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곧 {모든 '甲[*]年'은 서기년도 끝 자리가 '--4년'}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계속해서 乙(을)은 5년, 丙(병)은 6년, 丁(정)은 7년, 戊(무)는 8(년), 己(기)는 9년, 庚(경)은 0년, 辛(신)은 1년, 壬(임)은 2년, 癸(계)는 3년이 바로 천간과 서기년도 끝 자리의 결합입니다. 이제 문제의 반은 해결되었습니다. 干支의 표기는 天干(천간)이 앞 부분이고 地支(지지)가 뒷 부분으로 표기되는데, 뒷자리인 地支(지지)는 곧 각각의 동물 형상인 '띠'를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띠'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간지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몇 가지 문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이야기 한자여행★
첫댓글 젊으신 분이 수고가 많으십니다. 앞으로 큰 인물 되리라 믿습니다.