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와 전남도가 철도 건설 분야의 최상위 계획인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지역 주력 사업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하고 있다.
13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최근 국토교통부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연구’ 용역을 지난 7월 발주하고 조만간 세부 지침 및 향후 절차 등을 각 지자체에 전달할 계획이다.
지자체의 발걸음도 바빠졌다. 오는 2025년에 확정될 국가철도망 계획에 지역의 백년대계를 이끌 철도망을 다수 반영시키기 위해 공감대 형성에 돌입하거나 용역을 착수하는 등 분주하다.
광주시는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광주~대구 달빛내륙철도의 여론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달빛내륙철도 사업은 달구벌(대구)과 빛고을(광주)의 앞글자를 딴 사업으로 광주송정역에서 출발해 서대구역을 잇는 총길이 198.8㎞의 고속철도 사업이다. 광주, 전남(담양), 전북(장수·남원·순창), 경남(합천·거창·함양), 경북(고령), 대구 등 6개 광역지자체와 10개 지자체를 경유한다.
달빛내륙철도 사업은 지역사회가 지난 20년 간 꾸준히 건설을 요구한 숙원사업 중 하나다. 영·호남을 잇는 교통 인프라가 태부족한 상황에서 사업 추진에 대한 필요성은 높았지만 4조5158억원이란 막대한 사업비 탓에 추진이 번번이 무산됐다.
지난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됐으나 사업이 이뤄지지 않은만큼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 재반영으로 확실한 추진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광주시는 달빛내륙철도 경제성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에도 힘을 모으고 있다. 지난달 22일에는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이 달빛내륙철도 건설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국토부 산하 건설추진단 건설 △대통령령에 따라 필요 비용 보조 및 융자 등이 담겼다. 여야 국회의원 261명이 서명해 헌정 사상 가장 많은 의원이 동참했다. 해당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광주시는 내년부터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남도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전남도 트라이앵글 순환철도망’을 반영시키기 위해 일찍부터 관련 용역을 진행 중이다. 전남도 트라이앵글 순환철도망 사업은 광주(상무·소태)~나주~목포~보성~순천·화순(59㎞)을 잇는 사업이다. 목포에서 보성, 화순을 연결하는 남해안 노선과 나주, 화순에서 보성을 거쳐 순천까지 이어지는 경전선을 활용한 노선 등 전남 모든 지역을 아우르는 순환 철도망이다.
전남도는 트라이앵글 반영을 위해 지난 5월부터 내년 11월까지 자체 용역을 진행 중이다. 정부에 경제성 및 사업타당성에 대한 의견 제시를 위해서다.
전남도 관계자는 “외부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적의 노선안 및 경제성 확보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며 “국토부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