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어머니가 처음으로 학부모 회의에 참석했을 때 유치원 교사가 말해주었다.
"아드님한테 다동증 증상이 있는 것 같아요.
자리에 앉아서 채 3분도 견디지 못하는 걸요.
병원에 한번 가보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아들이 어머니에게 물었다.
"오늘 선생님이 엄마한테 무슨 얘기 했어?"
순간 어머니는 콧등이 시큰해지며 눈물이 솟구쳤다.
반 아이 40명 가운데 유독 자기 아들만 선생님의 눈 밖에 났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아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께서 우리 아들을 칭찬하시더구나.
단 1분도 자리에 앉아있질 못하던 애가 지금은 3분 동안이나 견딘다고 말이야".
다른 애 엄마들도 모두 부러워하더구나.
반 아이들 가운데 우리아들이 제일 조숙하다고 "
그날 저녁, 아들은 평소와 다르게 어머니가 먹여주지 않고도 밥 두 그릇을 뚝딱 해치웠다.
그 아들이 자라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학부모 회의에서 선생님이 어머니에게 말했다.
"이번 수학 시험에서 아드님은
전체 50명 가운데 겨우 40등을 했습니다.
그래서 말씀인데요. 혹시 아드님의
지능 지수가 낮은 것은 아닌지 의심되네요."
교실을 나서면서 어머니는 또 눈물을 흘렸다.
그러나 집으로 돌아와 식탁에 마주 앉은 아들에게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이 우리 아들을 무척 기특해 하더구나.
워낙 머리가 좋아서 조금만 더 노력하면 네 옆 단짝 정도는 이길 수 있겠다 더구나.
그 아인 이번에 겨우 21등을 했다면서?"
그 말에 아들의 눈에는 금세 정기가 감돌았다.
아들은 놀라울 정도로 침착하고 어른스러워졌으며,
이튿날엔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갔다.
아들이 커서 중학교에 입학했다.
학부모회의에 참석한 어머니는 아들의 이름을 호명하기만 기다렸다.
그러나 회의가 다 끝나도록 아들의 이름은 호명되지 않았다.
뭔가 잘못된 게 아닐까 하고 묻는 그녀에게 담임 선생님이 말했다.
"지금 성적으로는 아드님의 고등학교 입학은 아무래도 벅 찰 것 같습니다."
학교 문을 나서니 아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길에서 아들의 어깨에 손을 얹으며 말했다.
"선생님께서 너한테 아주 많은 기대를 하시더구나.
네가 조금만 더 노력하면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 있겠다고 말이다"
그 이듬해 아들은 고등학교에 진학 했다.
3년 후 졸업을 앞두고 있는데, 하루는 학교에서 아들에게 왔다가라는 전화가 왔다.
그 소식을 들은 어머니는
자기 아들이 대학에 합격했다는 예감이 들었다.
얼마 후 학교에서 돌아온 아들은 명문 K대학 이니셜이 붙은 서류봉투를 어머니에게 넘겨주었다.
그러고는 몸을 홱 돌려 자기 방으로 뛰어 들어가더니.
엉엉 소리 내어 울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뒤쫓아간 어머니가 감격에 겨운 목소리로 말했다.
"얘야, 이 기쁜 날 울긴 왜 우냐?"
"엄마, 난 내가 머리나쁜 애라는 걸 잘 알아요.
하지만 엄마가 나를 그토록 믿어주셨기에..."
아들의 말을 들으며 어머니는
지난 10여 년간 가슴속에 혼자
묻어두었던 눈물을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
희비가 엇갈린 맑은 눈물이 두 손에 받쳐 든 합격통지서를 적시고 있었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선물을...
ㅡ옮긴글 ㅡ
♡행복이 자라는 나무♡
나무가 자라기위해서
매일 물과 햇빛이 필요하듯이
행복이 자라기 위해서는
아주 작은 일에도 감사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내가 가진 것이 없어 보이는 건
가진게 없는게 아니라
내 자신에게 만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의 웃음을 행복으로 보고
아무일도 없던 늘 그런 일상에도 감사합니다.
행복을 저금하면 이자가 붙습니다.
삶에 희망이 불어나는거지요.
지금 어려운건 훗날 커다란 행복의 그늘을 만들어 줄 것임을 믿습니다.
사람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건
두려움이 아니라 행복의 자잘한 열매입니다.
썩은 열매는 스스로 떨어지고
탐스런 열매만이 살찌우게 됩니다.
행복하고 싶다면 지금 당장
마음의 밑바닥에서 시들어가는 행복을 꺼내고 키우셔요.
할 수 있는 것을 하지 않으려는 거 그것은 죄입니다.
누군가 나를 안타까운 맘으로 지켜보고 있다면 보여주셔요.
그게 행복의 시작이 됩니다.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야만 합니다.
내 존재의 가벼움은 처음부터 없는거죠.
사랑받고 있음을 잊었나 봅니다.
잠시 일상의 중독에서 벗어나 햇살과 만나보셔요.
세상은 다 그렇게 살아가는 것 같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랍니다.
많은 사람들이 부유하기 위해서만 사는게 아니라는 걸 알고 있지요.
사는 모습이 다 다르듯 보는 눈도 달라져야 여러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한가지의 눈은 하나만 보게 된다는 거. 가진 것은 언제든 잃을 수 있지만
내 행복은 지킬 수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쉽게 무너지는 마음은 당신의 모습이 아님을 잘 알고 있지요.
그 누구보다도 모두 행복 할 권리를 누려 보도록 해요
-좋은 글 중에서-
《재미있는 유머》
ㅎ 취객 ㅎ
늦은 밤 어떤 중년 신사가 술에 취해 길에서 볼일을 보려고 전봇대 앞에
섰다. 신사가 몸을 가누지 못해 쩔쩔매자 지나가던 청년이 말했다.
"아저씨, 제가 좀 부축해 드릴까요?"
신사는 청년에게 기특하다는 듯 말했다.
*
*
*
"나는 괜찮으니 흔들리는 전봇대나 좀 잡아주게."
웃기는 짬뽕이지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