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카페지기 방 올림픽 노메달, 화가 안 나는 이유
Oscar 추천 0 조회 1,108 21.08.08 14:01 댓글 2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1.08.08 15:03

    첫댓글 또다른 측면을 생각하게 하는 글이네요.

  • 작성자 21.08.08 15:55

    감사합니다 ☺️

  • 21.08.08 15:46

    선수출신들은 동네 탁구장 코치로 활동하면서 퇴직금도 없어, 보너스도 없어, 성적이 좋으나 안좋으나 레슨코치로 버는 돈의 한계(20분당 가격x 일하는 시간)가 명확하니 다들 용품사업에 뛰어들고, 자신들 이름 들어간 용품 팔고, 탁구선수 돈 잘 번다는 소리 없으니 부모들도 애들 탁구 안시킨다 하던데

    오스카님은 선수은퇴해도 레슨코치 하면 되니 한국만큼 탁구선수가 안정적인 삶 살기 좋은 곳은 없다고 생각하시는군요

    역시 관점은 다양합니다

  • 작성자 21.08.08 15:55

    예, 특히 코로나로 인해 선수들의 코치로서의 삶이 아주 불안한 것이라는 점이 확인 되었죠.

    그런데 모든 선수 출신들이코치를 할 수 있는 나라가 거의 없어요.
    우리가 탁구 선진국으로 여기는 독일도 코치 시장이 매우 작습니다.

    즉 상대적으로 타 국가들에 비해 선수출신들이 갈 곳이 있는 편입니다.

  • 21.08.08 16:31

    선수층이 얇은것에 동의합니다..탁구부 있는 고등학교가 서울에 한곳인가 그렇다죠? 10명중에 잘치는 3명과 1,000명중에 잘치는 사람 3명과 상식적으로 후자가 더 실력이 좋을 확률이 높겠죠.. 유승민과 같은 선수가 아주아주 특별했던거죠.. 2002년에 축구가 4강 신화를 쓴것처럼..
    인프라에 비한다면 우리나라 탁구는 아주 잘 하는거라고 생각하는 1인 입니다..

  • 작성자 21.08.08 18:27

    예, 그 얕은 선수층을 가지고 좋은 성적을 내 왔죠. 앞으로는 때려서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선수들이 자발적으로 열삼히 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더 많은 선수들이 경쟁해야죠.

  • 21.08.08 17:16

    10 번에 주장에 대해서는 오히려 엘리트 선수층에서의 무한 경쟁을 일으켜서 좋은 영향을 줄거 같습니다. 무능한 100명이냐 유능한 1명이나하면 생체는 무능한 100명이 나을수 있지만 엘리트 소위 말하는 메달권 선수에 대해서는 선수 숫자는 많이 필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중국 코치에 대해서는 엘리트 선수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고 생각하고 오히려 선진 기술에 대해서 접근 성이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3 번 주장에 대해서도 선수 저변이 줄어든다는 주장에 약간의 모순이긴 합니다만 생체로 나가는 선수들이 초 엘리트는 아닙니다. 그리고 생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초 엘리트는 필요 없습니다. 오히려 선출 코치의 증가는 코치간의 경쟁으로 코치의 질의 상승 시킬 수 있으며 학교가 아닌 학원 학생 체육 등으로의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선수를 발굴 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선수 발굴은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선수층을 두껍게 해주는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오스카님이 말씀 하시듯 메달 = 국위선양이라는 인식은 많이 희석되었으며 결국 극소수의 엘리트와 다수의 생체가 공존해야 무한 엘리트 경쟁과 선수층의 확보라는 두개 해결 될것입니다.

  • 작성자 21.08.08 18:32

    10=>

    엘리트 선수들에게 중국 코치가 필요하다면 초등학교 기본기를 다지는 선수들에게 필요할 거에요. 그런데 중국 코치들은 어린 선수들에게 시합 요령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시스템 자체가 경기에서 이기는 것보다는 기본기 위주로 되어 있어요. 그러니 초등학교 팀에 오면 성적을 못 내서 쫓겨날 확율이 높습니다.

    만약 중고등학교 코치로 온다고 해도 의미는 있겠지만 이미 중국식이 아닌 드라이브를 다시 뜯어고치기 어렵죠.

    흔히 유럽 코치들이 중국에 대해서 하는 말이 러버가 다르니 스타일이 다르고 배우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즉 초등학교부터 중국 러버와 스타일로 배우지 않으면 어렵다는 얘기죠.

