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眞城李氏 溫溪先生 後孫 사랑방 원문보기 글쓴이: 예음
문향의 고장 '문학의 향기와 함께하는'
두들마을 고가음악회
2013 세계유교문화축전 제3회 영양군 고가음악회
* 일 시 : 2013년 7월 6일(토) 저녁 8시
* 장 소 : 두들마을 음식디미방 교육관(영양군 석보면 두들마을길 66(원리리 303)
두들마을 홈페이지 http://dimibang.yyg.go.kr
* 주 최 : 영양군, (재)세계유교문화재단 * 주 관 : 영양문화원
* 기 획 : 예음커뮤니케이션즈, 예음공연지원단
* 후 원 : KBN대한방송 * 문 의 : 예음 010-2003-0589
# 영양군 두들마을 고택음악회 8월 3일(토) 저녁 8시
- 프 로 그 램 -
사회 오부원
1. 가야금 ------------------------------------------ 백정숙 -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2. 시낭송 퍼포먼스 ---------------------------------- 김차경 - 사모 <조지훈 詩>
3. 대금연주 ---------------------------------------- 손방원 - 인연 <임강현 작곡, 장윤정 노래> - 하얀민들레 <김정호 노래>
4. 25현개량가야금 ---------------------------------- 백정숙 - 황금산의 백도라지 <북한공동창작곡> - 렛잇비 <비틀즈 노래>
5. 팬플룻 연주 ------------------------------------- 손방원 - 친구여 <이호준 작곡, 조용필 노래> - 베사메무초 <멕시코 노래>
6. 시낭송 퍼포먼스 ---------------------------------- 김차경 - 엄마는 그래도 되는줄 알았습니다. <심순덕 詩>
7. 힐링전도사 통기타가수 ---------------------------- 박소윤 - 누구 없소 <한영애 노래> - 사랑사랑사랑 <김현식. 바비킴> - 노바디 <원더걸스> - Fly high <2012 발매 음반>
8. 초대가수 --------------------------------------- 홍인숙 - 부석사의 밤 <김정규 작곡>, 사랑이 노다지다 <손준호 작곡> - 하소연 <오해균 작곡> - 메들리
|
문학의 고장, 전통이 살아 숨쉬는 유서깊은 언덕 위의 마을 두들마을
두들마을은 조선시대 광제원(廣濟院)이 있던 곳으로 '두들에 위치한 원이 있던 마을' 이라고 하여
원두들, 원리라 부른다.
1640년(인종18년) 석계 이시명 선생이 병자호란의 국치를 부끄럽게 여겨 이곳으로 들어와 개척한
이후로 석계의 아들 중 넷째 숭일이 계속 선업(先業)을 이었는데, 방후손들이 더해져 재령 이씨
(載寧 李氏) 집성촌이 되었다.
마을 옆 둔덕에는 석계 선생의 서당인 석천서당과 석계고택이 남아 있으며, 마을 앞으로 흐르는
화매천 가에 서 있는 암석들에는 석계선생의 넷째 아들인 항재 이숭일이 새겼다는 낙기대, 세심대
등의 글씨가 아직도 남아 있다.
또 전통한옥체험관, 정부인장씨유적비와 정부인장씨예절관, 음식디미방 교육관 및 전시관, 광산
문학연구소 등이 있다.
사 모
조지훈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줄 알았습니다.
심순덕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루 종일 밭에서 죽어라 힘들게 일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찬밥 한 덩이로 대충 부뚜막에 앉아 점심을 때워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한겨울 냇물에서 맨손으로 빨래를 방망이질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배부르다, 생각없다, 식구들 다 먹이고 굶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발 뒤꿈치 다 헤져 이불이 소리를 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손톱이 깎을 수 조차 없이 닳고 문드러져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아버지가 화내고 자식들이 속썩여도 끄떡없는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외할머니 보고 싶다. 외할머니 보고싶다, 그것이 그냥 넋두리인 줄만
한밤중 자다 깨어 방구석에서 한없이 소리죽여 울던 엄마를 본 후론 아! 엄마는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
출연진 프로필 및 사진
* 대금 & 팬플룻 : 손방원
대구 어린이아카데미 오카리나 강사양성, 큐릭스 대구방송 문화센타, 예음뮤직아카데미,
대구영남이공대학 평생교육원 강좌 출강, 시 음악 창작활동 및 음반작업, (사)대한예능
진흥회 주최 전국오카리나경연대회 심사위원장 역임, 진오카리나 제작 및 마케팅팀장
대구 '송엠포엠' 회원으로 시 음악 활동, 대구MBC 시민음악회 전속 출연 대구 푸른방송
방송 금요음악회 출연, 일본문화원주최 미카코혼야 내한공연 게스트 출연
아리랑팝스오케스트라 협연, 음악회 수 백회 및 초청연주회 수백회 등
현) 한국오카리나연구원 원장, 한국오카리나문화원 이사 및 부산광역시지회장
예음공연지원단 공연팀장, 예음오카리나앙상블 음악감독 등
* 가야금산조 & 25현개량가야금 : 백정숙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소리향기실내악 대표, 예음공연지원단원
중요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가야금병창 전수자 , 고택음악회 및 수백회 공연
* 시낭송 퍼포먼스 : 김차경
시낭송예술가 뮤지컬배우 찬불가수, 예음공연지원단원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원심의위원, 나레이터 시낭송전문강사
한국오카리나문화원 구미지부장, 김차경 낭송예술 아카데미 대표
동양일보 주최 <포석 조명희 문학제> 전국 시낭송대회 대상 수상
<아침의 문학 낭송회> 주최 제10회 전국 시낭송대회 최우수상 수상
이형기 기념 문학제 시낭송대회 최우수상 수상
이육사 시낭송대회 최우수상 수상, 전국재능시낭송 경북대회 최우수상수상
* 힐링전도사 통기타가수 : 박소윤
박소윤은 2006년 기타하나 달랑메고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인디씬에서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며 통칭 '힐링 전도사' 로 불리우는 등 국내외 각종 페스티벌 공연과 축제,
클럽 등지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내공이 깊은 가수다.
