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왕조실록 99 > 肅宗 9 ** 張禧嬪(6)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한 것과 동시에 장희빈이 중전이 되었듯이, 갑술환국은 남인에서 서인으로 정권이 바뀌고 인현왕후가 중전의 자리에 복권되는 너무도 당연한 순리였다. 숙종이 전광석화처럼 권력을 바꿔버린 후, “자고로 임금은 참작하고 선처하여 용서하는 도리를 잊지 않았다. 이제 폐비를 별궁으로 옮겨 수직하고 늠료(봉급)도 주도록 하라” 라는 命을 내린다. 숙종은 인현왕후가 별궁으로 옮기는 날 직접 편지를 썼다. - 때로 꿈에 만나면 그대가 내 옷을 잡고 비 오듯 눈물을 흘리니~ 이제 별궁으로 옮기면 어찌 다시 만날 일이 없겠소!?~ 이에 인현왕후는 다음과 같이 답장하며 숙종이 보내 온 의대를 사양한다. - 천만 뜻밖의 玉札이 내려오니 감격의 눈물만 흘릴 뿐 무슨 말씀을 하리이까? 의대를 받네 안 받네를 두고 몇 번의 戀書를 더 주고 받은 후, 인현왕후는 闕로 다시 들어왔고, 숙종은 자신의 경솔함을 용서하라며 버선 발로 맞는다. 그리고 張嬉嬪을 중전에서 嬉嬪으로 강등시켜 별궁으로 옮기도록 한다. 장희빈이 中殿의 자리에 오른지 5년 만의 일이고, 그녀의 나이 35 살의 老鷄였다. 그리고 순리대로 인현왕후가 원래의 자리로 돌아온 것이다. 한편, 인현왕후의 환궁에 기여한 淑媛 崔씨는 이 일로 숙종과 인현왕후의 사랑을 동시에 받게 되었고, 淑嬪의 직첩을 받은 뒤 급기야 왕자를 生産하기에 이른다. (이 왕자가 훗날의 永祖이다) 졸지에 중전에서 밀려난 장희빈의 충격은 실로 컸다. 그러나 장희빈은 장희빈이었다. 장희빈은 제주에 유배된 오빠 張希載와 그의 妾이었던 숙정과 일부 南人을 동원해서 中宮殿을 다시 탈환하고자 하는 시도를 멈추지 않는다. - 죽음을 각오하면 무슨짓인들 못하랴 - (그까짓 인생, 별거없다. 한 번 죽지 두 번 죽냐?는 식으로 '꿈이여 다시 한 번!' 을 부르짖으며 로또 당첨의 대박을 노린다. 그러나 결과는 장희빈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그로부터 7년 후, 오히려 그녀에게 비극의 종말이 다가오고있었다. 1701년(숙종 27) 8월 14일 인현왕후가 승하하였는데, 그 직후 장희빈이 취선당 서쪽에 신당을 설치하고 왕비가 죽기를 기도했던 일 등이 모두 발각되고 만 것이다. 그렇지않아도 죽은 인현왕후에게 罪의식이 있던 숙종은 “내 그럴 줄 알았다”며 大怒하여, 張希載를 斬刑에 처하고, 장희빈을 옹호하는 태도를 보인 南九萬 등 少論을 제거하였으며, 장희빈에게는 自盡하라는 御命이 떨어졌다. 大臣들은 장희빈의 아들인 世子를 생각해 賜死 만은 免하게 해줄 것을 주청했지만 숙종은(오랜만에 제 정신을 차렸는지) 요지부동이었고, 결국 장희빈은 中殿을 嫉妬해 모해했다는 罪目으로 42년의 生을 마감하고 賜死되었다고 실록에는 기록되었는데.. 장희빈의 인생 역정은 궁중 여인으로는 우리 역사상 가장 파란만장했다고 할 수있을것이다. **張嬉嬪에 괸한 野史 1.張嬉嬪의 출생 및 家係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 9일 (음력 10월 8일 ~ 10일), 조선 19대 왕 숙종의 嬪, 20대 왕 景宗의 생모. 본명은 張玉貞이고 본관은 仁同. 아버지는 易官 출신 張炯이고 어머니는 장형의 後妻 윤씨. 