었다. 1928년 9월 군주국을 선포하고 알바니아의 왕 조구 1 세로 왕위에 올랐다. 그는 1938년 Geraldine Apponyi de Nagy-Appony(1915 ~ 2002)와 결혼했으며, 1년 후 외동 딸 Leka가 태어났다.
알바니아는 조구의 통치 동안 이탈리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1930년대 말에 조구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었다. 1939년 4월 이탈리아의 무솔리니는 알바니아를 침공하여 빅토르 엠마누엘 3세의 이탈리아 보호령으로 선언하고 조구를 추방했다. 이후 알바니아는 1946년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산화되었다.
조구1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에 살았지만 엔베르 혹샤(Enver Hoxha)의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알바니아로 돌아갈 수 없었다. 그는 남은 여생을 프랑스에서 보내다가 1961년 4월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896년 서재필, 최초의 민간신문 독립신문 창간
독립신문은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으로 서재필(徐載弼, 1864 ~ 1951)이 중심이 되어 독립협회(獨立協會) 기관지로 발간됐다. 4면 중 3면은 순국문, 1면은 영문으로 문장을 썼다. 필진으로는 유길준(兪吉濬, 1856 ~ 1914), 윤치호(尹致昊, 1865 ~ 1945), 이상재(李商在, 1850 ~ 1927), 주시경(周時經, 1876 ~ 1914) 등이 참여했다.
초기에는 서재필을 중심으로 발간했으나 그가 미국으로 망명한 뒤에 헨리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 1858 ~ 1902)를 발행인으로 윤치호가 맡아 발행하다가 독립협회의 해산과 함께 폐간되었다.
독립신문은 최초의 순 한글체 신문이자 한국 최초의 영자신문이었으며, 신분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칼럼을 투고할 수 있었다.
1957년 4월 7일 한국신문편집인협회는 독립신문 창립일을 신문의 날로 지정했다.
▶ 1891년 오늘,
덴마크의 목수이자 #레고 창업자 #올레_ 키르크_크리스티얀센 (Ole Kirk Christiansen) 덴마크 빌룬시 Filskov 에서 출생
( ~ 1958년 3월 11일 덴마크 빌 룬 에서 사망) 1932년 덴마크의 빌룬트 (Billund)라는 지역에서 장난감 공장을 연다. 초창기 가정에서쓰는 나무로 만든 생필품과
장난감을 생산하던 그는 2년 뒤 회사 이름을 레고(LEGO)라 짓고 본격적인 장난감 생산에 들어간다. 레고는 덴마크어로 레그 고트(leg golt) 잘 논다(play well)라는 뜻이다.
▶ 1827년4월7일,
#프로메테우스의_불, 성냥 시판
성냥은 영어로 ‘match’이다. ‘잘 어울리는 한 쌍’이라는 뜻도 있다. 뭐가 잘 어울린다는 것일까? 1827년 오늘, 성냥이 영국에서 처음 시판됐다. 인류가 ‘프로메테우스의 불’을 손쉽게, 그것도 휴대용으로 가지게 된 축복받은 날이다. 끽연가들이 환호성을 질렀다.
발명의 주인공은 영국인 존 워커. 의학도였던 그는 1825년 어느날 실험실에서 염소산칼륨과 황화안티몬을 아라비아 고무와 풀로 반죽하게 된다. 그런데 반죽을 바른 천이 달궈진 난로에 닿자 불이 붙는 게 아닌가? 바로 이거야! 2년간의 궁리 끝에 마찰성냥을 만들어 냈다. 나뭇개비에 동그란 머리모양으로 성냥개비를 만들어, 유리가루를 바른 종이 사이에 끼워 당기는 방식으로 불을 켰다. ‘잘 어울리는 한 쌍’은 바로 성냥개비와 종이였다.
워커의 친구인 새무엘 존스는 제조법을 개량한 프로메테우스 성냥으로 이듬해 특허를 받아 대량 생산한다. 초기 성냥은 발화가 아주 힘들었다. 발화시 냄새가 역겹고 불똥이 심하게 튀었다. 성냥갑에 “폐가 약한 사람은 사용하지 말라”는 문구가 적혔을 정도.
이후 개량이 거듭돼 안정되고 발화되기 쉬운 성냥이 등장했고, 마침내는 1845년 오스트리아 화학자 안톤 폰 슈뢰터가 독성이 없고 자연발화를 하지 않는 안전성냥을 만든다.
우리나라에서는 1880년 개화승 이동인이 일본 수신사 김홍집과 함께 귀국하면서 성냥을 들여왔다. 그전까지는 부싯돌을 사용하거나 화로에 불씨를 보존하는 방식이었다. 행여 집안에서 불씨를 꺼뜨리면 난리가 나던 시절이었다.