감미롭고 달콤한 곡들과 박수가 절로 나는 신나는 오리지널 곡들부터 대중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주옥 같은 가요들을 박소윤만의 색깔로 재해석한 레퍼토리들은
처음 듣고 보는 이들에게도 쉽게 공연에 녹아 들어 즐기고 함께 할 수 있는 흥겨움을
만들어 낸다.
* 초대가수 : 홍인숙
낙동가요제 금상수상, KBS도전주부가요스타 대상, 대구KBS김충진 오픈스튜디오 3연승
박달가요제 은상수상, 안동MBC주부가요열창(창립32주년)대상수상
KBS라디오 이호섭.임수민 희망가요 상반기 준장원, KBS라디오 이호섭.이지연 희망가요
연말결선대회 준장원, KBS전국팔도 농업인 노래자랑 최우수상, KBS 전국노래자랑 상반기
우수상, MBC 주부가요열창 대상, MBC라디오 이택림.노사연 즐거운 오후2시 연말 준장원
속리산 단풍가요제 동상, 기타 전국대회 다수 수상
2004년 7월 제1집 음반발표“부석사의 밤” “순흥 아가씨”
현재 트로트자나 방송국 정회원 가수로 활동, 예음공연지원단원
* 기획·연출·진행 : 오부원
국립안동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음악과 졸업, 중등음악교사역임, 안동교향악단 창단멤버 역임
(사)한국음악협회 구미지부 사무국장 & 이사역임, 한국기타협회 안동지부장 역임
예음커뮤니케이션즈 대표, KBN대한방송 예능국장 & 경북대구본부장, 예음문화예술기획 대표
예음공연지원단장, 한국오카리나문화원장, 한국우쿨렐레문화원장, (사)한국음악협회 산하단체
한국기타협회 경북지회장, (사)한국축제콘텐츠협회 & 안동문화원 & 영양문인협회 정회원
‘고택(古宅)에서 풍류를 즐기자 ~’ 프로그램 안내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경북북부지역의 고택 및 전통가옥 숙박·전통문화 체험을 하면서 해설이 있는 퓨전음악회 성격의 풍류를 즐기고자 하시면 저희 “예음커뮤니케이션즈” 에서 기획하고 "예음공연지원단"에서 진행을 하는 ‘고택에서 풍류를 즐기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풍류(風流)의 내용 - 자연(自然) : 흙, 물, 바람, 풀, 나무, 돌, 꽃, 구름, 해, 별, 달, 고택 등 가악(歌樂) : 국악, 클래식, 대중음악, 퓨전음악, 오카리나 악기 등 다양한 공연형태 무(舞) : 한국전통 무용의 멋스러움 시(詩) : 시와 음악이 있는 풍경 차(茶) : 전통 차의 향기와 음악 주(酒) : 동동주와 어울림 마당 담(談) : 사랑방 이야기
- 기획의도 - 우리고유의 전통문화 및 관광자원을 체험하기 위하여 방문하시는 관광객들에게 고풍 스러운 고택에서 어울려 풍류를 함께 즐김으로서 소중한 추억과 함께 지역의 문화관광 자원을 올바로 이해하고 체험하게 하여 관광객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과 함께 고택 및 전통한옥 자원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 및 실현 그리고 대내외적으로 고택숙박 체험의 홍보효과를 높여 명품관광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지역의 문화관광 산업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 프로그램의 적용 - 관광객의 규모, 성격, 목적, 예산, 계절, 체험 장소나 공간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드리며 학생들의 캠프나 문화탐방 성격의 관광객들에게는 교육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한다.
* 내용 : 고택음악회, 청송사과흙피리 오카리나 배우기, 탈춤 따라배우기, 탈만 들어보기 다도예절 및 다도체험, 부채만들기, 한지공예, 천연염색, 고구마 구워먹기 등 농촌체험(사과따기, 고구마케기, 썰매타기, 다슬기줍기) 종부종손과의 이야기 보따리 등
관광객 및 단체의 요청이 있으면 수시 지원시스템으로 운영을 하고 있다. 예산지원 받아서 하는 무료행사 / 관광 상품으로 수요자가 부담하는 소규모 형태로 구분 문의 : 예음커뮤니케이션즈 / 예음공연지원단 010-2003-0589 홈 www.yeumc.com 다음카페 : 예음공연지원단 http://cafe.daum.net/yeum03
|
(위의 주소를 클릭하시면 2012년 영양 두들마을 가을맞이 고택음악회
kbn대한방송 보도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