驛官 張炫의 종질녀다. 조선의 유일무이한 궁녀 출신 王妃다. 오라비 張希載는 武科에 급제하여 경신년(1680년) 명문가의 자제만으로 구성된 內禁衛에 근무하게된다. (이하 장희재 참조) 사대부 가문은 아니지만 조선에서 손꼽히는 부호였고 사회적 위치는 中人 신분이었다. 2. 장희재(張希載) 장희재[?~1701년]는 장희빈의 오라비로 장희빈이 숙종의 총애를 받자 禁軍 別將(지금으로 치면 청와대 경호실의 3위 권에 해당하는 武人의 벼슬)으로 재직하다 左捕廳 부장을 거쳐 1692년,숙종18년 摠戎使(총융사 : 조선후기 임진왜란 후 개편된 5군영의 하나인 총융청의 최고위직으로, 지금으로 치면 서울 외곽의 경비와 방어를 담당하는 수도방어사령관)로 초고속 승진한다. 3. 淑嬪 崔氏, 그리고 仁顯王后의 환궁 숙종은 자신이 내친 인현왕후가 이따금 생각이 나서 밤중에 대궐을 순행하는 버릇이 생겼다. 어느날 밤, 숙종은 무수리들이 거처하는 곳까지 갔다가 여인의 슬픈 哭聲을 듣게된다. '이 밤중에 누가 죽었나.?' 숙종은 촛불이 켜있는 곳까지 가보니.. '아니!?..' 음식을 차려놓고 그 앞에서 울고 있는 너는 누구냐!? "저, 전하..." 임금을 발견한 무수리는 사시나무 떨 듯 떨었다. "너는 누구이며, 왜 울고 있는것이냐?" "예, 쇤네는 무수리 崔家이옵고 오늘이 폐출된 민비마마의 생신이온지라 그분의 성덕을 기려 상을 차려 놓고 있었나이다. 죽을 죄를 저지른 쇤네를 죽여 주소서." 무수리 최씨는 아까보다 더 슬픈 목청으로 울었다. 숙종은 눈을 지그시 감고 폐출된 인현왕후를 생각해 보았다. 일개 무수리에게도 존경을 받는 그녀와 지금의 張妃는 천양지판이었다. 무수리 최씨의 심성이 고맙고, 또 쫓겨난 인현왕후가 그리워져 왕은 그 밤을 무수리 최씨 방에서 잤다. 얼마 안 가서 무수리 최씨는 잉태를 한다. 숙종은 그 뒤로도 여러차례 무수리 최씨의 처소에 들었다. 왕의 사랑이 張嬉嬪 곁을 떠나 무수리 崔씨에게 기운 것이다. "뭐야? 마마께서 무수리년을 총애한다구?" 張妃는 소식을 듣고 길길이 뛰었다. "게다가 무수리 崔家년 몸에 태기가 있다 하옵니다, 마마." "마, 맙소사.. 나인도 아닌 종년 무수리에게.. 오, 끔찍해라!" 張희빈은 더 참지 못하고 무수리 처소로 달려갔다. "저년의 옷을 모두 벗겨라!" 무수리 최씨는 張희빈에 의해 발가벗겨지고 그 위에 매질이 가해졌다. 무수리 최씨의 터진 살갗에서 피가 뚝뚝 떨어졌다. "매우, 매우 쳐라!" 그때였다. "상감마마 납시옵니다." "무어라!?" 마침 그 때 숙종이 왔다. "저 독을 어서.. 무수리 몸 위에 뒤집어씌워라!" 張희빈은는 독을 무수리 위에 씌우라 명했다. 그러나 눈치 빠른 숙종이 그것을 모를 리 없었다. 張희빈의 옷에도 피가 묻어 있었다. "독을 벗겨내라." 王의 분부였다. 독을 벗겨내자 발가벗겨진 무수리의 상처 투성이인 몸이 나왔다. "아니!?...." 숙종은 장희빈의 포악한 행위를 목격하고 만 것이다. "아! 세자.. 세자 때문에 이를 어이할꼬?!.. " 왕은 張희빈이 낳은 세자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그 일을 덮어 두었다. 그 대신 무수리 최씨에게 正四品 昭媛이란 직첩을 내려 함부로 대하지 못하도록 해놓았다. 그러나 張희빈도 崔소원을 그냥 내버려두지 않았다. "오라버님. 그년을 아주 죽여 버리세요." 張妃는 어영대장 장희재에게 毒殺을 지시했다. "잘 알겠소." 