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서 자주 먹는데’…중국산 김치 85% 아스파탐 사용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습니다.
중국산 수입 김치의 약 85% 제품에 아스파탐이 원재료로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된 중국산 김치 1737건의 84.5%인 1468건에 아스파탐이 원재료로 사용됐다.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 단맛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인공 감미료인데, 최근 유행하는 ‘제로’가 붙은 무설탕 음료, 무설탕 캔디와 껌 등에 널리 쓰인다.
식약처에 따르면 아스파탐의 사용 기준은 빵류, 과자 등은 5.0g/㎏ 이하, 시리얼류는 1.0g/㎏ 이하, 건강기능식품은 5.5g/㎏ 이하인 반면, 김치 제품은 아스파탐 사용 기준이 없어 제조시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다.
반면 국내에서 김치를 제조·판매하는 대상 종가집, CJ제일제당 비비고, 풀무원 등은 인공감미료 대신 매실농축액, 설탕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오는 14일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주류, 식품업계는 아스파탐 퇴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류, 식음료 업계에서 아스파탐이 퇴출당하면 중국산 김치 제조에도 파장이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