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륜공단이 경영 부진으로 막대한 부산시 예산을 지원받아야 하는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한 데는 적자 속에서도 시 산하 다른 공기업에 비해 훨씬 높은 임금, 비효율적인 조직 및 예산운영 등이 큰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부산시의 경륜공단에 대한 종합감사 결과에 따르면, 경륜공단의 임직원 임금은 시 산하 다른 공사나 공단 등에 비해 1인당 연간 평균 1500만원이 많다. 2급 부장 25호봉 기준으로 부산환경관리공단은 6700만원, 부산시설관리공단은 6800만원 선인 반면 경륜공단은 8400만원으로 최고 1700만원이 많았다고 시 감사관실은 밝혔다.
경륜공단은 또 비슷한 성격의 공사를 발주하면서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해야 하는 규정을 무시하고 분리발주해 수의계약함으로써 예산 낭비를 초래했고 연장 및 휴일근무 명령권자(각 부장)가 타지역 출장으로 자리를 비웠는데도 차상위자의 결재 등의 절차를 밟지 않고 수당을 부당하게 지급한 사실도 적발됐다.
특히 경륜사업은 전문지식이 필요한데도 경영진 대부분이 전직 부산시 공무원 출신으로 전문성이 부족하고 매출 증대를 위해 홍보도 소홀한 것으로 감사에 참여한 외부 전문가들로부터 지적받았다.
2003년 7월 12일 발족한 부산경륜공단은 당초 예상보다 매출이 크게 부진해 지난해 140여억원의 적자를 냈다. 시 감사실은 21명에 대해 훈계조치하고 중복 또는 부적정하게 지급된 여비 등 160만여원을 회수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