성냥대중화는 1910년 일본인이 공장을 세우면서 이뤄졌다. 해방후 전국 곳곳에 공장이 들어섰다. 집들이 때는 ‘재산이 불같이 일어나길 바란다’는 마음을 담은 ‘선물 1순위’이기도 했다. 그러나 자동 점화장치 발달, 라이터 보급으로 이제는 보기 힘들어 졌다.
▶ 1805년 4월 7일 독일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인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 세례 ~ 1827)의 교향곡 3번 <영웅>이 빈에서 초연됐다.
교향곡 제3번 내림 마장조 작품 번호 55 (또는 "영웅 교향곡")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4악장 교향곡이다. 작곡가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이 교향곡은 그의 혁신적인 중기의 시작을 알리는 대형 작품이다.
1802 ~ 1804년에 걸쳐 작곡된 이 작품은 교향곡의 형식, 길이, 화성, 감정과 문화의 경계를 허물었다. 그것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시대 사이의 과도기적 시기에서 획기적 사건으로 널리 간주된다.
또한, 종종 첫 번째 낭만주의적 교향곡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1828년 3월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은 베토벤의 교향곡 중에서 처음으로 이 작품을 연주했다.
베토벤은 독일의 본에서 태어났으며, 성인이 된 이후 거의 오스트리아 빈에서 살았다. 감기와 폐렴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투병하다가 57세로 생을 마친 그는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전환기에 활동한 주요 작곡가로 널리 존경받고 있다. "음악의 성인"(聖人) 또는 "악성"(樂聖)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교향곡 5번>, <교향곡 6번>, <교향곡 9번>, <비창 소나타>, <월광 소나타>, <피아노 소나타 8번> 등이 있다.
ㆍ군인 나폴레옹 흠모해 작곡
루드비히 반 베토벤이 작곡한 교향곡 9곡 중 3번 마 장조 ‘영웅’은 선배 작곡가인 모차르트와 하이든의 영향이 남아 있는 전작인 1번과 2번과 달리 베토벤의 스타일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교향곡이다. 5년이 넘는 작곡기간 끝에 1805년 4월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초연됐을 당시 대중으로부터 호평을 받지는 못했다. 장대한 스타일, 미묘한 불협화음, 강렬한 힘 등이 두드러져서 당시 대중에게 익숙하지 않았다. 또 1악장의 연주시간이 당시의 일반적인 교향곡 전곡 연주시간과 맞먹는 수준이고, 총 연주시간이 50분이나 돼서 부담스럽다는 평가도 있었다. 하지만 이 곡은 베토벤이 마지막 교향곡인 9번 ‘합창’을 작곡하기 전까지 베토벤이 자신의 최고의 교향곡으로 꼽을 정도로 뛰어난 완성도를 갖추고 있다. 이 곡이 인정을 받게 된 것은 훗날 베를리오즈와 바그너에 의해서였다.
잘 알려진 대로 베토벤이 이 교향곡을 작곡할 당시 영감이 된 인물은 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에서 ‘태풍의 눈’으로 떠오른 코르시카 출신 군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였다. 젊은 베토벤은 자신보다 한 살 위인 나폴레옹이 민중의 권리를 옹호하고 인류 평화를 구현할 인물이라고 여겨 흠모했다. 안톤 쉰들러가 쓴 베토벤 전기에 따르면, 34살의 나이에 교향곡 3번의 작곡을 완성한 베토벤은 표지 안쪽에 ‘보나파르트’라고 적어 헌정할 계획이었지만 나폴레옹이 프랑스의 황제로 즉위하자 실망과 격노로 이 페이지를 찢어버렸다. 베토벤은 “그놈도 평범한 인간에 지나지 않았다. 머지않아 그놈이 온갖 인권을 짓밟고 자기 야심을 만족시킬 것이 틀림없다”고 예언했다.
그 후 출판된 ‘영웅’의 악보에는 ‘한 사람의 영웅을 추억하기 위해서’라는 부제가 달렸다. 특정인물이 아닌, 보편적인 영웅의 고난과 죽음, 부활에 관한 교향곡이 된 것이다.
17년 후, 나폴레옹이 세인트헬레나섬으로 유배되자 베토벤은 “나는 이런 날이 올 줄 알고 미리 결말에 적절한 음악을 써뒀다”고 말했는데 그 곡은 ‘장송 행진곡’으로도 알려져 있는 ‘영웅’의 2악장이다. 무거운 걸음걸이로 시작해 과거를 회상하는 듯 밝은 테마로 바뀌었다가 다시 무거운 걸음으로 돌아오는 이 곡은 유명인사들의 장례식에서도 자주 단독으로 연주된다. 교향곡 3번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4악장은 한 가지 주제를 수십 가지로 변주하는 기법으로,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시도였다.
▶ 1795년 오늘,
프랑스에서 미터가 길이의 단위로 채택
출처 네이버지식백과,솦트리종려나무,반가운의hi스토리
20년째 학부모 , 파란하늘
편집 뜨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