    이와는 달리 중국에 가서 같이 훈련하는 것은 한국 중고등학교 선수들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 작성자 21.08.08 18:36

    13 => 초 일류가 아닌 선수들도 코치가 되어 생계가 유지되는 나라는 한국, 중국 정도일 겁니다. 반면에 가뜩이나 숫자가 적은 성인 선수들이 조기 은퇴를 하고 탁구장 코치로 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죠.

    한국 탁구의 미래를 위해서는 제일 잘 하는 선수출신 코치들이 초등학교로 가야 합니다. 초등학교 코치 급여가 최소 탁구장 코치보다는 많아야 해요.

  • 21.08.08 19:57

    @Oscar 10번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수 있다는 것을 알겠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중국 코치에서 배운 선출이 유소년을 가르치게 되지 않을까요?
    13번 선수층이 얊아 질수 있겠으나 나오신 분을이 열심히 ? 하신다면 장기적으로는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 이상적으로만 생각하는 걸까요?

  • 작성자 21.08.08 20:49

    @젬젬 한국 탁구가 약한 것이 아니고 현재의 선수들이 약한 것이죠. 우리가 강했을 때는 세계 랭킹 10위 안의 선수들이 3명씩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한국 탁구를 했죠.
    지금 일본도 일본 특유의 탁구를 하지요.

    중국 코치를 데려오면 선수들이 용품부터 사고방식까지 중국적으로 되어야 제대로 지도를 받을 것입니다. 그것이 바람직할까요?

  • 21.08.08 19:01

    일반적인 사고의 틀에서 벗어난
    신선한 글이로군요.
    공감이 갑니다.

  • 작성자 21.08.08 19:44

    감사합니다 ☺️

  • 21.08.08 21:29

    공감이 가지 않을 수 없는 말씀입니다

  • 작성자 21.08.09 10:41

    감사합니다 ☺️

  • 21.08.10 03:1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체적으로 오스카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확실히 1등만 기억하는세상이 뭔가 약화된거 같긴 합니다. 다만 지도자만큼은 중국이든 어디던 적극적으로 데려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종목에서는 외국인 코치,감독을 잘 쓰는데 왜 탁구만큼은 그렇지 않은지, 종목의 특수성이 있는건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13번에 대해서는 다른종목에비해서 지원이 매우 적은편? 이라고 생각하는데...또한 선수들이 그만둔 후에 코치로 가는것이 다른 나라보다 여건이 좋다고해서 비교적으로 안정적인 것이지 한국에서는 절대적으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작성자 21.08.10 10:05

    별도로 글 작성해서 올릴께요.
    감사합니다 ☺️

  • 21.08.10 10:07

    좋은 글이라 생각됩니다...저도 오스카님의 생각에 거의 동의합니다만...

    한국만큼 탁구 선수들이 살기 좋은 나라가 드물다.
    코로나로 주춤하긴 하지만 선수 생활 그만두면 레슨 코치로 안정적인 삶이 거의 모든 선수층에게 보장되는 나라가 또 있을까 싶다.

    우리나라 엘리트 탁구(운동)선수 시스템의 최대단점을 이런식으로 미화시키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예전에 유튜브에서도 이런 주장을 하시던 영상을 봤었는데요...
    탁구선수했으니 모두가 은퇴 후 코치, 감독을 하는게 당연하다는 인식도 별로 찬성하지 않습니다.

    독일을 포함 유럽국가 또는 미국...아니 가까운 일본을 예를 들면...
    네...탁구선수들이 은퇴 후 레슨코치를 하기 상당히 어렵다는건 사실입니다...아니 잘 하지 않는다는 표현이 맞겠네요...

    왜냐하면...대부분의 실업(기업) 선수들이 은퇴 후에도 정년까지 그 기업에서 정사원으로 계속 일하기 때문이죠...
    일본생명 탁구선수들은 선수은퇴 후...일본생명에서 정년까지 일합니다...정사원이거든요...
    그정도로 은퇴 후 삶에 대한 길이 보장되어 있다는 겁니다. --> 이런게 안정적인 삶이 아닐까요??

  • 작성자 21.08.10 10:09

    일본 시스템은 본래 평생 직장 개념을 가진 일본 사회에 맞는 개념이겠죠.

    독일을 비롯한 대부분 유럽 국가에서 코치 일자리는 매우 부족하고 급여도 높지 않습니다.
    선수들도 마찬가지죠.
    완전한 피라미드 구조입니다.

    우리나라처럼 한번 시작하면 도태될 염려 없이 평생 선수, 코치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나중에 상세한 의견 별도 글로 남기겠습니다.

  • 21.08.16 02:14

    사실 남탁 단체전 빼고 메달 기대도 안했습니다만...아쉽네요

  • 작성자 21.08.22 22:51

    예…ㅠ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