어영대장은 그 길로 崔昭媛의 처소로 나아가 독약이 든 음식을 바치게 하였다. 하지만 그 일은 실패로 끝났다. 숙종은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 "당장 張妃의 직첩을 거두고 御營대장을 儀禁府에 하옥하라!" 4. 張嬉嬪의 末路 張희빈은 중전의 지위를 차지한 지 6년 만에 또다시 쫓겨나고 어영대장 張希載는 재산을 몰수당한다. 숙종은 崔昭媛에게 淑嬪이란 직첩을 내리고 私家로 물러나 있던 仁顯王后를 다시 불러들였다. 中殿에서 嬉嬪으로 강등되어 물러난 장희빈은 그래도 인현왕후에 대한 저주를 거두지 않았다. 취선당의 장희빈은 中殿의 畵像을 천정에 매달아놓고 궁녀가 매일 세 번씩 활로 화상을 쏘아 맞춰 종이가 걸레처럼 찢어져 떨어지면 비단옷을 입혀 주변에 묻는 등 해괴한 짓을 계속했다. 장희재 역시 제주도 大靜縣 유배지에서 한글 편지로 宮人과 연락을 취하면서 인현왕후의 살해를 모의하는데.. 마침 인현왕후는 몸이 쇠약하여 입맛을 잃고 있었는데, 옛날의 상전인 인현왕후의 시중을 崔淑嬪이 맡아서 들고 있었다. 최숙빈은 게젓을 구하여 민비의 수라상에 올렸다. 그런데 민비는 게젓을 먹고 急死를 한다. "장희빈의 분부를 받은 장희재가 그 꿀 속에 극약을 넣었음이 밝혀졌나이다." 희빈 장씨가 인현왕후를 巫蠱(무고)하여 저주한 사실이 드러나게된다. ************************ "아바마마, 소자의 소청을 들어주소서." 어린 세자는 生母에게 내려진 극형 소식을 듣고 숙종 앞에 꿇어 엎드려 울부짖었다. "世子는 이번 중전의 치독 사건에 참견하지 말라." "쓸데없는 소리말고 물러가 있거라." 父王이 눈 하나 까딱하지 않자 세자는 조정 대신들을 붙잡고 통사정을 하였다. "대감마마! 제발 어마마마를 살려 주소서, 예? 살려주소서, 마마!" 어린 세자의 간절한 청을 듣고 울먹이지 않는 대신이 없었다. 그러나 숙종은 여전히 냉정했다. 사약을 받은 장희빈은 하늘이 무너져내리는 것 같았다. "세자를... 내 아들을 한 번 만나봐야겠다. 냉큼 데리고 오너라!" 장희빈은 흡사 광인 같았다. 하인이 대궐 안으로 들어가 이 사실을 알리자 숙종은 세자에게 생모와의 면담을 허락했다. "어마마마!" ~ 생모를 보자 세자는 그 어깨에 매달려 울부짖었다. "어마마마! 어마마마!" 그러나 세자를 본 순간 장희빈은 그녀의 本性이 드러났다. 장희빈은 세자의 거시기와 불알을 한 손에 움켜쥐고 있는 힘을 다하여 잡아당겼다. "아악!." 세자는 얼굴이 새파랗게 질리며 비명을 지르다 까무러쳐버린다. 울지도 못했다. (거시기만 잡아당겨서는 결코 기절하지 않는다. 급소인 불알과 거시기를 한 손에 움켜쥐고 野史를 보면, "너 죽고 나 죽으면 그만이다. 나를 이 지경으로 만들어 놓은 네 아비의 핏줄을 이어줄 필요가 없다."며 세자를 性 불구로 만들어 버린 장희빈은 사약을 내동댕이치고 대청으로 뛰어올라가 목을 매 숨을 거두었다고 나온다. 모략과 음모로 일관해 온 장희빈은 그렇게 최후를 마쳤다는데.. (實錄에는 장희빈이 숙종으로부터 자진하라는 命을 받고 살길을 도모하던 중, 世子를 생각하여 속히 自盡하라는 두 번째의 命을 받은 후, 가망이 없음을 알고 사약을 마시고 죽었다고 나온다..) 장희재도 제주도 大靜縣 유배지에서 서울로 移送되어 동월 29일 군기고 앞에서 公開리에 주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