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방사(喜方寺)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에 있는 사찰.
소백산 희방사 계곡
창건시기 : 신라시대
창건자 : 두운조사
소재지 :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643년(신라 선덕여왕 12)
두운조사가 소백산 남쪽 기슭
해발고도 850m에 창건한 사찰이다.
1568년(선조 1)에 새긴
월인석보 1, 2권의 판목을 보존하고 있었는데,
6.25전쟁으로
법당과 훈민정음 원판,
월인석보 판목 등이 소실되었다.
1953년에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경내에
희방사 동종(경북유형문화재 226)과
월인석보 책판을 보존하고 있다.
월인석보는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으로
석가세존의 일대기를 국문으로 엮은
석보상절과
세종이
석보상절을 보고
석가세존의 공덕을 찬송하여
노래로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합친 책이다.
불경언해서로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와
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1권 머리에 훈민정음 판 15장,
30면이 얹혀 있어서
국어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이용된다.
절 입구에는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자연림이 우거져 있으며,
사찰 아래쪽 계곡에는
내륙지방 최대 폭포인 높이
28m의 희방폭포가 있다.
폭포가 떨어지는 계곡에는
커다란 바위가 있고
숲이 우거져 있다.
주변에 소백산국립공원,
부석사,
소수서원,
석천폭포,
국립천문대,
초암사 등의 관광지가 있다.
당시에도 여전히 부자나라였던 왜국에
불교를 전하고 절간도 세워주었던
백제와 고구려는
한반도에 절간 하나 못지었는지
그 시작은 모두 신라 때 창건했단다.
우리나라 절간들은.
그나마 요즘은 남북국시대라고 써준다
신라쟁이들 다 죽었는지...
그러거나 말거나
문화재구역이라 입장료를 받는단다...
다른 절간처럼 4~5천원씩 삥띁기엔 뭔가
풍신난 걸 아는지
소박하게 2천원을 띁는다...
하긴 소백산 오르는 길가에 있음에도
등산객들에게 외면받는게 현실아닌가.
처음보는 디자인의 포충망이다...
일베충과 틀딱충도 이렇게 잡아들이면 좋으련만
소백산 희방사 나와바리(なわばり,
영향력이나 세력이 미치는 공간이나 영역을
속되게 이르는 말)비석...
쇠창살로 둘레를 쳐놨다...
구구절절 옳은 말씀을 새겼는데
쇠창살로 막아 놓으면
그 글자를 누가 읽어나 보겠는가...
연화봉 가는 길로 들어가
희방폭포를 오르니
등산로 바로 곁에 희방사 절간이 있다.
대한민국 시대인지라
중창불사에 매진 중이다'
대웅보전
喜方寺...기쁠희...모방..절사...
기쁜 절간이다...
입장료 가지고 중창불사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겠는가만...
빈자일등이라고 입장료 4천원을 시주한 건
어찌되었든 자랑하고 싶다...니미럴.
훈민정음 해례본...석보상절 등을 찍어낸 희방사.
그 희방사본 때문에 국어시간을 빛내준
희방사...
기쁘게 방생해서 희방사!
대한민국시대의 고승대덕한 스님의
부도와 부도탑
고승대덕한 스님의 부도비 옆면엔
전대갈(전두환 대머리를 이용한 외모 비하 별명)
앞잽이 민정당 대표위원 명의와
중화민국 신도회 회장과
일본 신도회 회장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종교계에서 종파를 초월한 모임과 회장이 있다는게
믿기지 않지만...
그런데...절간 구석엔
기와시 주하면 복 받는다며
시주받은 기왓장들이 깨져 나뒹굴고 있다.
발복을 기원한 시주자의
주소와 이름이 그대로 적힌 채...
이걸 보니
인공때 희방사본 월인석보가 꼬실라진 이유를
꼭 전쟁통이었다고 우길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