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백금 생산성은 세계 2위 -
- 러시아는 플라티노이드 계열 금속의 세계적인 공급처로 부상 전망 -
HS코드 | 7115901010(Articles of Precious Metal 또는 Metal Clad) |
제품명 | 백금 도가니 등 귀금속(Platinum Crucible) |
백금제 도가니(Crucible: 크루시블)로 용융, 배소, 하소(煆燒), 소결, 야금 등의 고온 처리 혹은 고온 반응에 이용되는 내열성의 용기 |
설명 | 실린더 및 원뿔 형태 – 주로 철강산업에서 사용
| 컵 및 보트 형태 – 녹은 금속을 붓는데 사용 |
이미지 |
|
|
| | |
□ 러시아 백금 도가니(크루시블) 포함 귀금속 클래드 시장현황
ㅇ (시장 규모) 러시아 백금 매장량은 세계 매장량의 9% 비중을 차지, 세계 2위
- 백금은 희귀 금속으로 16세기 스페인 미지 정복자들에 의해 발견됐으며 러시아는 1819년 우랄 지역에서 발견
- WPIC(세계 플라티늄 위원회)에 따르면 전 세계 백금 매장량은 600만 톤에 불과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세계 매장량의 74%를 차지하고 있고 짐바브웨가 8%, 북미가 6%, 나머지 3%는 중국·콜롬비아·핀란드에 분포
- 러시아에 매장된 플라티노이드 계열 희금속(플라티늄, 이리듐, 팔라디움 등)은 1만 5000톤 정도인 것으로 파악됨.
자료: The World Platinum Investment Council(WPIC) report (https://www.platinuminvestment.com/files/853432/WPIC_Platinum_Quarterly_Q4_2018.pdf)
백금 도가니 사용 산업 분야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편집
ㅇ (시장동향) 러시아 플라티노이드 계열 금속의 주요 생산 기업은 PJSC Norilsk Nickel사임.
- 러시아는 세계 1위 팔라디움 공급처이며, 백금 공급은 세계 2위(세계 1위: 남아프리카공화국)
- Norilsk사는 러시아 플라티노이드 계열 매장량의 91%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성은 러시아 전체 생산성의 97% 차지
- 러시아에서 백금 수요처는 자동차 산업이 43%, 쥬얼리 산업이 32%, 기타 산업이 22%임.
· 자동차산업에서는 백금을 주로 중화 촉매제로 사용되며, 백금 도가니 산업은 기타로 분류
자료: The World Platinum Investment Council
ㅇ (수출 규모 및 대상국가) 러시아 PGM 연간 수출 규모(금액)은 3000만~4000만 달러 수준이며, 2019년 상반기 기준 전년대비 34% 증가
- 러시아 PGM생산성은 2018년 기준 105톤 정도이며, 이 중 101톤을 수출 중
- 주요 수출처는 벨라루스, 독일, 라트비아 등이며 터키는 2019년 상반기 기준 급격히 증가
러시아 PGM(플라티노이드계열) 생산성 및 수출 규모
(단위: 톤)
자료: Eurasian Development Bank report
러시아 수출(HS코드 및 설명 : 711590, 귀금속 또는 도금 품목)
(단위: US$ 천 달러, %)
№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
2017 | 2018 | 2019 (1-6월) | 2017 | 2018 | 2019 (1-6월) | 2018/2017 | 2019/2018 (1-6월) |
| 전 세계 | 36,658 | 39,151 | 23,119 | 100 | 100 | 100 | 6.8 | 34.4 |
1 | 터키 | 0 | 4,956 | 10,424 | 0 | 12.6 | 45.1 | 0 | 0 |
2 | 벨라루스 | 14,867 | 12,971 | 5,483 | 40.5 | 33.1 | 23.7 | -12.7 | -8.05 |
3 | 라트비아 | 7,239 | 7,713 | 4,692 | 19.7 | 19.7 | 20.3 | 6.5 | 46.1 |
4 | 독일 | 6,603 | 9,932 | 891 | 18.0 | 25.4 | 3.8 | 50.4 | - 85.4 |
5 | 아일랜드 | 764 | 1,210 | 763 | 2.1 | 3.1 | 3.3 | 58.5 | 5.4 |
6 | 폴란드 | 258 | 54 | 126 | 1.8 | 0.3 | 0.5 | -78.8 | 131.2 |
7 | 카자흐스탄 | 341 | 112 | 84 | 0.9 | 0.3 | 0.3 | -67.0 | - 6.1 |
8 | 중국 | 589 | 555 | 0 | 1.6 | 1.4 | 0 | -5.8 | - 100 |
9 | 우즈베키스탄 | 195 | 504 | 0 | 0.5 | 1.3 | 0 | 157.5 | - 100 |
10 | 홍콩 | 3,169 | 76 | 0 | 8.6 | 0.2 | 0 | - 97.6 | - 100 |
자료: 러시아 연방 관세청(Global Trade Atlas) (https://www.gtis.com/gta/)
□ 해당 품목 수입시 관세율(러시아→한국): (기본세율) 8%
· WTO협정세율: 13%, 아시아태평양협정세율: 5.4%
□ 러시아 귀금속(백금, 팔라듐)에 대한 기타사항
ㅇ Norilsk가 생산하고 있는 플라티노이드 계열 금속 중 팔라디움이 80%를 차지하며, 플라티늄(백금) 은 전체 생산의 23% 차지
Norilsk사의 PGM 생산구조
(단위: 톤)
자료: Eurasian Development Bank report(http://eurasian-studies.org/wp-content/uploads/2019/05/EABR_Platinum-Group-Metals_04_2019.pdf)
□ 러시아 PGM 관련 협·단체
ㅇ RSPP는 러시아 최대 산업 연합회로 희금속 분야를 포함 러시아 전략 산업군 조합
- RSPP는 2018년 6월, KOTRA와 산업협력 MOU를 체결하면서 한국 기업 진출과 공급처 발굴 지원이 가능한 곳
협회명 | The Russian Union of Industrialists and Entrepreneurs(RSPP) |
설립연도 | 1990년 |
전화번호 | + 7 (495) 663-04-04 |
이메일 | rspp@rspp.ru |
웹사이트 | http://en.rspp.ru/ |
대표 | Alexander Nikolaevich Shokhin |
코멘트 | ㅇ RSPP(러시아 경영자 및 기업가 연합)는 기업의 규모, 분야, 지역에 구분 없이 러시아 전략 산업 연합체 - 비정부기구, 러시아 고용주 연합 형태 - 대정부 협상 가능 |
□ 러시아 주요 제조기업 및 수출기업
ㅇ 러시아 주요 수출업체로는 Krastsvetmet, Ekaterinburg 비철금속 공장, Supermetal 등임.
- Anep Metal, BVB-Alliance, Billon 등은 백금 도가니를 2차 금속가공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 생산하는 기업으로 파악됨.
자료: Globus FEA(https://globusfea.com/my/analysis/d2563a3d467cf5b73b2dc10ea7578224/G022/G34/G46/DESC/detailsNo/mapsNo/)
주요 러시아 공급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